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산 珠算
    쓰이고 있는 윗알이 1개, 아랫알이 4개인 주판이 사용하게 된 것은 1932년부터이다. 광복과 더불어 상업학교에서 의무교육화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주산의 급수를 정하여 문교부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검정을 실시하여 왔다. 급수는 1급에서 7급까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1980년대에 들어와 전자계산기에 의한 계산이...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등차 급수 等差級數, arithmetical series
    등차수열을 첫 항부터 가해나가서 만들어지는 급수.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급수 펌프 feed water pump, 給水 펌프
    급수를 보일러에 압송하기 위한 펌프를 말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서기보 書記補
    내용 가장 넓은 의미로는 모든 9급 공무원(1981년 5월 이전의 5급을류)을 말하고, 넓은 의미로는 9급 공무원 중 행정직의 행정서기보·출입국관리서기보·검찰서기보·세무서기보·통계서기보·감사서기보 등과 9급 지방공무원인 지방행정서기보관·지방세무서기보 등을, 가장 좁은 의미로는 행정직렬의 9급 국가공무원...
    시대 :
    현대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1년 4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교대급수 Alternating series, 交項級数
    미적분학에서 교대급수(交代級數, 만약 교대급수의 항의 절댓값이 0으로 수렴하는 단조수열이라면, 이 급수는 수렴한다. 교대급수 판정법은 디리클레 판정법의 특수한 경우다. 음이 아닌 실수의 수열 (a_n)_{n=0}^\infty (a_n\ge0\forall n\ge0)에 대한 교대급수는 다음 두 급수 가운데 하나를 뜻한다. \sum_{n=0...
    도서 위키백과
  • 급수 給水槽, feed tank
    일반적으로 급수에 사용되는 수조를 말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조화급수 Harmonic series (mathematics), 調和級数
    조화급수(harmonic series) 란 각 항의 역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는 급수로, 다음의 발산하는 무한급수를 가리킨다. \sum_{k=1}^\infty \frac{1}{k} = \frac{1}{1} + \frac{1}{2} + \frac{1}{3} + \frac{1}{4} + \cdots.\! 조화급수라는 명칭은 배음 또는 음악의 화성학에서 유래되었다. 악기의 진동하는 현의 배음의 파장...
    도서 위키백과
  • 급수탱크 feed water tank
    보일러에 급수하기 위한 저장 탱크.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오목 격오(格五), 五目
    19칸 크기의 바둑판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정식 경기 종목으로 채택된 오늘날은 보통 가로세로 15칸 크기의 판을 이용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오목두기에도 급수를 매겨서 최하위 12급에서부터 초단을 거쳐 9단까지의 단계가 있으며, 최상위를 명인(名人)이라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놀이방법이 간단하여 승패가 쉽게...
    성격 :
    민속놀이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2항급수 binomial series
    2항 전개하므로써 얻어지는 급수.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기하급수적 성장 Exponential growth, 指数関数的成長
    }} 범례]] 기하급수적 성장(Exponential growth)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이 증가하는 과정이다. 이는 시간에 따른 양의 순간 변화율(즉, 도함수)이 양 자체에 비례할 때 발생한다. 함수로 설명하면 지수 증가를 겪는 양은 시간의 지수 함수이다. 즉,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는 지수이다(2차 성장과 같은 다른 유형의 성장...
    도서 위키백과
  • 이항 급수 Binomial series, 二項級数
    해석학에서 이항 급수(二項級數, llang)는 이항 계수를 계수로 하는 멱급수이다. 이항식의 거듭제곱의 매클로린 급수이다. 이항 정리의 일반화이다. 복소수 \alpha\in\mathbb C가 주어졌을 때, 이항 급수는 (1+x)^\alpha의 매클로린 급수이다. 이는 다음과 같다. (1+x)^\alpha=\sum_{k=0}^\infty\binom\alpha kx^k=\sum...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급수시설점검일지
받아쓰기급수표
니베아의 기하급수적인 확산(1911~1918)
니베아의 기하급수적인 확산  제1차 세계대전 이후(1918~1925)
니베아의 기하급수적인 확산  제1차 세계대전 이후(1918~192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