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현 三弦, san-hsien
    조율용 줄감개가 달린 등이 굽은 줄감개 통이 있다. 연주할 때 흔히 넓은 이 사용되는 이 현악기는 희극이나 강창할 때 반주하거나, 관현악을 연주할 때 널리...지판 위를 미끄러지는 활주법이 특징이다. 20세기의 음악가 바이펑옌[白風岩:1899~1975]과 리이[李乙:1932~]가 삼현을 비중 있는 독주악기로 끌어올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아쟁산조」 牙箏散調
    아쟁의 기록이 있고 조선 초기의 『악학궤범』에는 아쟁의 구조와 연주법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아쟁은 가야금과 유사한 형태로서 나무 이나 말총 활로 연주하는 악기이며 이런 예는 현재 다른 민족의 전통 음악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매우 희귀하고 독특한 악기이다. 아쟁은 그 구조와 음역 상 본래는...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 크루스 crwth
    이 가운데 2개의 현이 지판을 지니고 있지 않았다. 가장 높은 현은 선율을 연주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다른 현들은 저음을 담당했다. 지판이 없는 현들은 활로 소리내거나 을 연주하는 손의 엄지로 뜯어 소리를 낸다. 줄받침의 한쪽 발은 울림구멍을 지나가며, 이로써 현의 진동을 악기 뒷면으로 전달시켜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소해금 Sohaegeum, 小奚琴
    유사하게 완전5도 간격(g-d'-a'-e")으로 하며 실제 연주되는 소리(실음)는 기보음보다 장2도 낮고, 이 때문에 서양식 기준으로 하면 Bb조 악기로 분류된다.. 기존에 을 안쪽으로 넣고 마찰로 소리를 매는 해금에 비해 소해금은 연주시에 바이올린처럼 현 위에 놓고 연주한다. 연주 자세도 종래의 해금은 마룻바닥에...
    도서 위키백과
  • 시베리아 문화유형
    무기는 과 화살, 매머드나 해마의 뿔로 만든 날카로운 창이었다. 많은 부족들이 나무껍질로 배를 만든 뒤 자연재료를 이용해서 복잡한 모양의 그림을 그려넣었다. 요리용 그릇은 쇠를 이용해 만들거나 러시아에서 들여왔으며, 옷은 동물의 가죽으로 지어 정교하게 장식했다. 일반적으로 가옥은 이동식으로서 기둥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옥토베이스 Octobass, オクトバス
    낮은 음을 내는 3번째 현은 C0(16.35hz)를 내는데, 인간의 평균 가청주파수가 20~20000hz 이므로 음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낮다. 악기의 높이는 약 3.45m이며 100kg이 넘는다. 은 50cm정도의 길이에 두께는 엄지손가락보다 두껍다. 현대에는 극히 일부 연주회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 전 세계에...
    도서 위키백과
  • 한국-호주 수교 50주년 디저리두
    다져왔다. 우정사업본부와 호주우정은 수교 50주년을 축하하며 양국의 전통악기 중 한국의 ‘해금’과 호주의 ‘디저리두’를 공동우표로 발행한다. 해금은 두...긴 대나무를 연결하여 명주실로 만든 두 개의 현을 걸고, 말총으로 만든 에 송진을 먹여 두 현 사이에 넣고 문질러서 소리를 낸다. 해금에는 일정한...
    발행일 :
    2011.10.28
    발행량 :
    7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270
    디자인 :
    디저리두
    우표번호 :
    2830
    인면 :
    28 X 36mm
    천공 :
    13
    전지구성 :
    4 X 4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4도
    우표크기 :
    30 X 40mm
    디자이너 :
    신재용,Brian Clinton(호주)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한국-호주 수교 50주년 해금
    다져왔다. 우정사업본부와 호주우정은 수교 50주년을 축하하며 양국의 전통악기 중 한국의 ‘해금’과 호주의 ‘디저리두’를 공동우표로 발행한다. 해금은 두...긴 대나무를 연결하여 명주실로 만든 두 개의 현을 걸고, 말총으로 만든 에 송진을 먹여 두 현 사이에 넣고 문질러서 소리를 낸다. 해금에는 일정한...
    발행일 :
    2011.10.28
    발행량 :
    7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270
    디자인 :
    해금
    우표번호 :
    2829
    인면 :
    28 X 36mm
    천공 :
    13
    전지구성 :
    4 X 4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4도
    우표크기 :
    30 X 40mm
    디자이너 :
    신재용,Brian Clinton(호주)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선유락 선락(船樂), 船遊樂
    검··화살을 차고, 배 앞에 양편으로 서서 호령집사의 역할을 한다. 채선(彩船)을 둘러싸고 두 겹의 원형으로 구성되는데, 안에서 배를 끄는 내무(內舞)와 바깥에 큰 원형으로 서는 외무(外舞)의 형태이다. 내무와 외무의 인원은 연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예컨대, 외무의 경우 1868년의 진작에서는 20명이었는데...
    시대 :
    조선
    성격 :
    정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이타코 Itako, イタコ
    말을 전하는 역할이었다고 전해진다. 이타코는 점칠 때 수주나 염주를 쓰지만, 일부 이타코는 교령(交靈)할 때에 악기를 쓰기도 하며, 그 때의 악기는 아즈사유미(梓弓)아고 불리는 모양의 악기가 많다. 이 외에 왜금(倭琴)이나 태고 따위도 쓰인다. 이들은 농촌신앙 등에서 쓰인 일본의 고대음악의 흔적으로 보이며...
    도서 위키백과
  • 노족의 문학예술
    노족의 악기로는 주로 ‘따비야(达比亚)’, ‘지워이(几味)’, ‘두두리리야(独独丽丽亚)’, ‘피리리야(匹丽丽亚)’, 쑈우산샌(小三弦), 갈대상황(芦笙) 및 퉁소(竹箫) 등 몇 가지가 있다. 기악과 무용의 긴밀한 결합은 노족 무용의 중요한 특징이다. 남녀군무가 주요 형식인 단체무용은 노족 무용의 또 다른 하나의...
    분류 :
    장면어족 민족 > 노족
  • 바로크 바이올린 Baroque violin, バロック・ヴァイオリン
    않고 연주한다. 현대 바이올린을 연주할 경우 턱받침이나 어깨받침으로 악기를 제대로 고정하지만 없을 경우엔 자유도가 높고 긴장이 없는 자연스러운 몸의 자세...위치하게 되어 현은 쇄골과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연주자의 을 가지는 손의 위치에도 큰 영향을 미쳐서 현대 바이올린으로는 곤란하거나 비교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