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란록 避亂錄때는 1893년이며, 예산과 덕산 등지의 동학 지도자 이름 등을 밝혔다. 성환에서 일본군에게 패한 청국군 패잔병으로 인해 벌어지는 소동을 보고, 동학이 화근이라고 질책하며 개항 이후 서양 제국과 문물의 침투를 비판하는 보수 유생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이미 6월에 기포한 이 지역 동학농민군들이 평소 원한이...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94년(고종 31) 7월 ∼1895년(고종 32) 3월
- 성격 :
- 역사서, 천도교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챌린저호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사고 조사 결과, 챌린저호의 결함은 왕복선의 로켓 추진 장치에 장착한 오링(O-Ring)의 오작동으로 밝혀졌다. 예상치 못한 추운 날씨로 오링이 얼어버린 게 화근이었다. 이 사고로 정부 위원회는 로켓 추진 장치의 연결 장치를 새로 설계할 것을 명했으며, 우주선의 발사 규정을 재정비하고, 왕복선 프로그램 관리 구조...
-
인와문집 忍窩文集시작했으나 조정 대신들이 무사안일의 태도를 가진 나머지 대비하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이와 같이 참변을 당했음을 상기시키면서 오직 준비만이 모든 화근을 방지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 밖에도 거울의 밝은 빛은 항상 남을 비쳐준다고 찬미한 「경명(鏡銘)」과 자기의 포부를 표현한 「인와기(忍窩記)」가 있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술현
- 창작/발표시기 :
- 1835년(헌종 1)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이재즙, 이기혁, 이상혁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불꽃시위에 앞장섰던 투사적 인물이며, 이 사건으로 아들을 잃은 할아버지는 완고한 전근대적 인물의 전형이다. 현은 유복자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집안의 모든 화근이 선친의 묏자리가 나쁜 탓이라고 생각하며 현실에 대해 전혀 무관심하고 소극적이다. 현이 소년시절 할아버지의 혹을 조롱하는 아이들과 싸워 피투성이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최눌 묵암(默庵), 最訥각각 원만하게 있지만 본래는 하나’라는 입장에 서 있었다. 10년 후 최눌의 제자인 화일(華日)과 경현(敬賢)은 지리산 천은사(泉隱寺) 상선암(上禪庵)에서 이 책이 쟁론의 화근이 될까 우려하여 불태웠다고 한다. 그리하여 현재 최눌이 쓴 『심성론』은 전해지지 않고 유일이 쓴 『심성론』 「서문」만 남아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월계화 月季花, China rose삼각추 비슷한 가시가 산생한다. 번식방법 삽목으로 증식시킨다. 용도 •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 花(화)는 月季花(월계화), 根(근)은 月季花根(월계화근), 葉(엽)은 月季花葉(월계화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月季花(월계화) ①여름과 가을에 반쯤 핀 꽃을 채취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말린다. 또는 약한 불에...
- 분류 :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 꽃색 :
- 녹색, 붉은색
- 학명 :
- Rosa chinensis Jacq.
- 개화기 :
- 5월
-
생열귀나무 Amur rose養血(양혈),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氣滯腹瀉(기체복사), 胃痛(위통),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자매화근 ①약효 : 월경폐지를 치료한다. 자매과근 18g을 달인 물에 계란을 넣어 복용한다. 세균성이질의 치료와 예방에 자매과근 600g에 물 4ℓ를 붓고 1ℓ가 되도록...
- 분류 :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 꽃색 :
- 주황색, 자주색
- 학명 :
- Rosa davurica Pall.
- 개화기 :
- 5월, 6월
-
한림씨엠씨점안액 15mL/병 (수출용) Hanlim CMC Eye Drops 15mL/BT성분/함량 1mL 중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5 mg (KP) 효능효과 안구건조증이나 바람ㆍ태양에 노출되어 생기는 화근거리는 증상, 자극감, 불쾌감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킴, 안구 자극감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음 용법용량 필요시 증상이 있는 눈에 1~2방울씩 점안한다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 식약처 분류 :
- [01310]안과용제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감각기관 작용약(눈 및 안과용) > 각막 보호제 > 인공누액 > CMC
- 제조/수입사 :
- 한림제약(주)
- 성상 :
- 무색투명한 용기에 든 무색 내지 엷은 황색의 액이 든 점안제
- 제형 :
- 점안제(점안액)
- 투여 경로 :
- 외용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상온(15∼25℃)보관
-
가는잎조팝나무解熱(해열), 收斂(수렴)의 효능이 있다. 咽喉腫痛(인후종통), 학질, 感冒發熱(감모발열), 신경통, 설사,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咽喉腫痛(인후종통)에는 소엽화근 30g에 半邊蓮(반변연), 金銀花(금은화) 각 15-18g을 달여서 砂糖(사당)을 적당량 가하여 아침, 저녁 식전에 복용한다. 유사종 • 조팝나무 : 잎은...
- 분류 :
- 장미목 > 장미과 > 조팝나무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Spiraea thunbergii Siebold ex Blume
- 개화기 :
- 4월, 3월
-
숫타니파타, 함부로 하는 말은 도끼로 자신을 찍고 만다사람은 태어날 때 입 안에 도끼를 가지고 나온다. 어리석은 사람은 말을 함부로 함으로써 그 도끼로 자신을 찍고 만다. 해설 항상 인간관계에서는 말이 ‘화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친한 친구사이에서도 농담으로 한 말로 인해 가끔 다투기도 한다. 사실 말이란 하는 사람의 입장과 듣는 사람의 입장이 일치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