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원군 (1661년) 義原君특별 증직되었다. 고종 즉위 직후 문정의 시호를 받았다. 그는 복녕군의 둘째 아들이었으나 형 양원군의 자손들이 처형당하면서 그의 둘째 아들 안흥군이 인평대군 가문의 봉사손이 됐다. 능창군 이종의 증손이고 생증조부는 인조이다. 할아버지는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이고, 생부는 복녕군 이욱(福寧君 李栯...도서 위키백과
-
김세정 자중(子重), 金世鼎임지에서 쓸데없는 비용을 절약하여 백성들의 잡세를 격감시키고, 학문을 진작하며 빈민을 구제하는 데 힘썼다. 왕족이었던 복선군(福善君) 이남(李枏: 인평대군의 아들) 형제가 세력을 믿고 남의 노비 수백 명을 약탈하여 물의를 빚었으나 여러 해 송사가 해결되지 못하였는데, 그 일을 맡아 처결하여 불법으로 빼앗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20년(광해군 12)
- 사망 :
- 1686년(숙종 12)
- 경력 :
- 우부승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광산(光山)
-
인조비 인열왕후 봉왕비 옥책 仁祖妃 仁烈王后 封王妃 玉冊4월 11일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능양군이 왕으로 추대되자 왕비가 되었다. 슬하에 4형제를 두었는데, 소현세자(昭顯世子), 봉림대군(鳳林大君, 효종), 인평대군(麟坪大君), 용성대군(龍城大君) 등이다. 서인 세력이 득세하던 당시의 상황에서 소현세자의 빈 간택조차 조정의 뜻에 따라야 하는 힘든 세월을 보내야 했다...
- 분류 :
- 유물 > 어책
- 크기 :
- 세로: 25.0cm, 길이: 131.5cm, 두께: 1.5cm, 폭: 20.0cm, 편폭(片幅): 4.0cm
- 재질 :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현종비 명성왕후 봉왕비 옥책 顯宗妃 明聖王后 封王妃 玉冊오르자 왕비가 되었으며, 숙종 즉위년(1674) 33세의 나이로 왕대비가 되었고, 왕대비에 오른 뒤 조정의 일에 자주 간섭하여 남인들의 비난을 샀다. 그리고 인평대군[인조의 셋째 아들]의 세 아들 복창군(福昌君)과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이 숙종의 왕권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그들이궁녀들과 불륜의 관계를...
- 분류 :
- 유물 > 어책
- 크기 :
- 세로: 25.0cm, 길이: 130.2cm, 두께: 1.7cm, 폭: 20.2cm, 편폭(片幅): 4.0cm
- 재질 :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오빈 빈우(賓羽), 吳䎙1) 강계부사가 되어 잠상(潛商: 은밀히 장사하는 밀무역 상인)들을 없애고 많은 치적을 쌓았다. 그러나 인조의 유모[乳媼] 아들인 이신우(李信友)가 왕제인 인평대군의 문서를 가지고 와서 강계부 삼화(蔘貨)의 이권을 빼앗으려 하므로, 그 문서를 불태우고 이신우를 축출한 일이 화가 되어 아산에 유배, 이어 연안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02년(선조 35)
- 사망 :
- 1685년(숙종 11)
- 경력 :
- 진주목사, 공조참의, 지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주(海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