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동금강저 靑銅金剛杵있는 까닭에 보배라 이름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지도론(智度論)』에 따르면, “마니주(摩尼珠)는 제석천(帝釋天)이 지녔던 금강의 파편이다. 이 금강은 아수라와 싸울 때 부서져 염부제(閻浮提)에 떨어진 것”이다. 고대 인도에서부터 무기로 사용된 금강저는 집금강신(執金剛神)·금강역사(金剛力士)·금강수보살...
- 시대 :
- 고려
- 성격 :
- 의식법구
- 유형 :
- 유물
- 크기 :
- 길이 22㎝, 너비 6㎝
- 재질 :
- 청동
- 제작시기 :
- 고려시대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박물관
-
합천 해인사 국일암 구품도 합천 해인사 국일암 구품탱, 陜川 海印寺 國一庵 九品圖아난을 자리하였다. 불단 아래에는 보살들이 모두 청사자를 타고 있다. 그 밑에는 아라한들이 경전을 보며 서로 이야기하고 있고 입구 양쪽에는 마혜수라와 아수라가 서있다. 이들 양쪽엔 범천과 제석천이 합장하였고 그 양쪽으로 신중들이 담을 에워쌓다. 색감은 붉은 색이 주가 되고 녹색이 보조색으로 쓰였다. 19세기...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팔부중상 팔부신장상(八部神將像), 八部衆像팔부중이나 선림원3층석탑 팔부중 등 대부분의 팔부중상이 불타팔부중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불타팔부중은 천(天)·용(龍)·야차(夜叉)·건달바(乾達婆)·아수라(阿修羅)·가루라(迦樓羅)·긴나라(緊那羅)·마후라가(摩睺羅伽) 등으로 신라시대에는 탑에 가장 많이 조성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불화(佛畫) 특히 후불...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육자대명주 六字大明呪보호하고 삼매(三昧)를 이루게 될 뿐 아니라 7대의 조상이 해탈을 얻으며, 본인은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원만한 공덕을 얻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 주문의 ‘옴마니반메훔’의 글자마다에는 지옥·아귀·축생·인간·아수라·천상의 육도(六道)를 벗어나게 하는 힘이 있어 윤회로부터 해탈하게 하는 기본적인 주문이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진주 청곡사 영산회상도 晉州 靑谷寺 靈山會上圖보살의 상반신만 나타나 있다. 백발비구의 모습인 가섭과 젊은 아난존자는 특히 석가불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팔부중은 천 · 용 · 야차 · 건달바 · 아수라 · 가루라 · 긴나라 · 마후라가인데, 용은 합장한 인물이 머리에 용의 탈을 쓴 모습으로 묘사된다. 인왕과 유사한 얼굴 표정과 나신에 긴 천의 자락이...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성불도놀이 成佛圖놀이내용 이 놀이는 오락을 통해서 불교의 수행 자체와 교리 체계는 물론 지옥 · 아귀 · 축생 · 아수라 · 인간 · 천의 여섯 가지 세계인 육도(六道)를 윤회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서 생사가 없는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이치를 이해시키고, 염불정진(念佛精進)을 권장하여 신심(信心)을 깊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 시대 :
- 고려
- 유형 :
- 놀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서울 봉은사 판전 신중도 서울 奉恩寺 板殿 神衆圖大自在天)과 세 번째 단에 예적금강(穢跡金剛)이 주요 존상으로 자리하고 있다. 최상단의 제석, 범천을 중심으로 상단에는 천녀를 두고 하단에는 사천왕, 아수라, 건달바 등의 호법신을 배치하였다. 소를 탄 대자재천과 예적금강이 주존으로 등장하는 작품으로 1868년 용문사 신중도가 있으나 화면의 구성과 인물의 표현...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장안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長安寺 冥府殿 地藏菩薩圖내용 지장보살은 관세음보살과 함께 우리나라 2대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인 · 아수라 · 축생 · 아귀 · 지옥의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을 남김없이 구제하기 위해 성불(成佛)마저도 포기한 대비(大悲)의 보살이다. 화면...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