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월산가 소리굿구성 및 형식 경기·충청 지방의 웃다리농악에서 굿거리장단에 부르는 노래이다. 내용 노랫말에 “월산리 땅으로 놀러나 가세” 하는 대목이 있어 ‘월산가’라는 노래제목을 갖게 되었다. 굿거리장단에 맞춰 다음과 같은 노랫말을 부른다. 아헤∼ 헤∼ 에헤 오늘은 가다가 여기서 놀고 내일은 가다가 저기서 놀고 얼싸...
- 성격 :
- 농악에서 부르는 노래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경기도·충청도
-
거문고산조 거문고散調희노애락의 감정을 표출하는 기교가 능란하다는 평을 받는다. 방금선은 1927∼1930년에 경남 진주에서 김종기(金宗基)로부터 가야금 풍류를 잔영산에서 굿거리까지 그리고 가야금산조를 진양에서 자진모리까지 배웠다. 1931∼1935년엔 진주에서 김정문(金正文)에게 <심청가>와 <춘향가>를 배운 후 1935년에 서울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은율탈춤 殷栗탈춤육재비를 갖추면 피리(2) · 젓대 · 북 · 장구 · 행금(해금)의 반주로 되고, 그 밖에 새납(태평소) · 징 · 강쇠(꽹과리)가 추가된다. 염불 · 타령 · 굿거리 등에 맞추어 춤을 추고 몸짓 · 동작 · 재담(대사)과 노래가 따른다. 춤은 중부지방에 남아 있는 산대놀이춤이나 해서탈춤형의 <강령탈춤>보다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
터벌림춤내용 도당굿에서 볼 만한 큰 굿거리는 손굿과 군웅(軍雄)굿인데 이러한 큰 굿거리를 할 때 굿터를 벌려놓기 위하여 추는 춤이다. 터벌림은 도당굿 중 잡문잡기와 같이 다른 거리들과는 성격이 다르다. 이 춤의 목적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즉, 굿터를 청정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 구경꾼이 몰려 굿터가 좁아졌기...
- 성격 :
- 무속춤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소장/전승 :
- 경기도 남부지방
-
축원굿 재수굿, 祝願─한 개인을 축원하기 위한 굿이 되기도 하고, 또한 한 가정을 축원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마을 공동제의인 무(巫)굿에서도 마을의 번영과 재수를 기원하는 굿거리가 들어 있다. 동해안지역의 별신굿에서는 마을과 주민들의 재수와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일월(日月)맞이굿’이 있고, 남해안의 별신굿에서도 마을에 대한...
- 성격 :
- 무속의례, 재수굿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향제줄풍류 鄕制줄風流계면가락도드리 · 양청도드리 · 우조가락도드리를 뒤풍류라 하고, 도드리를 영산회상 안에 포함시켜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뒤풍류 다음에는 풍류굿거리를 더 연주하고 끝마친다. 그러므로 향제 줄풍류의 한바탕은 상영산(上靈山, 또는 本靈山) · 중영산 · 세영산 · 가락덜이 · 상현환입 · 도드리 · 하현환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정모련 鄭模連굿판에 따라다니기 시작하였다. 18세 때 역시 세습무계 집안인 김상문과 혼인하여 시어머니로부터 본격적인 무굿 사제(司祭) 기능을 전수받으면서 쉬운 굿거리는 몇 거리씩 하였으나, 거제의 신청(神聽 : 학습청)의 선생이기도 한 이모부 김상조에게서 혹독한 학습을 거친 뒤 21세 때부터 본격적으로 별신굿판에 나섰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피리산조 ─散調範)이 거두어 채보하고 그 위에 다른 악기의 산조가락들을 첨가, 정리하여 한 틀을 짜게 되었다. 이 피리산조는 진양 10장단, 중모리 42장단, 중중모리 37장단, 굿거리 51장단, 자진모리 96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굿거리와 자진모리는 피리 시나위 가락을 옮기고 있다. 피리 산조의 멋스러움은 피리 자체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