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명부
    등 사건 결심 공판에서 주범인 민단 부단장 진두현과 박기래(부동산연합회 이사), 김태열(자양식품공업 대표)에게 사형을 구형했다. 1975년 4월 3일에 시인 김지하가 동아일보 1975년 2월 26일자에 게재한 《고행…1974》에서 인혁당을 찬양·고무한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하면서 옥중 메모 4권과 《모택동의 모순론》등...
    도서 위키백과
  • 문화 예술 운동 文化 藝術 運動
    여는 일들을 사건별로 짚어 보면, 1965년 5월 20일 한일 회담 반대 운동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던 ‘향토 의식 초혼굿: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 1970년 김지하의 시 「오적」 필화 사건, 1960년대 후반의 창작극 운동 및 마당극 운동과 197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각 대학의 탈춤 부흥 운동, 1974년 11월 ‘자유실천문인...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 한국의 현대 문학 작가 목록
    권정생 김광균 김남주 김남천 김동리 김동인 김동환 김선영 : 대하소설 <애니깽>, 평전 <배호 평전> 등. 김상옥 김소월 김수영 김승옥 김영랑 김용택 김유정 김지하 나도향 노천명 류시화 마광수 모윤숙 박경리 박두진 박목월 박상률 박재삼 박완서 박용철 박태원 법정 복거일 서정주 선우휘 신경림 신경숙 신동엽 심훈...
    도서 위키백과
  • 김기창 김문옥, 金基昌
    의주군(義州郡) 주내면(州內面) 홍남동(弘南洞)에 태어났다. 김문옥(金文玉)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1906년 의주에서 서점을 경영하는 한편, 1908년 김지하(金志河)와 함께 의주 남문 밖 구세병원(救世病院) 설립에 이바지하였다. 1908년에 신민회(新民會) 의주지회(義州支會)의 반장과 사찰로 활동하였다. 1910...
    출생 :
    1872년 7월 2일, 평안북도 의주(義州)
    사망 :
    1950년 9월 2일
    관련 사건 :
    105인사건
    주요활동 :
    1908년 신민회 의주지회 활동, 1910년 105인사건으로 체포,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한민족대표독립선언서 서명, 흥사단 가입
    포상훈격 :
    2003년 건국포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대한민국임시정부, 흥사단
  • 조태일 Cho Taeil, 趙泰一
    이다. 경희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6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아침 선박〉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1969년 월간 시전문지 《시인》을 창간해 김지하, 양성우, 김준태를 배출했다. 1972년에 고은, 백낙청, 신경림, 황석영, 염무웅, 박태순 등과 ‘자유실천문인협의회’를 창립하였고, 독재에 저항하다 여러 번...
    도서 위키백과
  • 김영일 金英日
    은 대한민국 헌법재판관을 지낸 법조인이다. 김영일(金榮一, 1940년~)은 연합통신 사장을 지낸 언론인이다. 김영일(金英一, 1941년~2022년)은 대한민국 시인 김지하의 본명이다. 김영일(金榮馹, 1942년~)은 검사 출신으로 제14, 15,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김영일(金永一, 1942년~1976년)은...
    도서 위키백과
  • 마침내 시인이여
    이며, 두 번째 책은 21인 신작시집으로 1982년에 나온 《꺼지지 않는 횃불로》이다. 《마침내 시인이여》는 이 기획의 세 번째 시집이다. 시집에 수록된 시인은 고은, 조태일, 김지하, 양성우, 정희성, 이동순, 허형만, 김영석, 송기원, 하종오, 이영진, 김정환, 나해철, 김용택, 김용락, 김희수, 이은봉이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해피 에로 크리스마스 Happy Ero Christmas
    남 역 오갑석 : 젊은 석두 역 유학승 : 구온천파 1 역 박종명 : 구온천파 2 역 김남종 : 구온천파 3 역 윤동원 : 구온천파 4 역 김선용 : 젊은 석두패 1 역 김지하 : 젊은 석두패 2 역 최영두 : 젊은 석두패 3 역 김동규 : 젊은 석두패 4 역 김효정 : 향숙 동료 1 역 손미진 : 향숙 동료 2 역 김유진 : 챌로 연주자 역...
    도서 위키백과
  • 경암학술상 Kyung-Ahm Prize
    제4회 2008년 정명환 김정한 정종경 김범만 윤광조 - 제5회 2009년 김경만 노태원 김영준 양승만 백건우 - 제6회 2010년 백경환 조민행 이원재 이광희 김지하 - 제7회 2011년 길희성김영식 홍병희 고규영 김승우 문훈숙 고박병선 제8회 2012년 이정식 오용근 강봉균 이영무 - - 제9회 2013년 이영훈 장석복 이민구...
    도서 위키백과
  • 공초문학상 Gongcho Literary Award, 空超文学賞
    7회 1999년 집만이 집이 아니고 오세영 8회 2000년 나무토막 이탄 9회 2001년 순금(純金) 정진규 10회 2002년 풀, 풀2 김종해 11회 2003년 절, 그 언저리 김지하 12회 2004년 경청 정현종 13회 2005년 마음의 달 천양희 14회 2006년 마음과 얼굴 성찬경 15회 2007년 오체투지 이수익 16회 2008년 아지랑이 조오현 17회...
    도서 위키백과
  •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全国漢字教育推進総聯合会, 全國漢字教育推進總聯合會
    요구하는 한글 학회와 대립하고 있다. 이 단체는 한자를 한민족의 조상이 만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심 인물은 전 육군 제6군단장 이재전, 서울대학교 교수 정병학, 김지하(시인), 공노명(전 주일대사), 고건(전 서울 시장) 등이 있다. 전한준 등 한글 전용론에서 방향을 바꾼 사람들도 있다.출처 한글 학회 국한문혼용
    도서 위키백과
  • 정지용 문학상 Jeong Jiyong Literature Prize, 鄭芝溶文学賞
    1999년 11회 〈눈내리는 대숲 가에서〉 송수권 2000년 12회 〈하늘의 그물〉 정호승 2001년 13회 〈등신불〉 김종철 2002년 14회 〈백학봉(白鶴峰).1〉 김지하 2003년 15회 〈낙산사 가는길 3〉 유경환 2004년 16회 〈돌아가는 길〉 문정희 2005년 17회 〈세한도〉 유자효 2006년 18회 〈너를 사랑한다〉 강은교 2007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9건

김지하(金芝河)
김지하의 육필
2002년 제10회 대산문학상 수상 작가 '김지하'
담시 〈오적〉을 내놓아 반체제 저항 시인의 면모를 분명히 보여준 김지하
1970년 9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보석으로 출감하는 김지하(두루마기 차림)
김지하의 담시 〈비어〉를 실었다가 판매 금지 조치를 받은 바 있는 가톨릭계 월간지 〈창조〉의 창간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긴 노래체의 율문에 풍자와 해학을 섞은 담시 형태로 선보인 김지하의 〈오적〉
민주주의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담은 〈타는 목마름으로〉와 본문 속의 표제시
〈황톳길〉을 비롯해 32편의 시가 수록된 첫 시집 〈황토〉
대학 때 세느다방에서 개인 시화전을 가지며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1970년 ‘오적 사건’ 재판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