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관초 關抄갑64호·을5호 등 번호를 붙여 관문을 보내게 되었는데, 현존하는 관초는 이때의 관문을 주로 모아 편찬한 것이다. 이 관초는 중앙관서인 교정청 또는 군국기무처·내무아문·탁지부사세국 등에서 지방의 9도(道)와 5도(都)로 발송하는 공문을 정관(政關)·내관(內關)·의안(議案) 등으로 구분하여 편집, 관의 법령집...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관찬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선거조례 選擧條例내용 이 조례는 1894년(고종 31) 7월 12일 군국기무처에서 전고국조례(銓考局條例)와 함께 의안(議案)으로 제출하였으며, 조문은 전체 4개조로 되어 있다. 각부아문대신(各府衙門大臣)에게 그 부서의 주임관(奏任官)과 판임관(判任官) 임용권을 주고 출신지방과 신분차이를 배제하고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을 목표로 한...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리임용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4년 7월 12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회계원 會計院내용 1894년 갑오경장 때 군국기무처의 의안(議案)에 의하여 설치된 회계사(會計司)를 이듬해 개칭한 기관이다. 관원으로 칙임관(勅任官)인 경(卿) 1인과 그 아래 판임관(判任官) 1인, 주사 1인을 두고, 출납사(出納司)에는 주임관(奏任官)의 장 1인과 주사 8인, 검사사(檢査司)와 금고사(金庫司)에는 각기 장 1인, 주사...
- 시대 :
- 근대/개항기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5년(고종 32)
- 폐지일 :
- 1905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도찰원 都察院내용 1894년(고종 31) 6월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에서 의정부 이하 각 아문에 대한 중앙관제개혁안을 제출하여 왕의 재가를 얻어 시행하였는데, 이 때 의정부 소속관청으로 설치되었다. 관원으로는 원장 1인, 사헌 5인, 주사 10인이 있었고, 원장은 좌찬성이 겸하였다. 1895년에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4년 6월
- 폐지일 :
- 1895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준용 옹립사건 李埈鎔 擁立事件협판(內務衙門協辦 : 내무대신직 서리)과 통위사(統衛使) 등 정부 요직에 임명하고, 이준용의 당여(黨與)인 이태용(李泰容) · 박준양(朴準陽) 등을 군국기무처 회의원으로 발탁, 임명하여 그를 돕도록 하였다. 그러나 국왕 및 왕비를 추종하는 일부 근왕파 개혁관료들의 반발과 일본공사관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음모가...
- 시대 :
- 근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갑오개혁 전개6월 21일,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민씨 정권을 무너뜨렸다. 일본을 등에 업은 새 정부는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신분제 ・ 과거제 폐지, 과부의 재혼 허용, 군주권 제한, 조세 금납화 등 위로부터 급속한 근대화 정책을 추진했다(갑오개혁). 참조
- 시대 :
- 1894년 6월 21일
- 국가/대륙 :
- 한국
-
신정희 중원(中元), 申正熙의도에서 조선정부가 교정청(校正廳)을 설치하고 총재관(總裁官)과 당상관을 발령할 때 한성부윤으로 임명되었다. 그 뒤 일본이 갑오개혁을 추진하고 군국기무처를 신설, 대원군을 상징으로 내세우면서 김홍집(金弘集)을 수반으로 하는 친일적 정부를 새로이 조직할 때 신정부의 요직에 배치되었다. 저술활동 편서(編書...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정로 대재(大哉), 李正魯갔다가 이듬해 귀국하여 중국의 철도부설, 청나라와 조선과의 관계 등을 복명(復命)하였다. 1894년 4월 형조 판서가 되었고, 갑오개혁 때 이조 판서로 군국기무처에 관여하였다. 이후 유진만(兪鎭萬)과 함께 복수청(復讐廳)을 설치하고 을미사변 때 폐비에 관계된 자들을 정법(正法)할 것을 상소하였다. 아관파천이...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38년(헌종 4) 12월 2일
- 사망 :
- 1923년 5월 1일
- 경력 :
- 형조 판서, 궁내부 특진관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본관 :
- 전의(全義)
-
소학독본 小學讀本과 성(誠)에 기반을 두었으므로 수신 또는 윤리 교재로 보기도 한다. 재래의 『소학(小學)』과는 달리 실용을 중시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1894년 6월 28일 군국기무처에서 정한 각 아문관제에 따라, 같은 해 7월 20일 예조를 폐지하고 ‘학무아문’을 발족시켰다. 이후 한성사범학교관제 공포(1895.4.16.)를 시작...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학부 편집국
- 창작/발표시기 :
- 1895년 음력 11월
- 성격 :
- 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학부 편집국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민형식 閔炯植1894년 4월 한성부 좌윤에 임명되었다. 갑오개혁으로 김홍집내각이 수립되자 통제사 시절에 자행한 부정행위가 적발되었다. 갑오정권의 개혁기구인 군국기무처는 “탐학하는 것이 버릇이 되고 광패하기 짝이 없어 도를 관할하면서 강제로 토지와 산림을 빼앗는 등 백성들에게 해독을 끼쳤다”고 판결하였다. 갑오정권에...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59년(철종 10) 12월 4일
- 사망 :
- 1931년 8월 2일
- 경력 :
- 회계원 경, 평안남도 관찰사, 황해도 관찰사, 궁내부 특진관, 봉상시 제조, 동지돈녕원사, 내장사장, 시종원 부경, 홍문관 부학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본관 :
- 여흥(驪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