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공무원자격판정법 > 제14조(공무원자격급수판정의 분류) 공무원자격판정은 제자리급수판정, 올라가는 급수판정으로 나누어 한다. 올라가는 급수판정에는 해당 기관의 추천을 받아야 응시할 수 있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공무원자격판정법 > 제10조(공무원자격급수) 공무원자격급수는 1~6급까지로 한다. 공무원자격급수에 따르는 기준은 공무원자격판정기준에 근거하여 내각이 정한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중앙은행법 > 제5장 금융사업에 대한 지도통제 > 제46조(자격급수의 박탈) 중앙은행에 해당 문건을 정한 기간에 내지 않았거나 사실과 맞지 않게 작성 제출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일군의 자격급수를 낮추거나 박탈한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행정처벌법 > 제3장 위법행위 > 제2절 문화관리질서를 어긴 행위 > 제103조(자격 또는 급수수여질서를 어긴 행위) 비법적으로 자격 또는 급수를 주었거나 받은 자는 경고, 엄중경고를 주거나 3개월 이하의 무보수로동을 시킨다. 정상이 무거운 경우에는 3개월 이상의 무보수로동 또는 강직, 해임시킨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10년 > 지방 > 경기도 > 사회 > 상하수도 급수인구 1천154만 명으로 상수도 보급률은 94.4%, 1인당 1일 급수량은 319ℓ, 총공급량은 1일 358만 톤이다. 하수도 시설연장은 1만9천413㎞, 하수도 보급률은 88.1%이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사회 > 환경 > 환경오염현황 > 수질 90년 전국 4대강의 수질은 금강을 제외한 한강, 낙동강, 영산강이 약간 개선된 추세를 보였으나 팔당, 안동, 대청 등 상수원의 수질은 계속해서 상수원수 2급수에 머물렀으며 이들보다 상류에 위치한 의암, 옥천등도 2급수를 기록했다. 1,200만 수도권인구의 유일한 상수원인 한강팔당의 경우 89년보다 수질이 개선...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공무원자격판정법 > 제16조(합격하지 못한 판정결과의 처리) 제자리급수판정에서 합격하지 못한 공무원의 자격급수는 한 급 내리운다. 이 경우 내려갈 급수가 없는 공무원은 6개월 안으로 다시 자격판정을 받을 수 있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공무원자격판정법 > 제11조(공무원자격급수판정기관) 1 급 공무원과 내각 밖의 기관의 2급 공무원의 자격판정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내각 아래기관의 2급 공무원의 자격판정은 내각이, 3급, 4급, 5급, 6급 공무원의 자격판정은 해당 기관이 한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0년 > 사회 > 환경 > 환경질 현황 > 수질 BOD 1.5ppm수준을 나타내고 있고, 낙동강의 물금상수원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개선된 2.8ppm, 금강의 대청상수원은 l.0ppm, 영산강권역 주암상수원은 0.9ppm으로 1급수 수준을 보이고 있다. 상ㆍ하류간 수질변화를 보면 대도시의 위치가 수계의 상ㆍ하류간 수질변화패턴을 좌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8년 한강의 경우...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4년 > 사회 > 환경 > 환경오염 현황 > 수질오염 다같이 중하류지역에서 다소 악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강수계의 경우 북한강, 남한강, 한강 본류(중류)까지의 수질수준은 상수원수 ⅠⅡ급수 수준을, 노량진과 가양지점은 Ⅲ급수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낙동강수계는 상류인 안동댐만이 Ⅰ급수이고 중하류는 Ⅲ급수 수준으로 오염도는 전년에 비해 심화됐으나 중금속...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8년 > 사회 > 환경 > 환경질 현황 > 수질 본류의 수질오염도는 94년부터 다시 악화되었고, 96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약간 회복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낙동강과 영산강의 일부 지점에서는 여전히 Ⅲ급수 수질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90년대부터 환경기초시설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강우량이 증가하면서 오염의 주요인이 되었던 낙동강의 주요 오염지천인...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7년 > 사회 > 환경 > 환경질 현황 > 수질 본류의 수질오염도는 1994년부터 다시 악화되었고, 1996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약간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낙동강과 영산강의 일부 지점에서는 여전히 Ⅲ급수 수질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환경기초시설의투자가 이루어지면서 오염의 주요인이 되었던 낙동강의 주요 오염지천인 금호강, 한강의 주요...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