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기조절 자율적 제어(自律的制御, autonomous regulation),..
    유전자 발현조절의 한 양식으로, 어떤 유전자의 산물(단백질)이 그 유전자 자신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
  • 사람의 염색체 human chromosome
    가지고 있다. 상염색체는 성염색체에 의해 조절되는 성과 관련된 유전형질을 제외한 모든 유전형질의 발현을 조절한다. 상염색체와 성염색체는 세포가 분열하는...게놈 프로젝트에 의해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정보를 가진 인간의 유전자는 33,300개이며, 이 유전자들은 23쌍의 염색체 속에 들어 있다. 특정한 염색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생물
  • CDC2 gene CDC2 유전자
    세포주기 중에서 주로 M기를 조절하는 유전자. 원래 분열효모의 cdc(cell division cycle, 세포주기) 유전자군의 하나인 cdc2를 지칭하였지만, 동일한 것이 사람에서도 발견됨에 따라 모든 진핵세포에 공통적으로 존재한다고 간주되고 있다.
  • 생체시계가 고장나면 뚱뚱해져요 !!
    최근들어 제3의 인자가 의료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는데, 바로 「생체시계」의 고장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연구진은 생체의 리듬을 조절하는 '시계 유전자'에 이상이 있어 24시간 생활리듬이 교란된 생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들 생쥐들이 다른 생쥐들에 비해서 체중이 더 많이 나가는 사실을 발견했다...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증상 , 건강
  • 트랜스포존 Transposable element, トランスポゾン
    전이성 유전인자(轉移性遺傳因子), 전위요소(轉位要素), 점핑 유전자라고도 한다. 트랜스포존은 진핵생물의 염기 서열 중 많은 비암호화 염기 서열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포함되어 있다. 진핵생물의 유전체는 염색체의 한 위치를 떠날 수 있고, 완전히 다른 부위로 이동할 수 있는 전이인자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DNA...
    도서 위키백과
  • H19 (유전자) H19 (유전자), H19 (gene)
    Infobox_gene H19는 인간과 다른 곳에서 발견되는 긴 사슬 비번역 RNA에 대한 유전자이다. H19는 체중과 세포 증식의 음성 조절(또는 제한)에 역할을 한다. 이 유전자는 또한 일부 암의 형성과 유전자 발현 조절에 역할을 한다. H19 유전자는 각인(imprinting)으로 알려진 현상에서 하나의 모 대립유전자에서만 발현된다...
    도서 위키백과
  • 구조 유전자 Structural gene, 構造遺伝子
    구조 유전자 이외의 모든 RNA 또는 단백질 산물을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이다. 젖당 오페론에서 파생된 용어인 구조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단백질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지 않는 한 생성될 단백질의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구조 유전자의 산물에는 효소와 구조 단백질...
    도서 위키백과
  • cdc gene cdc 유전자 세포분열주기유전자, 細胞分裂周期遺傳子
    효모의 세포분열주기 유전자군. 모든 진핵생물에 존재하며, 유사분열의 시간적 조절에 관여하는 제어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 translational control 번역조절 해독조절, 飜譯調節
    유전자의 형질발현을 번역 단계에서 조절하는 것. DNA의 정보발현을 DNA에서 mRNA로의 전사단계와 mRNA에서 단백질로의 번역단계로 나눈 경우, 전자에서의 전사조절에 대한 후자의 조절을 가리킨다. ( ⇨ autogenous regulation)
  • 반대조절 反對調節, negative regulation
    특정한 억제단백질에 의해서 유전자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 어떤 억제인자(repressor)가 특정 작동인자(operator)와 결합하면, 오페론(operon)의 mRNA 합성이 저해된다. 이러한 현상을 억제인자에 의한 반대조절 또는 음성제어(negative control)라고 한다.
  • 비만 치료의 새로운 열쇠
    미국 국립보건원은 ANKRD26 유전자가 FTO 유전자와 비슷하게 식품 섭취를 조절해 비만에 관여한다는 사실 밝혀 미국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FTO 유전자는 기존에 알려진 비만 관련 유전자다. 연구팀은 ANKRD25 유전자가 비활성화된 생쥐를 사육해 동물의 음식물섭취와 활동 수준은 동일한데도 무게가 늘어난다는...
  • 유전체 편집 Genome editing, ゲノム編集
    3 염기쌍으로 짧지만 서로 다른 인식 부위를 가진 6~8개의 징크 핑거를 조합함으로써 약 20 염기쌍에 특이적인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렇게 만든 단백질을 핵산 분해 효소의 도메인과 융합시켜 원하는 염기서열의 DNA의 절단을 유도하고, 이런 단백질들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수면조절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기 시작했다.
PKA의 작용과 전사조절인자 CREB에 의한 유전자 발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