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준성 金俊星쫓겨난 학생들을 모아 교육하였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을 때 원산 지역 기독교청년회학관 학생들을 선두에서 지휘하였다. 1929년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정기대회 수정위원 후보 및 원산 YMCA에서 설립한 원산 협동소비조합의 이사로 활동하였다. 1930년 9월 1일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관동진재 피해...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8년
- 사망 :
- 1978년
- 경력 :
- 재일 YMCA 부총무, 원산 YMCA 총무, 함흥 영생고등보통학교 훈육주임, 용정 은진중학교 교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교육자, 사회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언론집회압박탄핵대회 言論集會壓迫彈劾大會것 등이었다. 그 뒤에도 총독부 당국의 태도에 변화가 보이지 않자, 조선일보사를 비롯한 시대일보사·동아일보사·개벽사·조선지광사·신생활사·염군사...조선노농총동맹·변호사협회·기독교청년연합회·천도교청년회연합회·조선교육협회·불교청년회·천도교신청년회·조선청년총동맹·신흥청년동맹·심사상연구회...
- 시대 :
- 근대
- 발생 :
- 1924년 6월 21일
- 성격 :
- 정치대회, 사회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장소 :
- 서울 천도교회당
-
고황경 바롬, 高凰京직후인 1937년 8월 전쟁비용에 보태라고 금비녀 등을 헌납하자는 애국금차회(愛國金釵會)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간사를 맡았다. 1938년 6월 무렵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가 세계YWCA협의회에서 탈퇴하고 ‘내선일체’를 강조하며 일본여자기독교청년회동맹 가입을 결의할 때 김활란·유각경·박마리아와 함께...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909년 3월 6일
- 사망 :
- 2000년 11월 2일
- 경력 :
-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미군정청 부녀국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서울여자대학교 총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교육자, 여성운동가, 친일반민족행위자
- 대표작 :
- 인도기행, 구라파기행, 한국농촌가족의 연구
- 성별 :
- 여
- 분야 :
- 교육/교육
- 본관 :
- 제주(濟州)
-
김사국 해광, 金思國6일 만기 출옥하였다. 이후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조선노동대회 등에서 활동하다가 1921년 1월 서울청년회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보안법 위반으로 서대문경찰서에 구속되었으나 2월 5일 석방되었다. 3월에는 조선청년회연합회 기관지 『아성(我聲)』 창간호에 「사회생활을 대상으로 한 신도덕의 수립」, 「아인생...
- 출생 :
- 1895년 11월 9일, 충청남도 연산
- 사망 :
- 1926년 5월 8일
- 관련 사건 :
- 국민대회사건, 동양학원사건
- 본관 :
- 연안(延安)
- 주요활동 :
- 1919년 3・1운동 이후 ‘국민대회사건’으로 투옥, 1921년 서울청년회 결성, 1922년 무산자동지회 참여, 1923년 고려공산동맹 결성, 코민테른에 파견, 동양학원설립 주도, 1924년 사회주의자동맹 창립
- 포상훈격 :
- 2002년 건국훈장 애족장
-
장덕수 설산(雪山), 張德秀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주거제한 처분을 받았다. 1920년 『동아일보』 창간과 더불어 초대 주필과 부사장이 되었다. 1920년대 초반 조선교육회 평의원, 조선청년회연합회 집행위원, 조선노동공제회 의사부원을 비롯한 사회단체의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민립대학설립기성준비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22년 동아일보...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4년(고종 31)
- 사망 :
- 1947년 12월 2일
- 경력 :
- 신한청년당, 동아일보 주필, 보성전문학교 교수,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한국민주당 외교부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흥업구락부사건
- 직업 :
- 언론인,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결성(結城)
-
조선노동청년동맹 朝鮮勞動靑年同盟확실하지 않으나 1925년 전일 것으로 보인다. 1925년 3월 8일 재경조선해방운동자단체연합회간친회(在京朝鮮解放運動者團體聯合會懇親會)에 참석한 11개 단체 중...되어야 함을 150명의 동맹원에게 역설하였고 서울청년회의 대표 기노춘(奇老春), 조선노동대회(朝鮮勞動大會)의 대표 장채주(張彩柱) 등 20여명과 연합...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25년
- 성격 :
- 노동운동단체, 청년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진탁
- 분야 :
- 역사/근대사
-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 朝鮮民族解放同盟단체연합회) 민족단일당 창당을 목표로 7당회의에 참가했다. 그러나 민족주의 진영의 광선(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이 인원이나 역량으로 보아 우세해지자 “민족주의를 위해 공산주의 조직을 포기할 수 없다”고 성명서를 낸 뒤 탈퇴했다. 미국 본토에서 참가한 한국인 단체가 김원봉의 좌파단체와 합작...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6년 3월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한용운 한정옥, 韓龍雲본사연합회)가 서울에 세운 학교인 중앙학림(동국대 전신) 학생인 신상완(申尙玩) ・ 김법린(金法麟) ・ 백성욱(白性郁) ・ 정병헌(鄭秉憲) ・ 오택언(吳澤彦...가져온 선언서를 돌려보는 것으로 낭독을 대신하고, 선생에게 간단한 식사(式辭)를 부탁하였다. 이에 선생은 “오늘 우리가 집합한 것은 조선의 독립을 선언...
- 출생 :
-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 사망 :
- 1944년 6월 29일
- 수상 :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년
-
조선노농총동맹 朝鮮勞農總同盟서울청년회 계열과 화요회 및 북풍회 계열 간에 다툼이 노골화되면서 분열은 수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러한 위기는 그 해 조선공산당 창립으로 심각해졌다. 이러한 가운데 1925년 11월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총동맹을 농민동맹과 노동동맹으로 분립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뒤 몇 번의 서신투표를 거쳐 1927...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어린이의 영원한 벗, 방정환 소파, 方定煥한 조선소년연합회가 10월 16일 조직되었다. 맺음말 이상에서 방정환의 민족운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삶을 정리하면, 첫째, 그는 상인집안의 매우 유복한 가정에서 출생하였으나 9살 무렵 가세가 몰락하여 어려운 생활을 영위하였다. 이 시기 그는 할아버지로부터 천자문을 배우는 한편 보성소학교에 입학하였다가...
- 출생 :
- 1899년 11월 9일 (서울)
- 사망 :
- 1931년 7월 23일
- 수상 :
- 건국훈장 애국장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