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살풀이장단 살풀이
    해금과 같은 선율악기가 시나위를 반주한다. 노랫말은 한 박에 두 자씩 붙이기도 하고 일자 다음식(一字多音式)으로 붙이기도 한다. 동해안지방 무가에서 중중모리형 장단을 ‘동살풀이’라고 하나 이 말은 잘못 쓰이는 것 같다. 장단은 2소박 4개가 모인 보통빠르기의 장단으로 서양음악의 4분의 4박자로 표기할 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평조 平調
    정가에 쓰인 평조의 용어를 빌려 써서 가곡·풍류와 비슷한 선율인 우조가 다시 우조대목과 평조대목으로 구분되었다. 중모리·중중모리에는 평조대목이 많으며, 평조대목은 선율 구성이 솔과 도가 주요음 구실을 하며 도로 마친다. 이 음악의 특징은 정대화평·웅심화평이라 하여 평안하고 화창한 느낌을 주는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선증애소리
    초기 판소리광대와 같은 창우집단 출신이라 선증애소리는 판소리와 그 특징이 유사하다. 내용 선증애소리는 여느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달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판소리장단(패기장단)으로 반주되고, 노래 창법도 무가의 어정성음이 아니라 판소리의 패기성음(평조, 계면조)에 가깝다. 공연방식도 선증애꾼...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장님굿
    거리를 행한다. 굿의 목적은 죽간에 지전을 매단 맹인대로 눈을 씻어주어 안질환자를 고쳐주거나 구경꾼들의 액막이를 겸한다. 무당이 '눈 띄운다'고 하여 중중모리장단에 메나리토리로 노래하며 장님의 눈을 뜨게 하는 '약수 뜨는 시늉'과 재담을 하고 나서 봉사 눈 띄운다며 놀이굿을 논다. 한참 동안 굿을 몰아가다가...
  • 판소리장단 판소리長短
    로 지정되었다. 판소리장단에는 진양(느린진양인 삼공잽이, 보통속도의 진양인 평진양, 자진진양인 세마치) · 중모리(느린 중모리, 평중모리, 단중모리) · 중중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단모리 또는 세산조시) · 엇모리 · 엇중모리가 있다. 예능보유자로는 이성근(李成根)과 주봉신(朱鳳信)이 있다. 이성근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쾌지나칭칭 칭칭이소리
    억지로 지어붙인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경상도 민요 「월월이 청청」과 같이 ‘달이 밝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느린 것과 빠른 것이 있는데, 느린 것은 중중모리장단에 맞고 빠른 것은 자진모리장단에 맞는다. 한 장단에 선소리꾼이 “하늘에는 별도 총총” 하고 메기면 놀이꾼들이 “쾌지나칭칭나네” 하고 한 장단...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시나위 합주 시나위, 시나위 合奏
    해금, 장구, 징 등의 악기 연주자들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기악 합주 음악의 총칭이다. 그러나 현행 시나위 합주는 무악 장단이 아니라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과 같은 산조 장단에 의해서 연주되고 있다. 시나위 합주의 이런 연주 형태는 조선 후기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무당의 굿판에서 연주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김대례 김대심(金大心), 金大禮
    박소심에게서 무가의 사설과 가락 및 장단을 배웠다. 조상 축원, 신을 올리는 축원, 대왕놀이, 흘림, 떵떵이, 엇중모리, 진양, 굿거리, 넋풀이, 선부리, 중중모리, 중모리 등의 순서로 음악을 배웠다고 한다. 19세에 임회면에 살던 한찬용(韓贊用)과 결혼했으며 시댁의 친척이 되는 한삼단(韓三丹)에게서 무가를 전수...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어울리는 몸짓·손짓)의 3가지로 구성되는데, 창은 흔히 '소리'라 하며 말로 하는 아니리의 상대적인 뜻으로 쓰인다. 판소리에서 창은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엇모리·엇중모리와 같은 장단에 계면조·우조·평조·설렁제(드렁조)·경드름(경조)·추천목과 같은 조로 된 선율을 얹어서 부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가야금산조 伽倻琴散調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가야금산조는 무속음악의 시나위처럼 허튼가락에서 출발하여 판소리 등의 영향으로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와 같이 느린 속도의 곡에서 빠른 속도의 곡으로 진행하는 틀이 19세기 말에 짜져서 오늘에 이른다. 김창조(金昌祖)가 그 효시라고 일컬어지나 그...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농악의 편성
    있는데, 전반적인 가락순서를 볼 때 기본적인 쇳가락은 5채 질굿, 외마치 질굿, 풍류굿, 3차굿, 호호굿, 오방진굿, 길군악 등 7~8종으로 짐작된다. 이것은 거의 4박자이고 자진모리·중중모리·휘모리 장단에 불과하며 대부분 자진모리 장단이다. 요즈음은 차와 가락이 많이 없어졌는데 원본이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진도아리랑 珍島─
    바탕으로 한 선율구조로 장식음·비음(鼻音)의 사용이 많다. 일반적으로 중모리장단으로 부르나 때에 따라서는 느린 박자인 진양조나 중모리보다 약간 빠른 중중모리로 부를 수도 있다. 「진도아리랑」은 「정선아리랑」이 지니고 있는 비탄조와는 다르게 「육자배기」 가락에 판소리의 구성진 목청이 어우러진 진도...
    성격 :
    민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소장/전승 :
    전라남도 진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중중모리 장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