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신분열병 精神分裂病, schizophrenia
    주로 청년기에 어떤 외인 또는 심인성의 동기없이 발병하는 정신질환. 인격분열적인 여러 증상을 보이다가 최후에는 감정마비, 자폐증상을 보인다. 역사적으로는 E.Kraepelin이 유년기에 발생한다고 해서 조발성 치매라 하였고, 후에 조울형(조울병, manic depressive psychosis)과 정신분열형으로 구분되었다.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에두아르트 레오폴트 폰 비스마르크쇤하우젠 후작, Otto von..
    관료의 딸이었다. 당당한 체구, 국가에 대한 헌신, 왕성한 식욕을 지녔던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외모와 스스로도 인정한 기호면에서는 순수한 융커였다. 그러나 정신·감정 면에서는 놀랄 만큼 섬세하고 날카로운 지성과 표현의 재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비스마르크를 독일 제일의 저술가로 꼽기도 한다.
    출생 :
    1815년 4월 1일, 프로이센 알트마르크 쇤하우젠
    사망 :
    1898년 7월 30일, 함부르크 근처 프리드리히스루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욕망과 이성은 지옥? 보슈 ‘쾌락의 동산’과 프로이트 ‘정신분석 강의’
    육체적 · 정신적 욕구에 충실할 때 신이 설 자리가 사라진다고 봤다. 더 나아가서는 오직 숙명론의 전제 아래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신분제와 같은 세속적인 계급 구조도 인간적인 욕구를 배제해야 할 절대적인 필요성이 있었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였다. 흔히 나쁜 욕망이나 죄악에 대해서 말할 때, 다른 죄는 참회가...
  • 우울 감기는 몸이 약하다는 신호, 우울은 마음이 약하다는 신호
    정도로 심각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노 폭발이 평균 매주 3회 이상 나타나고, 12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는 기준이 있다. 사람들은 계절에 따라서 감정의 변화를 겪기도 하는데 이를 계절성 정서 장애(SAD ; Seasonal Affective Disorder)라고 한다. 그렇지만 이는 DSM-5에 명시되어 있는 정신장애는 아니다. 앞서...
  • 반한 감정 Anti-Korean sentiment, 嫌韓
    구축하며 정신적인 깨달음이 이루어지는 곳", 일본은 "환상적인 지역" 및 "미국을 경제적으로 위협할 국가"(《블레이드 러너》 등)라는 이미지가 있는 반면, 한국은 "가난과 빈곤의 상징, 질병과 더러움을 상징하는 곳"이 되었다고 하였다. 더불어 미국 매체의 오리엔탈리즘적인 한국에 대한 시선은 질병의 온상지 및...
    도서 위키백과
  • 정신박약증 精神薄弱症, mental deficiency
    선천적 또는 생후 초기의 특정 원인에 의해 지속적인 지능이나 감정, 의지의 결함을 보이는 정신상태. 유전적인 염색체 이상(다운증후군), 호르몬의 분비나 대사이상(유전병), 출생시의 뇌손상, 뇌염, 뇌매독, 뇌기형 등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불안 일상적 불안부터 병리적 불안까지
    직접적 표현으로 "나 불안해"라고 하기보다 간접적 표현으로 "가슴이 답답하다", “머리가 아프다”라고 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불안은 확실히 일상적인 감정이다. 어떤 이들은 대상이 모호할 때는 불안, 대상이 명확할 때는 두려움이나 공포(fear)라고 구분하기도 하지만,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에서는 이런 구분을 크게...
  • 정신병리학 精神病理學, psychopathology
    히포크라테스학파는 조현병(정신분열증)을 조증, 우울증과 구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4∼5세기 A. 아우구스티누스는 내적 성찰을 통한 자기 분석, 고백으로 인간 정신에서 어린 시절 기억과 갈등, 부조리한 감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했다. 18세기 말 이후에는 현대 정신의학이 체계화하면서 정신병리학도 발전하게...
    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병리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칠정 七情
    기뻐하는 것[喜], 성내는 것[怒], 근심하는 것[憂], 생각하는 것[思], 슬퍼하는 것[悲], 놀라는 것[驚], 겁내는 것[恐] 등 일곱 가지의 정신정지 변화의 표현으로서 외계의 사물에 대한 반응.
    도서 향신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종교
  • 감정유치
    감정유치(鑑定留置)는 피고인 또는 피의자의 정신이나 신체를 감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병원이나 기타 적당한 장소에 피고인 또는 피의자를 유치하는 강제처분을 의미한다(형사소송법 제172조의 2). 검사는 감정유치가 필요한 때에는 판사에게 감정유치를 청구하여야 한다. 감정유치도 실질적으로는 구속의...
    도서 위키백과
  • 환자중심 심리치료 患者中心心理治療, nondirective psychotherapy
    자신의 감정과 갈등을 언어나 다른 적절한 수단을 통해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⑤ 가까운 가족의 통제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해야 한다. ⑥ 과도한 불안정 또는 신체적 이상으로 인한 불만이 비교적 적어야 한다. ⑦ 지능이 정상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 ⑧ 연령이 대체로 10~60세 이어야 한다. 상담과정은 내담자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감정 노동 Emotional labor, 感情労働
    노동은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다른 감정을 표현해야 할 때 발생하며, 감정노동으로 생긴 감정적 부조화는 감정노동을 행하는 조직 구성원을 힘들게 만들며 감정노동으로 생긴 문제가 적절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경우엔 심한 스트레스를 보이게 되며, 심한 경우엔 정신질환 및 자살까지 갈 수도 있다. 명절 행사 준비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