항목

  • 강남산맥 江南山脈
    이루며, 1,000m 이상 지역에서는 분비나무·가문비나무·잣나무 등이 자란다. 금·은·아연 등의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고 각종 삼림자원이 풍부하며, 머루·다래 등의 산열매와 산나물이 많다. 일부 산간지대에서는 화전이 행해지고 있다. 산맥의 북단에는 1939년에 개통된 만포선(강계-만포)이, 남단에는 정삭선(정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 고등어류 mackerel
    튼튼하며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는 인도-호주산 줄무늬고등어류(Rastrelliger)와 어깨 주위가 긴 비늘로 싸여 있으며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작고 긴 어류인 물치다래속(Auxis) 어류 등이 있다. 영어권에서는 매커럴(mackerel)이라는 이름을 일부 다랑어와 가다랑어 종류에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가라지속(屬)이 호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어류
  • 청산별곡 靑山別曲
    보는 견해가 있는 반면, 한글이 만들어지면서 비로소 정착되었으므로 민중 창작으로 보기도 한다. 이 노래의 성격 규정에 관한 견해는 청산에서 머루·다래를 따먹고 사는 유랑민의 노래, 민란에 참여한 농민·노예·광대 등의 노래, 실연의 슬픔을 잊기 위해 청산으로 도피하고자 하는 사람의 노래, 왕으로부터 버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칠갑산 七甲山
    동북쪽의 잉화천(仍火川), 서남쪽의 장곡천(長谷川)과 지천천(之川川), 서북쪽의 대치천(大峙川) 등이 흘러 금강의 상류로 유입한다. 수림이 울창하며, 머루·다래·자생란 등이 많다. 원시림을 보존하고 있으며, 명승지와 문화유적 등이 조화를 이루어 일대가 1973년 3월 총면적 32㎢의 칠갑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 동박새 japanese white-eye
    또한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행동 동백나무 등 상록수림이 울창한 산림 또는 인가 주변에 서식한다. 무리를 이루며 나무 위에서 곤충류, 거미류 등과 머루, 다래, 버찌, 산딸기 등 나무 열매를 먹는다. 겨울에는 동백꽃의 꿀을 빨아먹는다. 둥지는 낮지 않은 나무에 공을 절반 자른 듯한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분류 :
    동박새과(Zosteropidae)
    서식지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중부, 동부, 남부, 인도차이나반도 북부와 동부에 분포한다.
    크기 :
    L12~13cm
    학명 :
    Zosterops japonicus Japanese White-eye
  • 청량산 淸凉山
    그리 높지는 않으나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낙동강 상류가 서쪽 절벽을 휘감아 흐른다. 소나무·단풍나무 등이 우거져 있으며 산정부에는 칡덩굴·다래덩굴·노박덩굴 등이 엉겨 있다. 산 일대 면적 48.76㎢가 1982년 8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아슬아슬한 암봉·망굴 등의 자연경관을 비롯하여 내청량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 정선군의 유물·유적·관광
    屋,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89호)이 있다. 특히 이종후가옥에는 외재이단하내외분옷(중요민속자료 제4호)으로 중치막·대례복·누비저고리·도투락댕기·다래 등이 보존되어 있어서 조선시대의 복식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임계면 봉산리에는 구미정(九美亭)이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정암사 경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개천시의 자연환경
    1,000~1,250㎜ 정도이다. 산림은 시면적의 약 72%를 차지하며, 소나무·참나무·잣나무·가리나무·밤나무 등이 자란다. 또한 산지에는 복작노루·시라소니·승냥이·꿩 등이 서식하며, 머루·다래·삼지구엽초 등의 각종 산과일과 약초가 자생하고 있다. 시의 서부에 있는 연풍호 일대는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고풍군의 자연환경
    보이며, 연평균기온 5.4℃ 내외, 1월평균기온 -12.5℃ 내외, 8월평균기온 20.8℃ 내외, 연평균강수량 1,027㎜ 정도이다. 산림이 군면적의 약 90%를 차지하여 산림자원이 풍부하다. 주로 소나무·참나무·단풍나무·피나무·박달나무·이깔나무 등이 자라며, 머루·다래·두릅·참나무·당귀 등의 산열매와 약초가 풍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개다래나무 천료(天蓼)
    열매 9~10월에 긴 타원형의 장과가 누렇게 달려 익어 아래로 늘어진다. 길이는 2~3cm이며 끝이 뾰족하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목료·목천료·천료·묵다래나무·목좆다래나무·말다래라고도 한다. 줄기의 속은 희고 어린가지에 연한 갈색의 털이 있으며 간혹 가시 같은 억센 털이 있다. 한방약 목천료자(木天蓼子)는 열매...
    분류 :
    낙엽 활엽 만목
    학명 :
    Actinidia polygam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깊은 산의 나무 밑이나 계곡
    번식 :
    접목·분주·씨
    약효 부위 :
    열매·줄기·나무껍질
    생약명 :
    목천료자(木天蓼子)
    키 :
    줄기가 5m 정도
    과 :
    다래나뭇과
    채취기간 :
    9~10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시고 달고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3~8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다래나무
  • 강계시의 자연환경
    대륙성기후 지역이다. 연평균기온 6.2℃ 내외, 1월평균기온 -15.8℃ 내외, 7월평균기온 23.2℃ 내외, 연평균강수량은 952㎜ 정도이다. 산림이 시면적의 80%를 차지하며, 소나무·참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이깔나무·황철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또한 산지에는 머루·다래·삼지구엽초 등이 자생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노란팔점긴하늘소
    딱지날개는 황록색이고 더듬이와 다리는 검은색을 띤다. 검은 점이 앞가슴등판 위에 4개, 옆에 각 1개, 딱지날개에 8개 있다. 성충은 봄부터 나타나 다래덩굴 주변에서 활동하며 놀라면 잎 뒤로 숨는 습성이 있다. 암컷은 죽은 개다래 줄기에 산란한다. 유충은 나무껍질 밑에 번데기방을 만들고 겨울을 보낸 뒤 4월에...
    분류 :
    목하늘소아과(Lamiinae)
    서식지 :
    산지
    크기 :
    11~15㎜
    학명 :
    Saperda tetrastigma Bates, 1879
    분포지역 :
    회문산, 경각산, 변산반도, 운장산, 백운산, 계방산, 대관령, 해산령
    기주식물 :
    개다래
    월동형태 :
    유충
    출현시기 :
    5~6월
    도서 한국의 하늘소 | 태그 곤충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6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