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지신경과학 Cognitive neuroscience, 認知神経科学
    엽과 함께 신경 관점에서 인지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지 신경과학에 사용되는 방법에는 정신물리학, 인지 심리학, 기능적 신경영상, 전기생리학, 인지 유전체학, 행동 유전학의 실험 절차가 포함된다. 뇌 병변으로 인한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에 대한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의 중요한 측면을 구성...
    도서 위키백과
  • 이노톡스주 Innotox Inj.
    전기생리학적지터(jitter, 파형의 순간적인 흐트러짐)의 증가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4.2 미간주름 20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등도 이상의 미간주름을 가진 168명을 대상으로 다기관에서 이중맹검, 활성대조, 평행연구로 유효성 및 안전성이 평가되었다(이노톡스 치료군 84명, 보톡스 대조군 84명). 이상반응은 시험군...
    식약처 분류 :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632)
    전문/일반 :
    전문 의약품
    제조/수입사 :
    메디톡스
    임산부 금기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제형 :
    주사제
    단일/복합 :
    단일 성분
    투여 경로 :
    주사
    보관방법 :
    밀봉용기, 냉장보관(2~8℃)
    도서 의약품 사전 | 태그 의약품
  • 행동신경과학 Behavioral neuroscience, 生物心理学
    있게 정보를 제공해준다. 좁은의미에서는 생물심리학(生物心理學)은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심리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려는 심리학. 심리학, 생물학, 생리학, 생화학, 신경 과학 및 관련 분야 따위를 포함하는 복합적 연구 분야로, 생물학적 기초인 행동과 경험의 생리적, 진화적, 발달적 과정에 관한 것을 연구하는...
    도서 위키백과
  • 로스 해리슨 해리슨, Ross Granville Harrison
    것을 발견했다. 그는 신경세포 성장시 원형질운동이 나타남을 관찰한 결과 신경섬유의 형성과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 관찰은 현대 신경생리학과 신경학의 기초를 이루었고, 그의 배양기술은 암 연구와 소아마비 백신 개발을 비롯해 생물학적으로 중요하게 이용되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조직 이식을...
    출생 :
    1870. 1. 13, 미국 펜실베이니아 저먼타운
    사망 :
    1959. 9. 30, 코네티컷 뉴헤이번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마장디 넷째뇌실의 정중구멍
    큰 발자취를 남겼다. 동물을 이용한 생체실험에서 생리학 연구 방법론을 확립한 마장디는 베르나르, 파블로프, 뢰브, 에를리히로 연결되는 실험생리학의 선구자이다. 그는 신경계통에 관한 많은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영국의 벨이 주장했던 척수의 앞뿌리(전근)는 운동신경이고 뒤뿌리(후근)는 감각신경이라는 것을...
  • 아돌프 마이어 Adolf Meyer
    미국, 영국, 기타 영어권 나라들에서 정신의학의 이론과 응용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미국으로 이주한 1892년에는 이미 신경해부학과 신경생리학 분야에 조예가 깊었다.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 철학자·교육학자인 존 듀이 등 미국의 사회학과 철학의 기반을 마련한 여러 사람들의 사상과 접하게 되면서 이러한 여러...
    출생 :
    1866. 9. 13, 스위스 니더베닝겐
    사망 :
    1950. 3. 17, 미국 볼티모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눈돌림 신경 Oculomotor nucleus
    중앙선의 양쪽에 대칭이고, 6번째 핵은 중앙에 위치하며 양쪽 신경에 공통적이다. 전방 그룹은 전내측과 전외측의 두 개의 핵으로 구성된다. 동안신경의 핵은 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여러 개의 작은 세포 그룹으로 세분될 수 있으며, 각 그룹은 특정 근육을 제어한다. 근처의 핵인 에딩거-베스트팔 핵은 주 동안신경...
    도서 위키백과
  • 뇌성 마비 Cerebral palsy
    감소, 관절 구축 방지를 담당합니다. 관절 구축이 심하다면 여러 온냉 치료, 초음파 심부열을 시행하며, 보조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② 신경생리학적 치료법 신경생리학적 치료법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보바스 치료법과 보이타 치료법입니다. 보바스 치료법은 중추 신경계 장애로 인해 비정상적인...
    분류 :
    뇌신경정신질환
    발생 부위 :
    머리
    증상 :
    근긴장의 이상, 뇌전증 발작 , 반사 이상, 보행이상, 인지장애
    진료과 :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관련 질환 :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운동 신경 질환, 보행 운동 장애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19세기와 20세기 전반기의 심리학
    때문이다. 기능주의는 곧 행동주의로 대체되었지만 그 정신은 생리심리학·동물심리학·응용심리학 등으로 이어져오고 있다. 생리심리학 19세기에 들어서 신경생리학 분야에서 큰 진전이 있었다. 예를 들면 1811년 벨은 감각신경을 운동신경과 구분하고, 이들이 척수의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185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외상에 의한 척수 손상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위한 가장 예민하고 중요한 검사 방법은 신경학적 진찰입니다. 척추의 X-ray, MRI와 같은 영상 진단 방법과 함께, 근전도나 유발 전위 검사와 같은 신경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병변 부위를 진단합니다. 치료 척수 손상의 치료 목적은 이차적인 척수의 손상을 최대한 줄이고, 신경학적 기능을 최대한 회복하는 데...
    분류 :
    뇌신경정신질환, 응급질환
    발생 부위 :
    등(허리)
    증상 :
    발진, 배뇨장애, 서호흡, 장마비
    진료과 :
    신경외과, 응급의학과
    관련 질환 :
    척수병증, 완전 척수 손상, 횡단성 척수염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18세기 해부학 역사 연표
    뇌의 크기에 따른 인종 우월주의 반대. • 1783~1843년 : 덴마크 외과의사 제이콥슨. 보습코기관 (서골비기관) 연구. • 1783~1855년 : 프랑스 신경생리학자 마장디. 『생리학의 원리』 (1817년) 저술. 넷째뇌실의 정중구멍(제4뇌실의 정중구) 발견과 '아나필락시스 현상'을 최초로 보고. • 1784~1845년 : 프랑스...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사회실증주의
    물리학·화학·생물학(생리학도 포함)·사회학 등을 차례로 놓았다. 이 과학체계에서는 심리학이 빠져 있는데, 콩트는 심리학이 한편으로는 생물학(특히 뇌신경생리학)의 한 분야,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학의 한 분야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사회학의 '아버지'로서 사회과학도 물리학이나 화학처럼 관찰에서 시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