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양왕 瀋陽王
    권한공·채하중·조적 등이 심왕당을 만들어 심왕 고를 고려 왕으로 옹립하고자 했다. 이듬해 충숙왕은 심왕당의 참소를 받고 원에 불려가 국왕인을 빼앗기고 구류되다시피 하여 국왕으로서의 행세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러나 1323년 원나라에서 영종이 살해되고 태정제가 즉위하게 되어 충숙왕이 국왕인을 돌려받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약식명령 略式命令
    조사하여 피고인에게 벌금·과료·몰수의 형을 과하는 재판절차이다. 약식절차는 간이·신속·비공개로 행하는 점에 특색이 있다. 약식명령에 의해서는 구류에 처할 수 없다는 점과 청구권자가 검사인 점에서 즉결심판절차와 구별된다. 약식명령의 청구가 가능한 사건은 지방법원의 관할에 속하는 사건으로서 벌금·과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법
  • 파이란 Failan
    내용 미성년자에게 성인 비디오를 팔다가 구류를 살고 나온 강재(최민식)는 동네 오락실에서 하루를 보내는 3류 깡패이다. 뒷골목 동기인 친구는 어엿한 조직의 보스가 되어 있지만, 강재는 조직 안에서 나이대접도 제대로 받지 못한다. 그런 강재에게 아내(장백지)가 죽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아내가 죽었으니 와서...
    시대 :
    현대
    저작자 :
    아사다 지로(원작자), 송해성(감독)
    창작/발표시기 :
    2001년
    성격 :
    영화, 극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튜브픽쳐스
  • 함안 말이산 고분군 咸安 末伊山 古墳群
    화염형 투창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부장유물에서는 대금구나 이식 등과 같은 장식성을 강하게 띠는 금공품보다는 갑주, 마갑, 마구류와 같은 무기구류를 다량 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의와 평가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5-6세기에 축조된 고분군으로 함안형식토기를 비롯하여 세장방형 수혈식 석실, 석곽...
    시대 :
    고대/삼국/가야
    문화재 지정 :
    사적 제515호
    성격 :
    무덤군
    유형 :
    유적
    면적 :
    525,221㎡
    소재지 :
    경남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484 등 562필지
    분야 :
    역사/고대사
  • 복천동고분군 福泉洞古墳群
    금동관·금귀걸이[金製耳飾]·유리구슬·곱은옥[曲玉] 등의 장신구류·쇠도끼[鐵斧]·쇠손칼[鐵製刀子]·쇠끌[鐵鑿]·쇠삽날·쇠낫[鐵鎌] 등의 농공구류, 쇠살촉[鐵鏃]·화살통·쇠투겁창[鐵鉾]·대도·삼지창 등의 무기류, 판갑옷[板甲]·비늘갑옷[札甲]·투구[胄] 등의 갑주류, 말머리가리개[馬胄]·안장꾸미개[鞍金具...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산
  • 영일민속박물관 迎日民俗博物館, Youngil Folk Museum
    생활관으로 조상들의 관혼상례용구, 부엌도구, 신변잡구류 등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베틀, 토기항아리, 디딜방아를 비롯하여 1,771점의 생활용구류와 지게, 도리깨, 절구, 새우잡이통 등 1,142점의 농어업 기구류, 조선 건국사집, 칙령, 교지, 시집 등 250점의 고서적류, 질그릇, 도자기, 귀대병 등 591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박물관
  • 영릉 진종과 효순왕후의 능, 永陵
    장신구류인 복완, 실물보다 작게 만든 식기, 제기, 악기 등의 다양한 명기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진종과 효순왕후의 부장품은 조금 다르다. 복식과 장식구류는 부부의 성별에 따라 달리 구성되었으며 무기류는 남성인 진종의 부장품에만 있다. 이 밖에 나무로 된 노비, 악공 등은 고대 순장 풍습의 흔적으로 조선 초기...
  • 장발과 미니스커트 단속
    퇴폐풍조'로 규정하고 이를 엄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경찰이 가위와 자를 들고 다니며 거리에서 남성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여성의 무릎과 치마 사이 길이를 쟀다. 장발 단속 건수는 1973년 한 해에만 1만 2870건에 이르렀다. 미니스커트를 입은 여성이 즉심에 회부돼 25일 구류 처분을 받는 일도 벌어졌다.
    시대 :
    1973년 3월 10일
    국가/대륙 :
    한국
  • 박종철 朴鍾哲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2학년이었던 1985년에는 서울미문화원점거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가두 투쟁에 참여하였다가 검거되어 5일간 구류 처분을 받았다. 여름방학에는 전라북도 익산군(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에서 진행된 농촌 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이어 대림동 세왕전기 공장에 취업해 활동하는...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현대사
  • 김용희 金龍熙
    신성중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9년 일본어 사용을 거부한 사건으로 선천경찰서에서 3일 동안 구류되었다. 이듬해인 1940년에는 학우 수십 명과 함께 신사참배거부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1942년 중국으로 망명했고, 1944년 푸양[阜陽]에서 광복군에 입대하여 정보·유격 등 특수훈련을 받고 구전[固鎭]과 쑤셴[宿縣...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조통 역락(亦樂), 趙通
    급제한 뒤 정언(正言)을 거쳐 고공낭중(考功郎中)이 되어 전왕의 양위표(讓位表)와 신왕의 「권수청명표(權守請命表)」를 올리러 금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구류되었다. 금인(金人)들이 조통의 재능을 사랑하여 돌려보내니, 태자문학(太子文學)을 거쳐 지서북면유수사(知西北面留守事)가 되었다. 1199년(신종 2) 동경...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고공낭중(考功郎中), 국자감대사성(國子監大司成), 한림학사(翰林學士)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옥과(玉果)
  • 정안지 鄭安止
    태조 4) 요동에서 사람이 오므로 중랑장인 그가 압송해서 돌려보냈다. 1398년 두 차례 천추절(千秋節)을 하례하기 위하여 압물(押物)로서 다녀왔고, 중국에 구류중인 가솔을 위문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 좌우습유(左右拾遺)를 지냈는데, 환자(宦者)인 승녕주부(承寧注簿) 박문실(朴文實)이 소환(小宦)으로 소사...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21년(세종 3)
    경력 :
    세자시강원문학, 한성소윤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임군례의 대역사건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일제 측의 「만세소요에 의한 구류 여학생에 관한 건」에 기록된 노보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