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 탄신일인 까닭잠저(潛邸)에서 탄생하였다"고 나옵니다. 서기로는 1397년 5월 15일(양력) 태어나셨고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이고, 시호는 장헌(莊憲)으로 태종과 원경왕후(元敬王后) 민 씨(閔氏)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셨지요. 이날을 모든 학교에서 스승의 날로 기념하는 까닭도 세종대왕과 관계 깊습니다. 1965년 청소년...
- 날짜 :
- 05월 15일
-
정순공주 貞順公主개설 제 3대왕 태종의 맏딸로,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閔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99년(정종 1)영의정부사서원부원군(領議政府事西原府院君)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인 사헌부감찰 이백강(李伯剛)에게 출가하였다. 1400년(태종 즉위년) 11월 태종의 즉위와 함께 정순공주에 봉해지고, 이 후 태종·세종...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85년(우왕 11)
- 사망 :
- 1460년(세조 6)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주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김구덕(金九德)의 아들과 명빈 설월헌인(明嬪雪月軒人), 소혜궁주 노씨(昭惠宮主盧氏), 신순궁주 정민(愼順宮主正敏) 등이 발원하여 태종대왕, 원경왕후(元敬王后),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고 자기들 부모의 영가를 천도하기 위해 간행한 것을 세조 8년(1462)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찍어낸 것이다. 전라남도...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낭산 알야산현(閼也山縣), 朗山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여량감무(礪良監務)가 겸임하게 되었다. 1400년(정종 2)여량현과 낭산현을 합하여 여산현(礪山縣)이라 하였고, 1436년(세종 18)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외향이어서 군으로 승격시켜 충청도에 예속시켰다가, 1444년 다시 전라도로 예속되었다. 1895년(고종 32)전주부 여산군, 1896년 전라북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송거신 충정(忠靖), 宋居信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아버지는 전법판서(典法判書) 송첨(宋詹)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태종의 비인 원경왕후(元敬王后)와 인척이 되는 인연으로 태종의 잠저(潛邸: 임금이 되기 전의 거처나 그 생활) 때부터 후대를 받았다. 별장을 거쳐 낭장으로 있을 때 이방원(李芳遠: 태종)을 따라 사냥을 나갔다가 섣불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69년(공민왕 18)
- 사망 :
- 1447년(세종 29)
- 경력 :
- 군기소감, 사복시부정, 호룡순위사대호군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신,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산(礪山: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
-
헌릉인릉관장 인장 獻陵仁陵官章 印章유물설명 태종(太宗, 재위 1400~1418년)과 원경왕후(元敬王后, 1365∼1420년)의 능인 헌릉(獻陵)과 순조(純祖, 재위 1800∼1834년)와 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년)의 능인 인릉(仁陵)을 관리하던 관서에서 사용한 목제(木製) 인장이다. 인면(印面)에는 ‘헌릉인릉관장(獻陵仁陵官章)‘을 전서체(篆書體)로 양각...
- 분류 :
- 유물 > 조각
- 크기 :
- 세로: 2.0cm, 가로: 2.0cm, 높이: 5.0cm
- 재질 :
- 나무
-
세종 상시호 금보 世宗 上諡號 金寶새기지 않았다. 조선 4대 임금인 세종(1397~1450)의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으로 재위기간은 1418~1450년이다. 태종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이며, 비(妃)는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18년 6월 형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세자의 자리에서 폐위되자 세자로 책봉되어...
- 분류 :
- 유물 > 어보
- 크기 :
- 세로: 10.2cmcm, 가로: 10.2cmcm, cm,높이: 6.9cmcm
- 재질 :
- 금속
-
용광정명 龍光貞明아니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된 보태평지악의 제7·8변인 「창휘(昌徽)」와 「정명(貞明)」을 축소하여 만든 곡이다. 노랫말도 세종 때 태종과 원경왕후의 덕을 찬양한 4언10구의 「창휘」와 「정명」에서 줄여서 4언12구로 사용하였다. 곡명은 각각 노래말 중 ‘혁재용광(赫哉龍光)’, ‘의여정명(猗歟貞明...
- 성격 :
- 국악곡, 제례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친제자필 親製自筆유물설명 1768년(영조 44년) 3월 21일 왕세손(훗날 정조)이 영조를 수행하여 헌릉(태종과 원경왕후의 능)에 나가 제사를 지낸 내용을 새긴 현판이다. 당시 왕세손이었던 정조가 글을 짓고 글씨를 쓴 것이다(親製自筆 戊子三月二十一日來二十二日 回小孫至願 仝年月日 拜手謹識 親書以揭 代以親揮). 배면에 '壬申七月九日...
- 분류 :
- 유물 > 현판
- 크기 :
- 세로: 63.8cmcm, 가로: 99.4cmcm
- 재질 :
- 피나무
-
민여익 보지(輔之), 閔汝翼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세종 초년 영접사(迎接使)로 여러 차례 평양에 파견되어 사신을 영접하였다. 1419년(세종 1) 8월에 호조판서가 되었다. 1420년 7월 원경왕후(元敬王后)가 죽자 수릉관(守陵官)이 되었다. 이어 보국숭록여천부원군(輔國崇祿驪川府院君)에 봉해졌고, 1426년 품계가 더 올라 대광보국여천부원군...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60년(공민왕 9)
- 사망 :
- 1431년(세종 13)
- 경력 :
- 에조의랑, 우간의, 도승지, 사헌부대사간, 참지의정부사, 공조판서, 에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조야휘언 朝野彙言후궁(後宮)·치도(治道)·양사기(養士氣) 등의 항목이 있다. 성효는 조선 태조부터 효종까지 역대 군왕의 효성에 관한 내용이며, 후비에는 태조 때의 원경왕후(元敬王后)가 정도전(鄭道傳)의 난에 얽힌 고사로부터 숙종에 이르기까지 후비에 관한 기사를 모아 놓았다. 치도에는 성종 때부터 숙종에 이르기까지 선정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시민(金時敏)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유서(類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동포휘언 東圃彙言척리(戚里)·치도(治道)·숭유(崇儒)·양사기(養士氣)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태조로부터 효종에 이르기까지 역대 임금의 효성에 관한 기사, 태조 때 원경왕후(元敬王后)가 정도전(鄭道傳)·방간(芳幹)의 난 등에 얽힌 비화, 성종에서 숙종까지 역대 임금의 훌륭한 치적과 유학을 장려한 사실, 세종에서 숙종까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시민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개설서, 잡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4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