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승기신론소 大乘起信論疏
    초학자(初學者)가 빠지기 쉬운 고집을 여래의 법신이 허공과 같다는 고집, 여래의 법신이 공(空)하는 고집, 여래장(如來藏) 안에 마음과 육신이 별개의 근본적인 요소를 이루고 있다는 고집, 여래장 자체에 세속적인 번뇌와 고통 등이 있다는 고집, 중생에게는 시작이 있고 열반에는 끝이 있다고 보는 고집 등 다섯 가지...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취 (불교) Upādāna, 取
    연기설인 12연기의 제9지분[支]이다.sfnsfn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sfnsfnsfnsfn 번뇌성의 마음작용인 애(愛)의 다른 이름이다. 즉, 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인 탐(貪)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9) 취(取)는 집착을 말하는 것으로서 애증의 염(念)에서 일어나는 강한 취사선택(取捨選擇)의 행동이며...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
    결(結)을 또한 박(縛)이라고도 한다. 박(縛)에는 특히 탐박(貪縛).cw진박(瞋縛).cw치박(癡縛)의 3박(三縛)이 있다.sfnsfn 수면 구체적으로는 총 98가지의 근본번뇌이다.sfnsfn 욕탐수면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cw견집소단(見集所斷).cw견멸소단(見滅所斷).cw견도소단(見道所斷).cw수도소단(修道所斷)의 5부(五部)의...
    도서 위키백과
  • 십지경 十地經
    더욱 돋우기 위한 한 편의 게송을 읊은 뒤, 십지를 닦는 자의 근본 마음가짐은 대비심(大悲心)과 직심(直心)과 심심(深心)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것이 범부의...설명한 뒤 금강장보살은 바라밀의 성취가 바로 십지임을 차근히 풀이하고, 바라밀이란 바로 번뇌의 죄업(罪業)을 떠나는 일이라고 풀이하였다. 그렇기 때문...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도서관
  • 법륜 法輪
    수레바퀴를 굴려 중생의 모든 번뇌를 굴복시키므로 비유하여 법륜이라고 하였다. 초기 불교의 교단에서는 부처의 설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가르침)을 선정법륜(善淨法輪)·방편법륜(方便法輪)·진실법륜(眞實法輪)·무여법륜(無餘法輪)의 4법륜으로 분류하였다. 길장은 근본법륜(根本法輪)·지말...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일심 一心
    즉, 남을 이롭게 하고 남을 총명하게 하는 행위의 근본이 되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는 것이다. 해행발심은 육바라밀(六波羅蜜)인 시(施)·계(戒)·인(忍)·근...알고 그에 순응하여 철저하게 계율을 준수하는 것이며, 인은 일심의 본성이 시기·질투·분노와 같은 번뇌를 영원히 떠나 있는 것임을 알고 이에 순응하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십선 십선업(十善業), 十善
    불양설(不兩舌), 저주를 퍼붓지 않는 불악구(不惡口), 무의미한 잡설을 지껄이지 않는 불기어(不綺語)를 포함한다. 마음으로 짓는 선한 행위는 흔히 모든 번뇌근본으로 지목되는 탐욕〔貪〕 · 분노〔瞋〕 · 무지〔癡〕의 삼독(三毒)으로부터 각각 자유로운 무탐욕(無貪慾) · 무진에(無瞋恚) · 정견(正見)을 포함...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뢰야삼위
    이러한 상태가 인아견(人我見) 즉 아집(我執)과 법아견(法我見) 즉 법집(法執)을 일으키고 이들이 바탕이 되어 번뇌장.cw소지장의 다른 모든 번뇌근본번뇌와 수번뇌를 낳아 결과적으로 유정으로 하여금 3계를 생사윤회하게 하고 진여에 대해 미혹하게 하고 진여의 근본지(根本智)가 발현되지 못하게 한다고 본다...
    도서 위키백과
  • 육수신
    3도: 견도.cw수도.cw무학도 견도: 16심.cw고법지인 무학도: 34심 성문 수행계위: 4향4과 보살 수행계위: 52위 현관: 4제현관.cw6현관 유루.cw무루 번뇌.cw잡염 근본번뇌.cw수면 3근본번뇌.cw6수면.cw7수면.cw10수면 설일체유부의 98근본번뇌 견혹: 설일체유부의 88근본번뇌 수혹: 설일체유부의 10근본번뇌 대승불교 일반...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아비달마장현종론)
    속한 근(勤)에 의해 대치(對治)되는 법으로, 대번뇌지법에 속한 마음작용이다.sfnsfn 《현종론》에 따르면, 해태는 무명(無明)의 등류(等流)이다. 즉, 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인 무명(無明) 즉 치(癡)로부터 일어나는 수번뇌이다.sfnsfn 그리고 해태와 치(癡)는 모두 대번뇌지법에 속하는 마음작용이다. 불신(不信, 믿지...
    도서 위키백과
  • 십육심
    3도: 견도.cw수도.cw무학도 견도: 16심.cw고법지인 무학도: 34심 성문 수행계위: 4향4과 보살 수행계위: 52위 현관: 4제현관.cw6현관 유루.cw무루 번뇌.cw잡염 근본번뇌.cw수면 3근본번뇌.cw6수면.cw7수면.cw10수면 설일체유부의 98근본번뇌 견혹: 설일체유부의 88근본번뇌 수혹: 설일체유부의 10근본번뇌 대승불교 일반...
    도서 위키백과
  • 기신론내의약탐기 기신론고적기(起信論古迹記), 起信論內義略探記
    義)는 집상응염(執相應染) · 부단상응염(不斷相應染) · 분별지상응염(分別智相應染) · 현색불상응염(現色不相應染) · 능견심불상응염(能見心不相應染) · 근본업불상응염(根本業不相應染)의 여섯 가지 오염에 대한 내용으로, 주로 이들 오염된 번뇌를 단절하는 순서를 밝히고 있다. 여덟째, 불신의(佛身義)는 주로...
    시대 :
    /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