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국공주 성국궁주(成國宮主), 成國公主아도의 일을 미추이사금 때의 것으로 연대를 인상했을 가능성이 있다. 불교 전래에 관한 다른 기록들을 면밀히 분석해본 결과, 대개 아도의 불교 전래는 눌지마립간 때 이루어졌으리라는 것이 통설이다. 따라서 성국공주는 미추이사금의 공주가 아니라 눌지마립간의 왕녀가 되며, 병을 치료해준 사람도 묵호자(墨胡子)가...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주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고대사
-
위두 衛頭내용 382년(나물마립간 27)에 역사상 최초로 신라가 중국에 교제하였다. 즉, 위두를 사신으로 전진의 왕 부견(符堅)에게 특산물과 아름다운 머리를 가진 신라의 미녀를 보냈다. 이 때 부견은 위두에게 “그대의 말에 해동(海東)의 형편이 옛날과 같지 않다고 하니 무엇을 말함인가?” 하고 물었다. 이에 대답하기를...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명활산성 명활성(明活城), 明活山城감싸는 포곡식의 석축 산성이다. 명활산성은 둘레가 약 4.7㎞의 대형 산성이다. 명활산성이 초축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삼국사기』에서는 405년(신성마립간 4)에 왜병이 명활성을 공격한다는 기록이 보이므로, 이보다 전에 명활성이 축조되어 있었다고 파악해 볼 수 있다. 431년(눌지마립간 15)에는 왜인이 명활성...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삼국통일 이전의 신라왕위의 부자(父子) 상속제도가 확립되었다. 이는 그만큼 왕권이 안정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내물(356~402 재위) 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왕호로서의 '마립간'(麻立干) 칭호는 정청(政廳)의 지배자 또는 으뜸 가는 지배자의 뜻으로 해석되어 왕권이 크게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는 내물마립간 때인 377...
-
내숙 乃宿내용 내물마립간의 증손으로, 진흥왕 때의 명장 거칠부(居柒夫)의 할아버지이고, 아들은 이찬(伊飡) 물력(勿力)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소지마립간의 비 선혜부인(善兮夫人)이 그의 딸로 되어 있으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기보갈문왕의 딸로 되어 있다. 486년(소지왕 8) 이벌찬(伊伐飡)에 임명되어...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이벌찬(伊伐飡)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 분야 :
- 역사/고대사
-
신라고분 新羅古墳, Silla Tomb6세기 전엽까지 신라의 지배계층이 경주에서 배타적으로 축조한 독특한 고분형식이며, 당시 신라의 최고지배자는 마립간(麻立干)으로 불렸으므로 ‘마립간시기의 묘제’라 평가되고 있다. 마립간시기 신라의 왕릉들은 금관과 금제 허리띠가 출토되는 경주 평지고분군의 대형분 가운데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성격 :
- 고분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미사품 未斯品내용 403년(실성마립간 2) 정월 서불한(舒弗邯)에 임명되었다. 408년 왜가 대마도(對馬島)에 군영(軍營)을 두고 병기와 병참물자를 쌓아 신라를 습격하려 한다는 정보를 듣고 실성마립간은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정예군대로 이를 기습하여 격파하려 하였다. 이에 그는 바다를 건너야 하는 대마도 정벌의 부당함을 극력...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서불한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선혜부인 善兮夫人내용 기보갈문왕(期寶葛文王)의 딸, 또는 기보갈문왕의 아들인 이벌찬 내숙(乃宿)의 딸로서, 자비마립간의 셋째 아들인 비처(毗處)와 혼인하였는데 비처가 소지왕이 됨으로써 비가 되었다. 이들 사이에 아들이 없어 내물마립간의 증손인 지증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비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고대사
-
황남대총 황남동 98호분, 皇南大塚고식 마구 출현에 대한 다른 해석을 근거로 삼는 연구자들은 황남대총 남분을 5세기 중 · 후반, 북분을 6세기 초로 편년하기도 한다. 이밖에 또 다른 해석으로는 사료상에 나오는 왕세계와 혼인관계 등을 비교하여 남분의 피장자를 나물마립간(내물마립간)이나 눌지마립간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조생부인 오생부인(烏生夫人), 鳥生夫人내용 성은 김씨(金氏)이다. 오생부인(烏生夫人)으로도 표기되어 있다. 지증왕의 어머니이며, 눌지마립간의 딸이다. 남편은 습보갈문왕(習寶葛文王)이다. 소지마립간이 아들이 없이 죽자, 그녀의 아들 지증왕이 왕위에 올랐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고대사
-
동시전 東市典내용 신라는 469년(자비마립간 12)에 경도(京都)의 방리명(坊里名)을 정하여 수도의 행정조직을 정비하였고, 487년(소지마립간 9)에는 처음으로 사방에 우역(郵驛)을 설치, 해당 관서로 하여금 관도(官道)를 수리하게 함으로써 교통 도로망을 정비하기에 이르렀다. 수도와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 도로망의 정비는 물자의...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사로육촌 서벌육촌(徐伐六村), 斯盧六村지연으로 결합된 사회 조직이고, 6촌이 변천해 행정 구역으로 발전한 것이 6부인데, 6부제(六部制)가 실현된 때는 경주의 행정구역 명칭이 정해진 469년(자비마립간 12)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경주의 고분군(古墳群)이 6개의 씨족별 또는 촌별로 나누어진다는 고고학적인 조사로 보강되고 있다. 둘째는 6...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