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겨울 대청과 햇빛의 미학것은 사람을 겸손하게 해준다. 기계로 자연을 잠시 눌렀다고 교만해지고 그러면서 몸과 정신이 병들어가는 현대 문명에서는 절대 못 누릴 호사다. 햇빛의 친절에...이런 생활은 정서 안정에 필수적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에 이런 생활이 사라지면서 정서 불안이 심해지고 있다. 햇빛은 행복 물질을 분비하게 해주기 때문...
-
불이 공간의 안팎을 딱 자르지 않은 한옥갑자기 폭소가 터졌다. 우리가 이분법의 분별 속에 살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화다. 굳이 "실내일까 실외일까"라고 질문한 나부터 그렇고, 처음에 실외라고 답...아닌 것 같자 남은 것은 실내뿐이니 자신 있게 실내라고 답한 것도 그렇다. 사람들은 모두 공간에는 실내와 실외 두 가지뿐이라고 굳게 믿으며 집을 짓고 건물...
-
한옥은 어떤 집일까엮어주는 근원성인데, 나는 그것을 '가장 한국다운 집'이라고 정의한다. 시대가 변하고 국민성마저 변했지만 밑바탕에 변하지 않고 계속 남아 있는 '한국다움...특징을 가장 종합적으로 구현한 건물이자 주거라는 말이다. 한옥은 한국 사람들의 집이다. 한옥에는 한국인의 세계관과 자연관, 국민성과 가치관이 그대로...
-
법구경, 마음의 평안보다 더 행복한 것은 없다더 행복한 것은 없다. 해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일찍이 모든 존재는 창조성에 결합하는 혼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간에게는 영혼이 있고, 동물...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인간은 짐승과 하나도 다를 것이 없다. 그러나 사람은 이 본능 외에 뜻(意)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마음, 생각...
-
한옥의 다섯 가지 지혜느낌을 주는 집이다. 화목한 집은 어울림의 미학이 살아서 가족 간의 화목을 부르는 집이다. 이것들을 다 합하면 아마도 전 세계를 통틀어 주택이 줄 수 있는 거의 모든 지혜를 다 모아놓은 것이 될 것이다. '지혜로운 집, 한옥'이 되는 것이며 이런 지혜는 바로 한국의 전통문화 전반에 퍼져 있던 그것과 다르지 않다...
-
로또에 당첨돼도 행복해지지 않는다?UC 버클리대 경영대학원의 심리학자 카메론 앤더슨은 로또에 당첨된 사람들이 처음에는 행복하지만 얼마 못 가 당첨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온다고 밝혔다. 앤더슨...가계 소득을 포함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웰빙에 더욱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대학원 학생들이 학위를 취득하고 사회생활을...
-
고양이 관련 명언들 고양이를 사랑한 명인들의 명언들세상 모두가 자기를 사랑해 주길 원하지 않는다. 다만 자기가 선택한 사람이 자기를 사랑해 주길 바랄 뿐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고양이는 신이 빚어낸...고양이는 그렇지 않다.” 알베르트 슈바이처 “인생의 시름을 달래 주는 두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음악과 고양이이다.” 장 콕토 “나는 고양이를 사랑한다...
-
동물 병원에서 시행하는 검사들검사의 필요성 말을 못하는 환자의 병을 진단한다는 면에서 수의사는 소아과 의사와 비슷하다. 아이의 부모들은 24시간 아이를 직접 돌보거나 돌봐 주는 사람에게 아이의 상태에 대해 이야기를 듣기 때문에 아이의 건강에 대해 비교적 잘 안다. 그러나 고양이의 보호자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혹은 집 밖에서...
-
고양이 분만 후 관리하기정도라면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온도가 된 것이니 먹여도 좋다. 3~4시간 간격으로 먹어야 하며 30ml 정도부터 먹이기 시작해서 조금씩 늘려 준다. 생후 4주가 지난 고양이는 60ml 정도의 분유를 먹는다. 분유 먹이는 방법 아기 고양이가 사망하는 많은 원인 중의 하나는 보호자들이 분유를 아기처럼 눕혀서 먹이기 때문...
-
행복한 집, 한옥이유, 사람들이 집을 짓고 사는 목적, 집의 의미와 가치, 집의 기능과 역할 등에 대해서 근본을 지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옥의 가치와 장점, 한옥의 미학과...잘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그런 행복의 근본은 무엇일까. 한옥의 행복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한옥은 왜 행복한 집일까. 바로 이 책의 내용인 다섯 가지...
-
흙벽, 창호지, 이중창, 의외로 따뜻한 한옥이는 사람들이 한옥을 불편한 집으로 인식하는 데 큰 부분을 차지한다. '외풍'이나 '위풍'이 세다는 말도 많이들 한다. 창문 재료가 창호지이기 때문에 단열에서 불리하다. 하지만 곰곰이 따져보면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다. 반대로 겨울 열 환경에서 유리한 점도 많다. 첫째, 창호지를 제외한 벽체는 흙이 주재료이기...
-
빛과 그림자시원함을 주는 것을 제외하면 실생활에서 좋지 않은 상태인 것은 분명하다. 영구 음영을 만들어 곰팡이와 이끼를 쓸게 만드는 비위생적 상태로 인식된다. 겨울에는 춥고 어두운 곳이다. 그래서 되도록 그림자를 피하려 한다. 하지만 정말로 이럴까. 그림자는 어둡고 음침해서 피하고 싶은 부정적 상태의 대명사이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