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불교통사 朝鮮佛敎通史
    내용 3권 2책. 신문관(新文館)에서 발간하였다. 상권은 우리 나라의 각 시대별 불교역사를 기술하였고, 30본산(本山)과 그 말사(末寺)에 관한 기록을 집대성하였다. 각 사암(寺庵)의 탑상(塔像)과 기타 중요한 기사를 정리하여 214개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중권에서는 삼보원류(三寶源流)라는 항에서 인도·중국...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능화(李能和)
    창작/발표시기 :
    1918년, 1968년(재간)
    성격 :
    역사서, 불교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2책
    간행/발행 :
    신문관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조불교 李朝佛敎
    개설 일본인 학자 타카하시 토오루가 조선사상사대계(朝鮮思想史大系)의 기획 속에서 저술한 첫 문헌이다. 고대·중세 이래 한국사상사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불교의 통사이며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조선총독부의 종교 촉탁으로 임명받은 타카하시 토오루는 경술국치 이후 조선 유생의 동향...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타카하시 토오루
    창작/발표시기 :
    1929년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일본 보문관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 대한불교천태종 천태종, 大韓佛敎天台宗
    대한불교천태종은 약 1400년 전, 중국의 지의대사(智顗大師)가 천태산에 들어가 9년 동안의 두타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후 성립한 불교 종파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대각 국사 의천이 천태의 종지를 이어받아 해동의 천태종을 개립하였고, 이후 조선의 억불숭유정책에 의하여 세종 6년에 다른 종파...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空, Sunyata
    존재하지 않음, 온갖 경험적인 사물이나 사건이 공허하여 덧없음을 뜻하며, 존재론적으로나 가치론적으로는 모든 술어나 속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 입장에서 이 부정은 단순히 소극적인 허무가 아니라 오히려 모든 술어나 속성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절대적인 존재방식을 적극적으로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불교의 사상
    가지고 있다. 어려서부터 사색적 성향을 드러낸 고타마는 29세에 세상의 모든 고통과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수행자의 길로 들어섰다. 불교 경전에 의하면 붓다의 출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사문유관(四門遊觀)의 이야기가 전한다. 고타마가 태어날 당시 아시타라는 선인은 그가 성장하여...
    시대 :
    비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불교 교단과 경전의 성립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가르침을 설했다. 가르침을 들은 교진여를 비롯한 다섯 명의 수행자들은 붓다의 첫 제자가 되었는데, 이것이 불교 교단의 시초이다. 그 후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집을 나와 수행하는 출가자(出家者)와 집에서 수행하는 재가자(在家者)가 점점 늘어났다. 출가자와 재가자는...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대승불교 大乘佛敎, Mahayana
    이러한 새로운 경향을 시도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교조적인 보수파와 구별하면서 그들을 다소 얕보는 의미로 소승(小乘 hῑnayāna)이라고 불렀다. 대승불교는 현재 스리랑카·미얀마·타이·라오스·캄보디아 불교의 중심인 상좌부(上座部) 계통과는 붓다의 본질, 불교도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견해에서 차이가 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인도의 불교건축
    불교건축의 시초는 붓다가 생존하던 때(BC 5세기)부터 각지에 세워진 승원(僧院)이었으나 목조였으므로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인도에서는 묘총(墓塚)을 스투파(stūpa)라고 부르는데 특히 불교에서 성행했다. 스투파는 붓다가 생존해 있을 당시부터 지어져 붓다가 입적한 뒤 8개국 왕이 각기 스투파를 만들고 붓다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불교
  • 미륵불교 彌勒佛敎
    미륵불의 성령이 자기에게 접응되었으므로 자신은 곧 인불(人佛)이라 자처하면서 그 길로 하산하여 과거 김형렬(金亨烈)이 이끌었던 신도들을 규합하여 미륵불교의 재기를 꾀하며 포교활동을 하다가 1938년김제 백산에서 신도공사(神道公事)를 가졌다. 이때부터 ‘일망무지(日亡無地)’라는 깃발을 들고 일본이 망하고...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불교 쇠퇴의 원인
    기원전 6세기경에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그 후 기원후 12세기가 되면 인도 내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만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슨 이유로 불교가 그 발생지인 인도에서 사라지게 되었을까? 모든 종교는 기존의 종교에 대한 개혁으로부터 시작된다. 인도의 비정통 사상들과 불교도 예외는 아니다. 이들 종교는 당시의...
    시대 :
    비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 대한불교조계종 전국신도회, 大韓佛敎曹溪宗 全國信徒會
    설립 목적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의 전신인 전국신도회는 1950~60년대 불교 정화운동을 지지하기 위해 불교계 지도자들이 전국신도대표들을 중심으로 1955년에 조직한 단체이다. 1997년 3월, 대한불교조계종 신도들의 대표 기구인 중앙신도회로 재출범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는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지와...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묘법연화경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
    개설 『묘법연화경』은 ‘법화경’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7권 28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불교 전문 강원의 수의과(隨意科) 과목으로 채택되고 있다.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 불교 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묘법연화경』이란 구마라집(鳩摩羅什)이...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5건

불교
불교
불교
불교
불교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일대 전경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금강반야바라밀경
이차돈 순교비
왕오천축국전
어제비장전
천태사교의
불교 상징
불교건축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