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러스 대처하는 원시 생명체의 지혜팀에 따르면 드로셔와 RNAse III은 원래 동물과 식물이 단세포 생물일 때부터 바이러스에 저항하던 싸움꾼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바이러스의 핵심인 유전물질(RNA, DNA)을 공략하는 방법으로 오랫동안 전투를 이끌어 왔다. 본래 박테리아의 RNA를 관리하는 단백질이었던 RNAse III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도 제어할 수...
-
염색체 染色體, chromosome염색사(染色絲)가 응축되어 형성된다. 염색사가 실이라면 염색체는 실이 많이 꼬여 짧게 응축된 실을 감아놓은 실 뭉치로 비유할 수 있다. 염색사는 유전물질인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의 경우 하나의 세포에 들어 있는 DNA 총 길이는 약 2m인데, 지름이 약 5㎛에 지나지 않은 작은 핵 속에 들어...
-
돌연변이 突然變異만약에 DNA 염기배열이 흐트러지거나, 염기 중 일부가 바뀌면 코돈의 유전정보에 오류가 발생해서 생성된 아미노산에도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TAG GGC ATA ACG ATT로 판독되는 유전자의 경우 첫 번째 코돈인 TAG 앞에 A가 첨가되면 전체 유전자의 판독 구조는 ATA GGG CAT AAC GAT T로 바뀌게 될 것이고, 따라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
항생제 내성균 먹는 ‘박테리오파지’밝혀진 것은 1930년대 전자현미경이 등장하면서부터다.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박테리오파지는 머리와 꼬리로 돼 있다. 다각형으로 생긴 머리 내부에는 유전물질인 DNA(종류에 따라 RNA가 든 박테리오파지도 있음)가 들어있다. 머리 아랫부분은 꼬리다. 신축성이 있는 단백질로 돼 있고 세균 표면에 달라붙는 부위를...
-
바이러스 virus이처럼 바이러스는 생물적 특성과 무생물적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형이라고 한다. 바이러스는 (핵산의 종류에 따라) 유전물질로 DNA를 가지면 ‘DNA 바이러스’, RNA를 가지면 ‘RNA 바이러스’라고 한다. (숙주의 종류에 따라) 동물 세포에 기생하면 ‘동물성 바이러스’, 식물세포에 기생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