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02호, Red-crowned Crane
    서식 몽골 동부, 우수리, 중국 동북부, 일본 북해도 동북연안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다. 10월 하순에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사람의 간섭이 없는 드넓은 농경지, 습지, 하구에 서식한다. 월동 중에 어미새는 어린새와 함께 가족군을 형성해 생활한다. 논...
    분류 :
    두루미과(Gru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2호
    서식지 :
    몽골 동부, 우수리, 중국 동북부, 일본 북해도 동북연안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140~150cm
    학명 :
    Grus japonensis Red-crowned Crane
  • 프라이버시는 ‘그 시대가 도래했다가 가버린’ 개념인가?, 프라이버시 privacy
    프라이버시는 죽었다. 잊어버려라(You have zero privacy anyway. Get over it)”라고 말했다. 캘빈 고틀립(Calvin C. Gotlieb)은 프라이버시가 “그 시대가 도래했다가 가버린” 개념이라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반대하는 모든 주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이해관계가 걸려 있을 때, 프라이버시에 가치...
  • 목도리도요 ruff
    서식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중동,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매우 드문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초순에 도래해 5월 초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9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물 고인 논, 습지, 하구, 갯벌에서 생활한다. 단독 또는 2~3개체의...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중동,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 월동한다.
    크기 :
    수컷 32cm, 암컷 25cm
    학명 :
    Philomachus pugnax Ruff
  • 붉은갯도요 curlew sandpiper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봄·가을에 매우 드물게 통과한다. 봄철에는 4월 하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하순에 도래해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갯벌, 하구, 물 고인 논, 습지에 서식한다. 주로 갯벌의 물 고인 곳이나...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시베리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크기 :
    L21.5cm
    학명 :
    Calidris ferruginea Curlew Sandpiper
  • 메추라기도요 Sharp-tailed Sandpiper
    번식하고,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봄·가을에 흔하게 통과하며 봄에 더 많은 수가 관찰된다. 봄철에는 4월 중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해안 근처 논에서 흔하게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하순에 도래해 9월 하순까지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 행동 물 고인 논, 습지에 내려 앉아...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월동한다.
    크기 :
    L21.5cm
    학명 :
    Calidris acuminata Sharp-tailed Sandpiper
  • 흰갈매기 Glaucous Gull
    서식 유라시아대륙과 북미의 북극권 해안, 그린란드,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한다. 주로 동해안에서 흔한 겨울철새다. 11월 초순부터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다른 갈매기류와 섞여 생활한다. 어류를 먹으며 해안, 항구 주변에서 관찰된다. 특징 대형 갈매기다. 몸윗면은 엷은 회색이며 날개 끝은 흰색이다...
    분류 :
    갈매기과(Lar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과 북미의 북극권 해안, 그린란드,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한다.
    먹이 :
    어류, 곤충, 연체동물, 다른 조류의 알, 소형 조류, 소형 포유류 등
    크기 :
    약 62~70cm
    무게 :
    약 0.96~2.7kg
    학명 :
    Larus hyperboreus Glaucous Gull
    분포지역 :
    시베리아 북극권, 캐나다 동북부, 그린란드
  • 알락도요 Wood Sandpiper
    서식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3월 하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9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물 고인 논에서 큰 무리를 이루어 먹이를 찾는다(바닷가로 이동하는 경우...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크기 :
    L21~23cm
    학명 :
    Tringa glareola Wood Sandpiper
  • 동영상
    유젠 델로 예벤 슬라브첸코, Eugène Deslaw
    동참하게 된다. 이후 1922년 파리로 활동 무대를 옮긴 델로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반의 무성영화 시기에 왕성한 영화작업을 지속하다가 유성영화의 도래와 함께 서서히 영화사에서 잊혀졌으며, 1966년 9월 10일 프랑스 니스에서 67세의 나이로 신원불명자로 분류된 채 사망했다. 작품세계 1927년에 발표한...
    출생 :
    1898년 12월 8일, 우크라이나 타한차(Tahantcha)
    사망 :
    1966년 9월 10일, 프랑스 니스
    본명 :
    예벤 슬라브첸코(Yevhen Slabchenko / Євген Антонович Слабченко)
    데뷔 :
    <낡은 성>(Vieux Châteaux, 1927)
  • 도래각 AoA, 到來角
    전파가 수신기에 도래하는 각도. 방향 탐지 안테나 또는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를 사용하여 전파의 도래각을 측정하면 발신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열 안테나는 각 안테나 소자로 전파가 도착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도래각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도래각으로 전파가 어떤 방향에서...
  • 꼬까도요 꼬까물떼새, ruddy turnstone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중남미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봄·가을에 흔히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초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극히 드물게 월동한다. 행동 바위가 있는 해안, 갯벌, 하구, 염전에서...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부, 북미 북부의 툰드라지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중남미에서 월동한다.
    크기 :
    L22cm
    학명 :
    Arenaria interpres Ruddy Turnstone
  • 바다직박구리 Blue Rock Thrush
    깃 끝은 검은색과 흰색이다. 아종 5아종으로 나눈다. 러시아 극동, 사할린 남부, 쿠릴열도 남부, 중국 동북부, 한국, 일본에서 번식하는 philippensis가 도래한다. 히말라야, 중국 중부와 동부, 베트남 서북부, 하이난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는 푸른바다직박구리(pandoo)가 희귀하게 도래한다. 2005년 4월...
    분류 :
    솔딱새과(Muscicapidae)
    서식지 :
    유럽 남부에서 일본에 이르는 유라시아대륙 전역에 서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 아라비아반도, 인도,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크기 :
    L23cm
    학명 :
    Monticola solitarius Blue Rock Thrush
  • 바다낚시, 기초 낚시 용어
    탁한 게 좋으며 원도권에서는 맑은 게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밑채비 릴 찌낚시의 경우 원줄과 목줄 두 가지를 사용해 채비를 꾸리는데 도래를 중심으로 위쪽은 위채비가 되고 도래부터 바늘까지는 밑채비라 한다. 청물 흔히 '청물기가 있다', '청물이 끼었다'라고 말하는데 이는 물색이 너무 맑다는 뜻이다. 물이...
    도서 낚시를 시작하다 | 태그 취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9건

도래
도래매듭
도래매듭
도래매듭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섬
도래마을 옛집
도래섬 해도
도래섬 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