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러스 대처하는 원시 생명체의 지혜
    팀에 따르면 드로셔와 RNAse III은 원래 동물과 식물이 단세포 생물일 때부터 바이러스에 저항하던 싸움꾼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바이러스의 핵심인 유전물질(RNA, DNA)을 공략하는 방법으로 오랫동안 전투를 이끌어 왔다. 본래 박테리아의 RNA를 관리하는 단백질이었던 RNAse III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도 제어할 수...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미생물 , 전염병
  • 염색체 染色體, chromosome
    염색사(染色絲)가 응축되어 형성된다. 염색사가 실이라면 염색체는 실이 많이 꼬여 짧게 응축된 실을 감아놓은 실 뭉치로 비유할 수 있다. 염색사는 유전물질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의 경우 하나의 세포에 들어 있는 DNA 총 길이는 약 2m인데, 지름이 약 5㎛에 지나지 않은 작은 핵 속에 들어...
  • 돌연변이 突然變異
    만약에 DNA 염기배열이 흐트러지거나, 염기 중 일부가 바뀌면 코돈의 유전정보에 오류가 발생해서 생성된 아미노산에도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TAG GGC ATA ACG ATT로 판독되는 유전자의 경우 첫 번째 코돈인 TAG 앞에 A가 첨가되면 전체 유전자의 판독 구조는 ATA GGG CAT AAC GAT T로 바뀌게 될 것이고, 따라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바이스만 August (Friedrich Leopold) Weismann
    생식질설'이라는 이론으로 발전해 처음에는 독일어판 책 속에 실렸으며(1866), 나중에 영어판(1893)으로도 출간되었다. 이 이론의 핵심은 모든 생물체가 특수한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이 이론은 생식질이란 말 대신 염색체·유전자·DNA라는 용어로 바뀌었을 뿐 현재도 일반적인 개념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출생 :
    1834. 1. 17,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사망 :
    1914. 11. 5, 프라이부르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항생제 내성균 먹는 ‘박테리오파지’
    밝혀진 것은 1930년대 전자현미경이 등장하면서부터다.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박테리오파지는 머리와 꼬리로 돼 있다. 다각형으로 생긴 머리 내부에는 유전물질DNA(종류에 따라 RNA가 든 박테리오파지도 있음)가 들어있다. 머리 아랫부분은 꼬리다. 신축성이 있는 단백질로 돼 있고 세균 표면에 달라붙는 부위를...
  • 바이러스 virus
    이처럼 바이러스는 생물적 특성과 무생물적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형이라고 한다. 바이러스는 (핵산의 종류에 따라) 유전물질DNA를 가지면 ‘DNA 바이러스’, RNA를 가지면 ‘RNA 바이러스’라고 한다. (숙주의 종류에 따라) 동물 세포에 기생하면 ‘동물성 바이러스’, 식물세포에 기생하면...
  • 프랜시스 크릭 Francis Harry Compton Crick
    프랜시스 크릭은 생명기능의 유전적 조절을 담당하는 화학물질인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DNA)의 분자구조를 결정하여 1962년 제임스 웟슨, 모리스 윌킨스와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업적을 20세기의 생물학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의 하나로 간주한다. 프랜시스 크릭은 제2차...
    출생 :
    1916. 6. 8, 잉글랜드 노샘프턴셔 노샘프턴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웟슨 James Dewey Watson
    유전 현상의 기본물질인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DNA)의 분자구조를 발견했다. 이 업적으로 그는 1962년 F. 크릭, M.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윌킨스, 크릭). 웟슨은 겨우 15세에 시카고대학교에 입학하여 1947년에 졸업했다.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학위(1950)를 받기 위해 실행...
    출생 :
    1928. 4. 6, 미국 시카고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상보적 DNA 상보적 DNA, Complementary DNA
    가닥 DNA는 3' 말단에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 헤어핀 구조를 프라이머로 하여 DNA 중합효소가 cDNA를 합성한다. 원래 mRNA와 동일한 서열으로...라이브러리에 사용된다. 한 세포의 유전자를 다른 세포로 옮겨 새로운 유전 물질을 단백질로 발현시키고자 할 때, 전체 유전자에는 인트론 같은 비번역...
    도서 위키백과
  • 물질대사 Metabolism, 代謝
    학과 DNA 마이크로어레이 연구에서 얻은 유전자 발현 자료에 통합할 때 수학적 모델이 유용하다.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사람의 대사에 대한 모델이 정립되고...인용저널 인용저널 인용 조직의 좋은 예이다. 나비 넥타이 구조는 광범위한 영양물질을 받아들여 상대적으로 적은 중간체를 통해 다양한 산물과 복잡한 고분자...
    도서 위키백과
  • 생명과학 生命科學, life science
    산업에 응용하는 생물과학의 발달은 유전물질의 변화를 유도하는 유전공학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만든 물질로 사람의 인터페론(천연 항바이러스 물질), 인슐린, 성장호르몬 등이 있으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억제되어 있거나 결함이 있는 유전자들을 기능성 있게 연결하거나 이식 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생물
  • 재조합 DNA 재조합 DNA, Recombinant DNA
    유전학이나 유전공학에서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DNA 염기서열이나 유전자를 플라스미드에 삽입하여 대량으로 증식시키는 과정 역시 복제로 부른다. 플라스미드에 삽입된 유전자는 대장균과 같이 숙주가 되는 세균 내에서 발현하여 특정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으로 인슐린을 생산하게 할 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