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으름덩굴 Akebia quinata
    개요 미나리아재목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넓은잎 덩굴나무. 학명은 ‘Akebia quinata (Thunb.) Decne.’이다. 열매가 바나나와 비슷하여 한국바나나(Korean banana)라고도 부르며, ‘임하부인’이라고도 부른다. 형태 잎은 잔잎 5장이 둥글게 모여 어긋나거나 모여나는데 잔잎은 긴 타원형이고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으름덩굴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 들
    크기 :
    약 5m
    학명 :
    Akebia quinata (Thunb.) Decne.
    꽃말 :
    재능
  • 천장 天障
    습기를 제거할 뿐 아니라 피막이 생겼으므로 완성된 뒤에 습기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습기의 삼투만 없다면 목재는 그 수명이 한없이 연장된다. 또 이 피막은 재목 속에 있을 벌레나 벌레알의 생태를 억제하므로 방충·방부의 효과도 얻는다. 광솔불로 지지면 광솔불에서 일어나는 지독한 그을음 때문에 재목은 삽시간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우담화 優曇花, udumbara
    암수딴그루로 나무의 높이는 3m가량이고, 잎은 달걀 모양으로 얇다. 꽃은 꽃받침에 싸여 있는데 작아서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열매는 지름이 3㎝가량으로 달린다. 열매는 식용으로 이용되며, 잎은 가축과 코끼리의 사료로 쓰인다. 나무의 진은 고무질이 있기 때문에 끈끈이를 만들며, 재목은 거친 건축재로 사용된다...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뽕나무과 > 무화과나무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고원지대
    크기 :
    약 3m
    학명 :
    Ficus glomerata
    꽃말 :
    구원, 구세주
  • 라에 Lae
    휴온 만의 마컴 강 하구에 있는 항구도시이다. 불롤로와 와우에서 도로로 수송되는 재목·합판·커피와 센트럴 산맥에서 항공 수송되는 생산물을 수출하는 상업활동 중심지이며 또한 인근지역의 농산물 거래 중심지이다. 레헤 선교단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읍이 형성되었고, 1928년 기니 항공사가 건설한 공항을 중심으로...
    위치 :
    파푸아뉴기니 북동부, 휴온 만의 마컴 강 하구
    인구 :
    76,255명 (2022년 추계)
    언어 :
    영어, 피지어
    대륙 :
    오세아니아
    국가 :
    파푸아뉴기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이계맹 李繼孟
    역임했다. 성격이 호방·고매하고 기개가 있었으며, 행동에 구애받지 않고 시속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아 김종직·정광필은 그를 일러 능히 재상이 될 재목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사화 때마다 "선비들을 얽어 해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하며 사림들을 변호하여, 집권세력의 미움을 받아 자주 고변의 대상이 되었다. 전주...
    출생 :
    1458(세조 4)
    사망 :
    1523(중종 18)
    국적 :
    조선, 한국
  • 잭프루트 jackfruit
    익은 열매는 날것으로 먹는다. 씨를 둘러싸는 과육은 달고 신 맛이 난다. 나무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 전통악기 제작에 사용되고, 황금빛이 나는 재목은 가구재·건축재로 사용된다. 형태 성숙하면 키가 15~20m에 이르는데 길이가 15~20cm로 뻣뻣하고 광택이 나는 녹색의 잎과 길이 60cm, 무게 18㎏에 달하는 열매...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쐐기풀목 > 뽕나무과
    원산지 :
    아시아 (인도,말레이시아)
    서식지 :
    열대의 습지대
    크기 :
    약 15m ~ 20m
    학명 :
    Artocarpus heterophyllus
  • 인제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
    설화는 명승지와 지명에 얽힌 전설이 많은데, 백담사 등 사찰연기설화와 <홍수전설>·<아기장수설화> 등이 있다. 민요는 산지가 많고 임산자원이 풍부하여 재목이나 화목을 운반할 때에 부르던 <뗏목아리랑>을 비롯해 <베틀노래>·<소몰이소리> 등 지역특색을 담은 노동요와 동요가 많다. 의료기관은 대부분 인제읍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잠룡이 머무르는 곳
    말을 듣고 이를 누르기 위해 지은 것이 경덕궁이다. 그 뒤 인조반정으로 공사는 중단되었다가 병자호란 후 청나라의 요구로 홍제원에 역참을 지을 때 궐의 재목과 기와를 사용함으로써 인경궁은 자취를 감추게 됐다. 인왕산 아래는 풍수지리상 명당이라는 말에 걸맞게 대대로 잠룡들이 거주하던 지역이다. 인조의 잠저...
    관련 장소 :
    돈의문
  • 자클린 뒤 프레 Jacqueline Du Pre
    협연한 무대는 관객들의 탄성을 자아내며 뒤 프레의 이름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언론에서는 “현재도 빛나는 첼리스트이자 이제 곧 더 유명한 첼리스트가 될 재목”이라며 스타의 탄생을 예고했다. 1965년 스무 살의 나이로 뉴욕에 진출한 자클린 뒤 프레는 오래 전 영재 오디션에서 그녀의 재능을 알아보았던 존...
    분류 :
    연주자>기악 연주자>현악 연주자
    출생 :
    1945년 1월 26일, 영국
    사망 :
    1987년 10월 19일
    유형 :
    첼로 연주자
    수상 :
    • 1965년 수지아 어워드 • 1976년 영국 왕실 신년서작·서훈 • 1977년 BRIT 어워드 베스트 클래식 솔로 연주자 앨범 상
    데뷔 :
    1961년 3월 1일, 영국 위그모어 홀
    레퍼토리 :
    드보르자크, 엘가, 베토벤, 브람스, 보케리니 등
  • 넓적노린재 펑거스 버그, flat bug
    속하는 절지동물. 주 서식지는 돌 아래와 돌 틈 안이다. 식성은 초식성이다. ‘펑거스 버그(fungus bug)’라고도 한다. 형태 날개는 잘 발달되어 있지만 아주 작다. 생태 어느 동물지리구에나 분포한다. 넓적노린재는 보통 돌 밑이나 틈 안에서 볼 수 있고, 식성은 초식성으로 균류나 썩은 재목의 습기를 먹고 산다.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노린재목 > 넓적노린재과
    서식지 :
    돌 아래, 돌 틈 안
    식성 :
    초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목조건축 木造建築, wooden construction
    설치된 볼트로 벽에 고정되어 토대가 지지하고 있는 부재나 토대 자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했다. 목재건축에서 보통 수직재는 홈이 파여 여기에 오크재목이 쐐기로 고정되었다. 이밖에 정방형 패널식 목재건축의 경우 수직재는 넓은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으며 목재는 수평으로 설치된다. 목조건축은 벽돌, 석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느티나무 Japanese zelkova
    약하므로 옮겨 심을 경우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주어야 한다. 공원이나 길가에 흔히 심고 있으며, 기념수로도 쓰이고 넓은 정원에도 심는다. 활용 재목의 결은 약간 거칠지만 재질이 강하고 질겨서 뒤틀리지 않고 무거우며 무늬와 광택이 아름답다. 또한 잘 썩지 않으며 물에 잘 견디어 농기구의 자루나 가구를...
    꽃말 :
    운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을 싯고 비탈을 달리는 차를 급정거 시켰을 때의 재목 운동(상)과 정지 관성을 이용한 장난감 떨어뜨리기(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