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에두아르트 레오폴트 폰 비스마르크쇤하우젠 후작, Otto von..관료의 딸이었다. 당당한 체구, 국가에 대한 헌신, 왕성한 식욕을 지녔던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외모와 스스로도 인정한 기호면에서는 순수한 융커였다. 그러나 정신·감정 면에서는 놀랄 만큼 섬세하고 날카로운 지성과 표현의 재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비스마르크를 독일 제일의 저술가로 꼽기도 한다.
- 출생 :
- 1815년 4월 1일, 프로이센 알트마르크 쇤하우젠
- 사망 :
- 1898년 7월 30일, 함부르크 근처 프리드리히스루
- 국적 :
- 독일
-
욕망과 이성은 지옥? 보슈 ‘쾌락의 동산’과 프로이트 ‘정신분석 강의’육체적 · 정신적 욕구에 충실할 때 신이 설 자리가 사라진다고 봤다. 더 나아가서는 오직 숙명론의 전제 아래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신분제와 같은 세속적인 계급 구조도 인간적인 욕구를 배제해야 할 절대적인 필요성이 있었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였다. 흔히 나쁜 욕망이나 죄악에 대해서 말할 때, 다른 죄는 참회가...
-
우울 감기는 몸이 약하다는 신호, 우울은 마음이 약하다는 신호정도로 심각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노 폭발이 평균 매주 3회 이상 나타나고, 12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는 기준이 있다. 사람들은 계절에 따라서 감정의 변화를 겪기도 하는데 이를 계절성 정서 장애(SAD ; Seasonal Affective Disorder)라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DSM-5에 명시되어 있는 정신장애는 아니다. 앞서...
-
불안 일상적 불안부터 병리적 불안까지직접적 표현으로 "나 불안해"라고 하기보다 간접적 표현으로 "가슴이 답답하다", “머리가 아프다”라고 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불안은 확실히 일상적인 감정이다. 어떤 이들은 대상이 모호할 때는 불안, 대상이 명확할 때는 두려움이나 공포(fear)라고 구분하기도 하지만,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에서는 이런 구분을 크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