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홍진 관보(寬甫), 趙弘鎭
    병과로 급제하고, 이 해 원춘도(原春道:강원도의 이칭)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염찰 활동을 하고 돌아왔다. 이듬해 홍문록(弘文錄: 홍문관의 修撰·校理를 선발하기 위한 홍문관의 제1차 인사기록)에 올랐다. 이 해 이조좌랑이 되었는데, 왕의 소명을 어긴 죄로 산청현감으로 좌천되었다. 1785년 지제교(知製敎)에 발탁...
    시대 :
    조선
    출생 :
    1743년(영조 19)
    사망 :
    1821년(순조 21)
    경력 :
    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양(豊壤)
  • 저작 著作
    교서관저작은 1392년(태조 1)에 설치한 교서관저작랑을 1401년(태종 1)에 바꾼 것이며, 승문원저작은 1415년에 설치되었다. 홍문관저작은 1463년(세조 9) 11월 홍문관을 설치할 때 두었던 저작랑을 1466년 7월 관제개정 때 저작으로 바꾸면서 설치했다. 국사의 수찬을 담당했으며, 홍문관저작은 경연에 참석할 수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수찬 修撰
    내용 정원은 2인이다. 1463년(세조 9) 11월 홍문관이 신설된 뒤에 증설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때의 홍문관 기능은 장서를 보관하는 임무에 그쳤다. 학술·언론기관으로서의 홍문관은 1478년(성종 9)에 집현전의 기능과 직제를 이은 기관으로 성립되었다. 홍문관은 최고의 문필기관으로서 그 관원은 청화직(淸華...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63년(세조 9) 11월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서명선 徐命善
    본관은 달성. 자는 계중, 호는 귀천·동원. 아버지는 이조판서 종옥이다. 1763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부교리를 거쳐 교리가 되었으나, 이듬해 홍문관에서 올린 상소가 왕의 분노를 사 홍문관의 다른 관원들과 함께 유배되었다. 곧 복직되어 지평·헌납·풍산만호·응교 등을 지냈다. 1767년 문과중시에서 급제한...
    출생 :
    1725(영조 1)
    사망 :
    1791(정조 15)
    국적 :
    조선, 한국
  • 유간 노천(老泉), 柳澗
    僉正)직을 수행하다가, 1598년(선조 3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2년 후 형조정랑으로 옮겼다가 다시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홍문관의 부수찬·부교리를 지냈다. 홍문관 재직시 경연에서는 주로 『주역』을 강하였다. 이후 의정부사인, 세자시강원필선, 홍문관의 교리·부응교를 거쳐 경상도어사로 파견되기도...
    시대 :
    조선
    출생 :
    1554년(명종 9)
    사망 :
    1621년(광해군 13)
    경력 :
    형조정랑, 홍문관부교리, 홍문관응교, 우승지, 대사간, 대사헌, 우참찬, 울산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진주(晉州)
  • 김구 대유, 金絿
    현감 계문이다. 1503년(연산군 9) 한성시에서 1등으로 뽑혔고, 1507년(중종 2) 생원·진사시에서 모두 장원을 차지했다. 1511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전경(典經)·사경(司經)·부수찬 등을 지냈다. 1515년 사가독서한 뒤, 홍문관직제학·좌승지 등을 역임하고, 1519년 홍문관부제학이 되었다. 그러나 같은...
    출생 :
    1488(성종 19)
    사망 :
    1534(중종 29)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교리 校理
    홍문관·교서관·승문원·집현전에 두었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홍문관과 집현원에서 서적을 다른 것과 비교해서 맞고 틀림을 조사·정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승문원 교리는 1409년(태종 9)에 문서응봉사를 개편·강화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이듬해 명칭 변경과 함께 2명으로 정원이 확정되었고, 그 임무는 주로 외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태동 성등(聖登), 趙泰東
    또 김천추(金天樞) 등의 억울한 정상을 비호하여 이를 긍휼(矜恤: 가엾게 여김)하게 하였다. 그 뒤 유봉서(柳鳳瑞)·민진원(閔鎭遠) 등과 홍문록(弘文錄: 홍문관의 校理나 修撰 등을 선발하기 위한 제1차 인사기록)에 올랐고, 곧 이어 사서(司書)를 거친 뒤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이 되었다. 1697년 평사(評事)로...
    시대 :
    조선
    출생 :
    1649년(인조 27)
    사망 :
    1712년(숙종 38)
    경력 :
    함경도관찰사, 대사간, 대사헌, 형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양주(楊州)
  • 고문관 考文館, Gomungwan
    한경지략(漢京誌略)』의 기록을 보면 주자소(鑄字所) 옆에 있는 건물을 고문관이라 하고, 어느 시기에 설치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혹은 이곳이 옛 홍문관(弘文館)이라는 내용이 있다. 1859년(철종 10)에 재주정리자(再鑄整理字)로 간행된 『국어(國語)』의 권말(卷末)에 있는 「주자사실(鑄字事實)」의 기록에 의하면...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서적 관련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처 :
    조선 조정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십팔학사도서지부 현판 十八學士圖書之府 懸板
    유물설명 홍문관(弘文館)에 걸었던 현판으로 ‘십팔학사(十八學士)들의 서책이 있는 관서’라는 뜻이다. 홍문관은 궁중의 경서와 서적[經籍]을 관리하고 문한(文翰)을 다스리며 왕의 자문에 대비하던 관청으로 옥당(玉堂)이라고도 하였다. 경복궁 홍문관은 영추문迎秋門 안쪽이자 수정전 남서쪽 궐내 각사 권역에 있었다...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275.5cmcm, 세로: 37cmcm
    재질 :
    나무 / 피나무
  • 훈구와 사림의 대립 속에서 과도기 정치를 이끌다, 이준경 동고(東皐), 李浚慶
    리더십으로 조선에 사림정치를 정착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준경의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원길(原吉), 호는 동고(東皐)이다. 1499년(연산군 5) 홍문관 수찬 이수정(李守貞)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수정은 할아버지 이세좌(李世佐)와 함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죽임을 당했다. 이때 이준경...
    도서 재상열전 | 태그 한국사 , 조선
  • 임백령 林百齡
    이며, 어머니는 박자회(朴子回)의 딸이다. 박상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상서원직장·예문관검열·홍문관저작을 지냈다. 1524년 홍문관부교리가 된 뒤 사헌부지평·홍문관교리·영광군수를 역임했다. 1532년 사헌부로 다시 옮겨 장령·집의를 거쳐 1537년 승정원도승지가 되었다. 1538년 공조...
    출생 :
    1498(연산 4), 전라도 해남
    사망 :
    1546(명종 1), 중국 영평부(지금의 허베이성 일대)
    국적 :
    조선,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홍문관서목
홍문관서목
옥당선생안
홍문관지
옥당선생안
홍문관지
왕형문공시(권27) / 홍문관장서인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