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흐르는 시냇물을 베개 삼아
    데서 나온 것이었다. 지금 의정부가 이미 새로 건축된 이상 이제부터는 정부와 비국도 종부시와 종친부를 합친 전례에 따라 한 관청으로 합치라." - 《고종실록》, 1865년 3월 28일 종부시는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璿源譜牒)》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이다. 조선왕조실록...
    관련 장소 :
    북촌
  • 김명진 치성(稚誠), 金明鎭
    경기·경상도관찰사로 재직중에 올린 장계(狀啓)의 내용에는 당시 수취체제의 혼란상이 상세히 적혀 있어서 고종연간의 사회상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고종실록(高宗實錄)』에는 장계 내용이 요약되어 나타나 있는 바, 경기도에 관한 것이 7회, 경상도에 관한 것이 4회나 기록되어 있다. 1890년에는 이조참판을...
    시대 :
    근대
    출생 :
    1840년(헌종 6)
    사망 :
    미상
    경력 :
    동부승지, 대사성, 춘천부사, 경기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박고 博古
    사회·문화 전반을 살필 수 있다. 1882년 임오군란의 전개를 일시별로 정리하고, 특히 일본공사의 활동을 상세히 적어 이 시기 연구에 도움이 된다. 『고종실록(高宗實錄)』·『일성록(日省錄)』·『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보다 자세히 서술한 부분도 있어 연대기 사료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시대 :
    근대
    저작자 :
    승정원 관원(추정)
    창작/발표시기 :
    1882년(고종 19) 이후(추정)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조선왕조 궁중음악의 수난과 보존
    제례악은 기악 연주에 노래와 춤이 어우러진 궁중음악의 정수다. 아, 종묘에서 제례악을 연주하니 마치 덕음(德音)이 귀에 쟁쟁하게 들리는 듯하구나. - 《고종실록》 1900년 2월 19일 조선왕조의 악공들은 장악원(掌樂院)에 소속되어 종묘뿐 아니라 선농, 선잠 등 크고 작은 제사에 참석해서 제례악을 연주했다...
  • 보병 부장 예복(이도재) 이도재 예복(李道宰 禮服), 步兵 副將 禮服(李道宰)
    breasted)[두 줄 단추]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1900년 7월 2일에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陸軍將卒服裝制式) 규정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종실록』 1902년 12월 31일에 “육군 부장(陸軍副將) 이도재(李道宰)”라는 기록이 있어 이 시기에 착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모자, 상의, 바지의 재질은 흑색의 융...
    시대 :
    근대/대한제국기
    유형 :
    의복
    분야 :
    생활/의생활
  • 사고 사각(史閣), 史庫
    내용 사고(史庫)는 사각(史閣)이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국초부터 실록(實錄)을 편찬했으나 거란의 침입으로 모두 소실되었다. 이에 고종은 1227년(고종 14)에 『명종실록(明宗實錄)』을 완성하여 한 질은 개경의 사관(史館)에 보관하고 다른 한 질은 해인사(海印寺)에 보관하였다. 고려 조정은 1270년(원종 11...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환구단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제단으로, 환단이라고도 한다. 유교적인 정치 이념을 수용해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을 가리킨다. 환구단의 한자 표기는 [고종실록]에 기록된 것이고, 한글 표기는 [독립신문]을 따라 정하였다. 고종 34년(1897) 고종의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내기 위해 당시 황궁인 경운궁(지금의...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12 (소공동)
    문화재 지정 :
    [환구단] 사적 제157호(1967.07.15 지정)
  • 주연집 珠淵集
    국왕의 문집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글이 고종 자신이 직접 작성한 것이 아니라 신료들이 작성한 것이지만, 사료적 가치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 ≪고종실록≫이 일본인들에 의해 편찬되어 그들의 의도대로 내용을 윤색하거나 탈락시킨 부분이 많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문집은 한말의 정치·사회상을 살필 수...
    시대 :
    조선
    저작자 :
    고종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0권 20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홍승억 치만(稚萬), 洪承億
    임명되었고, 예조참의를 지낸 뒤 1876년 개성부유수, 1877년 이조참판이 되었고, 호군을 거쳐 1878년 향관(享官)에 임명되었다. 정확한 사망연도는 미상이나, 『고종실록』 1884년 2월 초3일조 기사에 “고(故) 참판 홍승억”이라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1878년부터 1884년 사이 어느 해일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개항기
    출생 :
    1842년(헌종 8)
    사망 :
    미상
    경력 :
    대사성, 이조참판, 개성부유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풍산(豊山)
  • 원부 문순(文純), 元傅
    侍郞贊成事) 판군부사사(判軍簿司事) 세자부(世子傅)가 되었다. 1277년 5월 수국사(修國史)가 되어 감수국사 유경(柳璥)·수국사 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찬수의 명을 받았다. 1278년 4월 왕과 공주가 원나라에 행차하는 데 따라갔고, 이듬해 3월 아들 정(貞)을 뚤루게[禿魯花]로 보냈으며, 1284년...
    시대 :
    고려
    출생 :
    1220년(고종 7)
    사망 :
    1287년(충렬왕 13)
    경력 :
    직사관, 중서시랑평장사, 판군부사사, 수국사, 첨의중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고종실록, 고금록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원주(原州)
  • 일영문 현판 日永門 懸板
    뒷면에 한글로 쓴 ‘가회정 남문’이라는 묵서가 있다. 1891년(고종 28) 보현당에 모시던 어진을 가회정으로 옮겨 봉안한 뒤 1893년(고종 30)까지 봉심하였다. 1895년(고종 32) 외국 공사를 만날 때 접견장소는 장안당(長安堂), 휴게소는 가회정으로 한다는 『고종실록』의 기록으로 보아 건물의 용도가 바뀌었음을 알...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64.6cmcm, 세로: 30.3cmcm
    재질 :
    나무 / 잣나무
  • 건륭제 Qianlong Emperor, 乾隆帝
    하여 ‘고종(高宗)’, 시호로는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으로 정하였는데 여기서 ‘융운’(隆運)과 ‘입극’(立極)은 국운을 높게 일으켜 세웠다는 뜻이며 나라를 평온히 다스렸다 하여 ‘순’(純) 자의 시호를 붙였다. 가경제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고종실록
고종실록 표지
조선왕조실록 / 고종실록(권13)
고종실록 / 갑오경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