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불교통사 朝鮮佛敎通史내용 3권 2책. 신문관(新文館)에서 발간하였다. 상권은 우리 나라의 각 시대별 불교역사를 기술하였고, 30본산(本山)과 그 말사(末寺)에 관한 기록을 집대성하였다. 각 사암(寺庵)의 탑상(塔像)과 기타 중요한 기사를 정리하여 214개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중권에서는 삼보원류(三寶源流)라는 항에서 인도·중국...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능화(李能和)
- 창작/발표시기 :
- 1918년, 1968년(재간)
- 성격 :
- 역사서, 불교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2책
- 간행/발행 :
- 신문관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이조불교 李朝佛敎개설 일본인 학자 타카하시 토오루가 조선사상사대계(朝鮮思想史大系)의 기획 속에서 저술한 첫 문헌이다. 고대·중세 이래 한국사상사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불교의 통사이며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조선총독부의 종교 촉탁으로 임명받은 타카하시 토오루는 경술국치 이후 조선 유생의 동향...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타카하시 토오루
- 창작/발표시기 :
- 1929년
- 성격 :
-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일본 보문관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
대한불교천태종 천태종, 大韓佛敎天台宗대한불교천태종은 약 1400년 전, 중국의 지의대사(智顗大師)가 천태산에 들어가 9년 동안의 두타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후 성립한 불교 종파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대각 국사 의천이 천태의 종지를 이어받아 해동의 천태종을 개립하였고, 이후 조선의 억불숭유정책에 의하여 세종 6년에 다른 종파...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불교 교단과 경전의 성립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가르침을 설했다. 가르침을 들은 교진여를 비롯한 다섯 명의 수행자들은 붓다의 첫 제자가 되었는데, 이것이 불교 교단의 시초이다. 그 후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집을 나와 수행하는 출가자(出家者)와 집에서 수행하는 재가자(在家者)가 점점 늘어났다. 출가자와 재가자는...
-
-
-
미륵불교 彌勒佛敎미륵불의 성령이 자기에게 접응되었으므로 자신은 곧 인불(人佛)이라 자처하면서 그 길로 하산하여 과거 김형렬(金亨烈)이 이끌었던 신도들을 규합하여 미륵불교의 재기를 꾀하며 포교활동을 하다가 1938년김제 백산에서 신도공사(神道公事)를 가졌다. 이때부터 ‘일망무지(日亡無地)’라는 깃발을 들고 일본이 망하고...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 대한불교조계종 전국신도회, 大韓佛敎曹溪宗 全國信徒會설립 목적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의 전신인 전국신도회는 1950~60년대 불교 정화운동을 지지하기 위해 불교계 지도자들이 전국신도대표들을 중심으로 1955년에 조직한 단체이다. 1997년 3월, 대한불교조계종 신도들의 대표 기구인 중앙신도회로 재출범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는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지와...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묘법연화경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개설 『묘법연화경』은 ‘법화경’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7권 28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불교 전문 강원의 수의과(隨意科) 과목으로 채택되고 있다.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 불교 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묘법연화경』이란 구마라집(鳩摩羅什)이...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