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패널 분석 Panel analysis
    분석만으로 파악할 수 없는 추가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회과학에서의 실증연구는 보통 하나의 현상에 대한 원인이 되는 요인을 독립변수로, 이것으로 인한 결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는 [인과관계] 연구가 큰 줄기를 이루어 왔다. 패널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많은 학자와 연구자들은 사회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도서 위키백과
  • 미분 (주요 부분) Differential of a function, 関数の微分
    미분은 다음과 같다. dy=f'(u)du 한편 함수 y=f(u)와 u=g(x)에 의하여 얻어지는 y의 x에 대한 함수 y=f(g(x))를 미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u는 x에 대한 종속 변수이다) dy=f'(g(x))g'(x)dx 이때 g'(x)dx는 곧 du이고, f'(g(x))는 f'(u)이므로, 위의 식은 아래와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dy=f'(u)du 이는 u를 독립 변수...
    도서 위키백과
  • 복소해석학 Complex analysis, 複素解析
    더욱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분야가 되었다. 최근의 중요한 복소함수론의 응용은 물리학의 끈 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소함수란 독립변수종속변수가 모두 복소수인 함수를 말한다. 다시 말해 복소함수는 정의역과 치역이 복소평면의 부분집합인 함수로, 복소함수의 독립변수종속변수는 모두...
    도서 위키백과
  • 피터 스튜어트 (생리학자) Peter A. Stewart
    한 가지 모형이다. 스튜어트는 강한 양이온의 전하량에서 강한 음이온의 전하량을 뺀 값을 강이온차이라고 정의했고, SID, 총 약산 농도(ATOT), 그리고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사이의 관계를 사차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스튜어트의 사차방정식은 컴퓨터를 이용해서 수치적으로 풀 수 있지만 적정이나 생리학적 실험...
    도서 위키백과
  • 1차 논리 First-order logic, 一階述語論理
    않는다면, x를 \phi의 자유 변수라고 하며, 그렇지 않다면 x를 \phi의 종속 변수라고 한다. 자유 변수를 갖지 않는 (즉, 그 속에 등장하는 모든 변수종속 변수인) 논리식을 문장(文章, llang)이라고 한다. 1차 논리의 증명 이론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리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비트 힐베르트의 힐베르트 체계나...
    도서 위키백과
  • 허위 상관 Spurious relationship, 擬似相関
    또는 허구적 상관은 둘 이상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상관되어 있지만 인과관계가 없는 관계를 말한다. 허위 상관은 우연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고, 설명변수종속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혼재변수(confounding variable)의 존재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다. 만약 두 변수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수...
    도서 위키백과
  • 잔차 제곱합 Residual sum of squares, 残差平方和
    hat{y_i} 라도도 함). 표준 선형 단순 회귀모델에서는 y_i = \alpha + \beta x_i+\varepsilon_i\,, 여기서 \alpha와 \beta는 계수이고, y와 x는 각각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이고, ε는 오차이다. 잔차의 제곱합은 \widehat{\varepsilon\,}_i 의 제곱합이며,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RSS} = \sum_{i=1}^n (\widehat...
    도서 위키백과
  • 디자인 매트릭스 Design matrix, 計画行列
    모델에 사용된다. 분산 분석에서 그룹 구성원을 나타내는 표시 변수(1과 0)를 포함하거나 연속 변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매트릭스에는 반응 변수(종종 종속 변수라고도 함)에 대한 관측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통계 모델의 독립 변수(설명 변수라고도 함)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모델과 관련...
    도서 위키백과
  • 유동 함수 Stream function, 流れ関数
    방정식 즉, 연속방정식을 정의하면 아래와 같다. {\partial u\over \partial x}+{\partial v\over \partial y}=0 적절한 변수변환법을 사용하면, 두 개의 종속변수(u와 v) 대신 한 개의 종속변수(\Psi)로 위의 연속방정식을 정의할 수 있게 된다. u={\partial \Psi\over \partial y} , v=-{\partial \Psi\over \partial...
    도서 위키백과
  • 통계적 분류 Statistical classification, 分類 (統計学)
    로지스틱 회귀 또는 유사한 절차로 수행되는 통계에서 관찰의 속성을 설명 변수(또는 독립 변수, 회귀 변수 등)라고 하고 예측할 범주를 결과라고 한다. 종속 변수의 가능한 값이어야 한다. 기계 학습에서 관찰은 종종 인스턴스로 알려져 있으며 설명 변수는 기능(기능 벡터로 그룹화됨)이라고 하며 예측할 수 있는 범주...
    도서 위키백과
  • 실험 심리학 Experimental psychology, 実験心理学
    높다는 것은 독립 변수의 변화가 종속 변수의 관측된 변화를 야기한다고 자신 있게 결론 내릴 수있도록 연구의 실험 설계가 외부 영향을 배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 분포도는 실험 결과가 다른 상황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될 수 있는 정도를 가리킨다. 구성 유효성이란 연구에서 독립적이고 종속적인 변수가...
    도서 위키백과
  • 마르코프 과정 Markov process
    미래변수값은 현재값에만 의존하며 과거값의 수열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이 수열의 이름은 처음으로 체계 있게 연구한 안드레이 안드레예비치 마르코프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때로는 마르코프 과정이라는 용어를 매개변수가 연속된 값을 갖는 과정으로 제한하고, 이산가 변수의 수열을 마르코프 연쇄라 한다.→ 확률과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