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함양 도천리 하륜 부조묘 소장 삼공신회맹록 등 고문서 일괄 咸陽 道川里 河崙 不祧廟 所藏..손 입안은 태종 때의 공신인 하륜의 후사가 증손 하후(河厚)에 이르러 끊어지자, 영조 때 진주와 함양의 방손들이 의논하여 그의 제사를 받들 인물로 하륜의 종현손 목사 하우치(河禹治)의 9세손 하한통(河漢通)으로 정하고, 문중의 대표자들이 이를 관아 · 감영 · 예조를 거쳐 왕에게 상언하여 왕의 허가를 받은 후...
- 시대 :
- 조선 전기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계룡산기행 鷄龍山記行동학사의 암자들이 푸른 석벽과 붉은 언덕 사이로 어렴풋이 비쳤다. 산 아래로 신도안의 언덕과 논밭들이 뻗어 있고, 국사봉(國師峰)·영천(靈泉)·종현(鐘峴)·봉림사(鳳林寺)·용연(龍淵) 등이 보였다. 신도안의 물은 남쪽으로 흘러 대둔산을 지나 동자산(童子山)에 이른 뒤에 신탄(新灘)의 중천(重川)·부영강(浮瀛江...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남하정
- 창작/발표시기 :
- 1731년
- 성격 :
- 기행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한기근 바오로, 韓基根바오로. 경기도 양지 추계(秋溪)의 천주교 집안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릴 때 양친이 사망하여 큰아버지의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1883년 세례를 받은 뒤 종현 학당에서 공부하다가 1884년 신부가 되기 위하여 정규하(鄭圭夏) 등과 함께 말레이시아의 페낭신학교로 유학하였다. 그러나 기후와 풍토를 이겨내지 못하여 풍토병...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8년
- 사망 :
- 1939년
- 경력 :
- 예수성심신학교의 교수, 경향잡지사(京鄕雜誌社) 사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제, 신부, 번역가, 출판인
- 대표작 :
- 묵상법, 종도행전(宗徒行傳), 성체조배(聖體朝拜)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신성우 申聖雨예수성심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 신학교 내에서 학생들과 만세 시위에 가담한 일로 징계를 받아 예정보다 1년 늦은 1920년 9월 18일에 종현(鍾峴, 현, 명동주교좌)성당에서 서울대목구 부주교 드브레(Devred, 兪世竣)로부터 사제품을 받았다. 서품 직후 평양시 관후리(館後里)본당의 보좌 신부로 1개월...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서유방 원례(元禮), 徐有防병조판서·공조판서 등을 거쳤다. 1793년 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를 역임할 당시 정조가 조선의 실정에 맞는 술수서 제작을 명하였다. 이에 1795년 민종현(閔鍾顯), 심이지(沈頤之) 등과 함께 『협길통의(協吉通義)』를 편찬하였다. 1794년 검교직제학(檢校直提學)으로 있다가 제학(提學) 정민시(鄭民始) 등 10인과 함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41년(영조 17)
- 사망 :
- 1798년(정조 22)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달성(達城)
-
백운산 용궁사 백운사(白雲寺), 白雲山 龍宮寺있는 태극무늬의 목판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서 조선 후기의 목조건물 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유물로는 1880년에 竺演(축연)과 宗現(종현)이 조성한 용궁사 수월관음도를 비롯하여 목조보살좌상, 지장탱화, 신중탱화 등이 있다. 용궁사 편액은 1854년 흥선대원군이 쓴 것이다. 목조보살좌상은 중국...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자호재문집 自好齋文集편찬/발간 경위 1887년(고종 24) 이택징의 종현손 이발영(李發榮)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최광태(崔光泰)의 서문, 권말에 이발영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활자본.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0수, 서(書) 8편, 계사(啓辭) 1편, 권2에 소(疏) 3편, 소계(疏啓) 20편, 부록...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택징
- 창작/발표시기 :
- 1887년(고종 24)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이발영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이경석 선생 묘 李景奭 先生 墓묘정경부인전주유씨부좌(有明朝鮮國領議政文忠公 白軒李先生景奭墓貞敬夫人全州柳氏祔左)’라고 쓰여 있다. 뒷면은 현손(玄孫) 이광회(李匡會)가 글을 짓고, 종현손(從玄孫: 형제의 현손)인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가 글씨를 썼다. 묘역 입구에는 1754년(영조 30)에 세워진 신도비가 있는데, 비문은 박세당(朴世堂)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담허재집 澹虛齋集내용 6권 3책. 활자본. 1895년(고종 32) 후손 종술(鍾述)이 편집, 송병선(宋秉璿)이 교열, 8세손 낙린(洛麟)·낙리(洛鯉)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종현(閔鍾顯)의 서문과 권말에 낙리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67수, 권2에 소 2편, 권3에 서(書) 24편, 권4에 잡저 8편, 권5에 서(序) 4...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지백
- 창작/발표시기 :
- 189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김종술, 송병선, 김낙린, 김낙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