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맥락정착적 수업 Anchored Instruction
    생성적 학습 형식-지침에 적합한 맥락이 선택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문제로 이어지는 이야기이며 학생들에게 흥미롭다. 문제의 해결책인 이야기의 끝은 학습자가 생성해야 한다. 이 방법은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기 때문에 능동적 학습을 통해 본질적인 동기를 제공한다. 비디오 기반 프레젠테이션 형식...
    도서 위키백과
  • 루브릭 (교육) Rubric (academic), ルーブリック
    루브릭(Rubric)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내는 반응을 평가하는 기준의 집합이다. 보통 항목별·수준별 표로 구성되며, 표의 각 칸에는 어떤 경우에 그 수준에 해당되는지를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1990년대에 미주 지역에서 기존의 지필 평가를 대체하기 위해 수행 평가가 등장하면서 루브릭이 개발되기 시작...
    도서 위키백과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ommunity language learning
    하는 진솔한 마음으로 내담자를 무조건적으로 존중하고 내담자의 경험세계를 있는 그대로 공감한다. 커란은 이를 모방하여, 학습자를 상담이 필요한 집단으로 간주하고, 교사와 학습자들이 서로를 공감하는 가운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요구가 중심이 된다.harvnb.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도서 위키백과
  • 버튼이론
    버튼이론은 컴퓨터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갖게 되는 느낌과 의견을 표현하는 통로가 필요하다는 논점을 발전시킨 것이다. 학생들이 화면에 제시되어 있는 여러 가지 버튼을 이용해 다양한 표현 활동을 수행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와 내용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주도록 하는 이론이다...
    도서 위키백과
  •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
    교육체제 지원사업(이하 LiFE사업)은 학령인구 감소와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인재 육성을 위해 학령기 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대학의 체제를 성인학습자 친화적 체제로 전환하고자 2008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이라는 명칭에서 라이프(LiFE)사업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전체 사업...
    도서 위키백과
  • 인지 부하 Cognitive load, 認知負荷
    어려움이 없게 된다. 본유적 인지부하(germane cognitive load)란 작동기억의 범위안에서 학습과 직접 관련이 있는 정신적인 노력을 의미한다. 인지부하는 학습자에게 지나치게 낮은 수준의 학습자료를 제공하거나 높은 자료를 제시하게 되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습자에게 적절한 수준의 학습자료를 제공하면...
    도서 위키백과
  • 개인교수학습
    개인교수학습은 한 개인, 컴퓨터 또는 인쇄물 등이 학습내용이나, 의문점 또는 질문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반응을 요구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면서 학습자가 정해 놓은 목표수준을 달성했음을 알 때까지 연습하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 학습자의 환경, 소질, 흥미, 또는 요구 등의 개인차에...
    도서 위키백과
  •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가지 형태의 학습 가운데 특히 지적 학습에 작용하는 중요한 변인들을 추출한 다음 그들 변인간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학교학습의 방안을 체계화했다. 캐롤은 학습자의 적성, 수업의 이해 능력, 학습의 지속력을 개인차변인으로, 그리고 수업의 질과 학습의 기회를 교수변인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5가지 변인들의 조절을...
    도서 위키백과
  • 연결주의 (학습이론) Connectivism, コネクティビズム
    환경 속에서 학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학습 이론이다. 연결주의의 핵심 아이디어는 학습을 다양한 교점(node)의 연결로 보는 것이다. 이 때 교점은 학습자와 교수자 뿐 아니라 학습에 개입하는 정보, 테크놀로지, 데이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연결주의는 학습자가 다양한 교점을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안에서...
    도서 위키백과
  • 동기화 動機化, motivation
    자발적인 동기화(intrinsic motivation)와 인위적 동기화(extrinsic motivation)가 있다. 전자는 내적 동기화라고도 하는데 동인의 가장 효과적인 형태는 학습자가 학습과제를 성취해야 할 의의나 중요성을 인식할 때 가장 잘 형성된다. 교육적 적용은 구안법과 헤르바르트 학파의 통각개념이 모두 자발적 동기화를 창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새교육운동 ─敎育運動
    ⑥ 단원학습법 · 실습 · 작업 · 도서관 이용 · 현지 견학 등 새학습지도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점 등이다. 중등학교 교과과정에서도 학습자 중심 · 생활 중심의 편성에 유의하였고, 국가적 현실과 이상에 맞는 교육내용을 조직하는 데 치중하였다. 다음으로 측정과 평가방법에서도 교육과정의 과학화...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교육/교육
  • 평생교육 平生敎育, life-long education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자문기관인 성인교육추진국제위원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평생교육의 이념은 개개 학습자를 위한 교육이 학교교육에 그쳐서는 안 되고, 이후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은 서로 협력·보완이 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