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산 珠算쓰이고 있는 윗알이 1개, 아랫알이 4개인 주판이 사용하게 된 것은 1932년부터이다. 광복과 더불어 상업학교에서 의무교육화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주산의 급수를 정하여 문교부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검정을 실시하여 왔다. 급수는 1급에서 7급까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1980년대에 들어와 전자계산기에 의한 계산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서기보 書記補내용 가장 넓은 의미로는 모든 9급 공무원(1981년 5월 이전의 5급을류)을 말하고, 넓은 의미로는 9급 공무원 중 행정직의 행정서기보·출입국관리서기보·검찰서기보·세무서기보·통계서기보·감사서기보 등과 9급 지방공무원인 지방행정서기보관·지방세무서기보 등을, 가장 좁은 의미로는 행정직렬의 9급 국가공무원...
- 시대 :
- 현대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61년 4월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오목 격오(格五), 五目19칸 크기의 바둑판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정식 경기 종목으로 채택된 오늘날은 보통 가로세로 15칸 크기의 판을 이용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오목두기에도 급수를 매겨서 최하위 12급에서부터 초단을 거쳐 9단까지의 단계가 있으며, 최상위를 명인(名人)이라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놀이방법이 간단하여 승패가 쉽게...
- 성격 :
- 민속놀이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