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합동 군수 보급 지원 협정 CLASSAS, 合同軍需補給支援協定
    유류 및 탄약 수송, 정비 등 보급 물자와 용역을 상호 지원하는 것에 대한 협정.
    분야 :
    전력지원체계
  • 군수 보급 LGS, 軍需補給
    군대에 필요한 물자나 자금 따위를 계속해서 대어 줌.
    분야 :
    전력지원체계
  • 군수 지원함 AOE, 軍需支援艦
    유류 및 탄약 등 군수품 공급을 주 임무로 하는 함정.
    분야 :
    함정
  • 군수 수송 軍需輸送
    군수 물자를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활동.
    분야 :
    전력지원체계
  • 군수 정비 LGM, 軍需整備
    군수 물자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보살피고 손질함.
    분야 :
    전력지원체계
  • 국제 군수 협상 ILN, 國際軍需協商
    국제간 군수품의 조달에 관한 협상.
    분야 :
    전력지원체계
  • 군수 공장 軍需工場, Munitions Factory
    군수품을 생산하고 수리하는 공장.
  • Materiel 군수 (군사), 軍需
    Materiel (from the French matériel for equipment or hardware, related to the word material, and sometimes so spelled in English) is military technology and supplies in military and commercial supply chain management. In a military context, materiel relates to the specific needs of a force to...
  • 군수 (군사) Military logistics, 兵站
    전쟁 군수(軍需, 수송, 병기 수리 등의 업무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군수는 군대의 이동, 보급, 유지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학문이다. 가장 포괄적인 의미에서 다루는 것은 다음과 같은 측면 또는 군사작전이다. 군수품의 설계, 개발, 획득, 저장, 배포, 유지 관리, 대피 및 처리. 인원 수송. 시설의 취득 또는 건설, 유지...
    도서 위키백과
  • 전술 군수단 TACLOG, 戰術軍需團
    상륙 작전 시 함안 이동 간 상륙군의 군수 관련 소요에 관하여 해군 통제 장교에게 조언하기 위하여 상륙군의 인원으로 구성되는 기구.
  • 군수
    군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군수(郡守)는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인 군의 기관장이다. 군수(軍需)는 군사에서 병참, 수송, 병기 수리 등의 업무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유비고 有備庫
    내용 1397년(태조 6) 중국 송대의 내고(內庫)를 본떠서 설치한 것이다. 태조는 이를 설치하면서 “오직 군수(軍需)에 쓰이는 전(錢) · 포(布) · 곡(穀) · 화(貨)를 관리하게 한다.”고 하여 이 관청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제조에는 정도전(鄭道傳)을 임명하여 군수물자를 주관하게 하는 한편, 1398년에는 과천의...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