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488(성종 19) |
---|---|
사망 | 1534(중종 29)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전기의 주자학자이며 4대 서예가의 한 사람.
본관은 광산. 자는 대유(大柔), 호는 자암(自庵)·삼일재(三一齋). 아버지는 현감 계문이다.
1503년(연산군 9) 한성시에서 1등으로 뽑혔고, 1507년(중종 2) 생원·진사시에서 모두 장원을 차지했다. 1511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전경(典經)·사경(司經)·부수찬 등을 지냈다. 1515년 사가독서한 뒤, 홍문관직제학·좌승지 등을 역임하고, 1519년 홍문관부제학이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남곤(南袞) 등 훈구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 등과 함께 투옥되어 개령에 유배되었다가 남해로 옮겨졌다. 1533년 풀려나 고향인 예산에 돌아왔지만 이듬해 죽었다.
일찍부터 주자학연구에 전념하여 학문이 조광조·김식과 견주었으며, 음률에도 뛰어나 악정에 임명된 적도 있다. 안평대군(安平大君)·양사언(楊士彦)·한호 등과 함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로 손꼽힐 만큼 글씨에도 뛰어났다. 서울 인수방(仁壽坊)에 살았다 하여 독특한 그의 서체를 인수체라고 한다. 저서로는 〈자암집〉이 있고, 글씨로는 〈자암필첩〉·〈우주영허첩 宇宙盈虛帖〉 등이 전한다. 이조 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예산 덕잠서원(德岑書院)과 임피 봉암서원(鳳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의(文懿)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