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네오카프액(2mL) Neocaf Solution(2mL)투여받았다. 4) 문헌에 의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ㆍ 신경계 : 중추신경계 흥분(민감, 불안, 신경과민) ㆍ 심혈관계 : 빈맥, 좌심실 박출량 증가, 심박출량 증가 ㆍ 소화기계 : 위 흡인(gastric aspirate)증가, 위장관 불내성 ㆍ 대사이상 : 저혈당, 고혈당 ㆍ 비뇨기계 : 뇨속(urine flow rate)증가, 크레아티닌...
- 식약처 분류 :
- 호흡촉진제 (221)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한국팜비오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59900450_9347원/2mL/병, 급여(2017-02-01)
- 제형 :
- 액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액제)
- 보관방법 :
- 밀봉용기, 15~30℃ 보관
-
코와프로테르놀엘주 0.2mg/1mL Kowa Proternol L Inj. 0.2mg/1mLStokes) 증후군(서맥형)의 발작 시(고도의 서맥, 심박동정지 포함) 혹은 발작 반복 시 2. 심근경색이나 세균 내 독소 등에 의한 급성심부전 3. 수술 후의 저심박출량 증후군 4. 중증의 기관지 천식 발작 시 용법용량 1. 점적 정맥주사 l-이소프레날린염산염으로서 0.2~1.0mg을 등장액 200~500mL에 용해하여 심박수 또는...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심혈관계 작용약 > 부정맥 치료제 > 베타 효능제 > Non-selective β adrenergic agonist
- 제조/수입사 :
-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 성상 :
- pH 3.5~5.0의 무색 투명한 주사액
- 제형 :
- 주사제
- 투여 경로 :
- 주사제
- 보관방법 :
- 차광, 실온 보관
-
도푸라민주 Dopramin Inj.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효능 1.심근경색, 외상, 내독성패혈증, 수술후 및 신부전으로 인한 쇼크 2.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만성심대상부전증 3.핍뇨, 무뇨증 4.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기타 순환장애 용법 1. 용량 성인 : 도파민염산염으로서 체중 ㎏당 2-5㎍/분을 정맥주사한다. 중증인 경우에는 체중 ㎏당 5-10㎍...
- 식약처 분류 :
- 기타의 순환계용약 (219)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이연제약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58600131_1812원/5mL/앰플, 급여(2017-02-01)
- 임산부 금기 :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 제형 :
- 주사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주사
- 보관방법 :
- 차광밀봉용기, 실온보관(1~30℃)
-
미오엠아이비지(123I)주사액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부작용 1) 순환기계 : 드물게 실신, 울혈성심부전, 저심박출량 증후군, 혈압저하, 서맥이 나타날 수 있다. 2) 소화기계 : 드물게 구역,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3) 기타 : 드물게 전신권태감이 나타날 수 있다. 3. 일반적 주의...
- 식약처 분류 :
- 방사성 의약품 (431)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새한산업
- 임산부 금기 :
- 1등급 , 원칙적 사용금기
- 제형 :
- 주사제
- 단일/복합 :
- 복합 성분
- 투여 경로 :
- 주사
- 보관방법 :
- 1) 저장방법: 밀봉용기, 2-8℃이하, 방사선을 안전하게 차폐할 수 있는 저장상자에 보존. 2) 검정일로부터 10시간 3) 131I의 물리적 반감기: 13.2시간
-
한국원자력의학원메타요오드벤질구아니딘123I주사액 Kirams Meta Iodobenxyl..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이상반응 1) 순환기계 : 드물게 실신, 울혈성심부전, 저심박출량 증후군, 혈압저하, 서맥이 나타날 수 있다. 2) 소화기계 : 드물게 구역,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3) 기타 : 드물게 전신권태감이 나타날 수 있다. 4) 중대한...
- 식약처 분류 :
- 방사성 의약품 (431)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한국원자력의학원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92900170_48500원/1mCi, 급여(2015-07-01)
- 임산부 금기 :
- 1등급 , 원칙적 사용금기
- 제형 :
- 주사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주사
- 보관방법 :
- 밀봉용기,방사선 차폐시설,냉소(2-8℃)보관,차광보존 제조일(필요시각기재한다.):제조시 표기 사용(유효)기간:제조시각으로부터30시간 제조시의 방사선량:제조시 표기 123I의 물리적 반감기:13.2시간
-
고혈압 노인 고혈압평상시에도 혈압이 감소된다고 하였다. 장기간 운동을 계속하면 안정 시 혈압이 낮아지는데, 이것은 심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운동에 의해 심장기능은 1회 심박출량의 증가, 안정시 심박수 저하, 심장의 모세혈관 발달, 외에도 말초혈관 저항의 감소, 자율신경 및 내분비계기능의 증가, 섬유소 용해능력의 항진...
-
의태프로테르놀엘주 0.2mg/1mL Proternol L Inj. 0.2mg/1mL용해하여 심박수 또는 심전도를 모니터하면서 주입한다. 1) 아담스-스토크스 증후군의 경우, 심박수는 분당 50~60을 원칙으로 유지한다. 2) 쇼크나 저심박출량 증후군의 경우, 심박수는 분당 110 전후로 유지하도록 한다. 2. 긴급시 1) 급속한 효과 발현 필요 시, l-이소프레날린염산염으로서 0.2mg을 등장액 20...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심혈관계 작용약 > 부정맥 치료제 > 베타 효능제 > Non-selective β adrenergic agonist
- 제조/수입사 :
-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 성상 :
- pH 3.5~5.0의 무색 또는 거의 무색의 액제
- 제형 :
- 주사제
- 투여 경로 :
- 주사제
- 보관방법 :
- 차광, 25℃ 이하 보관
- FDA 임산부 금기 :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
중외염산도부타민 50mg과 5%포도당주사액 50mg JW Dobutamine Hydroc..2-20㎕/분이나 때때로 이 범위를 약간 벗어날 수 있다. - 전신의 혈압 - 뇨류(Urine flow) - 운동변위(ectopic activity)의 빈도 - 심박동수 - (가능한 필요시) 심박출량의 측정 - 중심정맥의 압력 - 폐모세혈관의 wedge pressure ○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드물게 체중 kg당 40㎕/분의 주입속도가 필요한 경우...
- 식약처 분류 :
- [02110]강심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심혈관계 작용약 > 심부전 치료제 > 강심제 > β1 adrenergic agonist
- 제조/수입사 :
- 제이더블유중외제약(주)
- 성상 :
-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다층필름플라스틱용기에 든 무색 또는 미황색의 투명한액
- 제형 :
- 주사제
- 투여 경로 :
- 주사제
- 보관방법 :
- 밀봉용기, 25℃이하에서 보관
-
심방 세동 Atrial fibrillation답답하며, 심한 경우 어지럽고 숨이 찹니다. 만성 심방 세동의 경우, 위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고,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심방 세동으로 인해 심박출량(심장이 수축할 때 뿜어내는 혈액의 양)이 감소하여 호흡 곤란, 무력감, 피곤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는 두 가지 요인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현상...
- 분류 :
-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가슴 답답, 가슴 두근거림, 빈맥, 실신, 어지러움, 피로감, 호흡곤란
- 진료과 :
- 심장내과
- 관련 질환 :
- 부정맥, 심장 판막 질환, 심근병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
폐모세혈관쐐기압 Pulmonary artery occlusion pressure검사로 폐고혈압의 원인을 판단할 수 없거나, 정확한 혈역학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 팁 전통적으로 폐모세혈관쐐기압 측정의 과정을 통해 심박출량을 측정하였으나, 적지 않은 합병증으로 근래에는 비교적 침습성이 적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심박출량을 측정하기도 합니다...
- 관련 질환 :
- 폐성 고혈압, 폐부종, 성인 호흡곤란증후군, 심낭 압전, 승모판 협착
- 관련 인체 :
- 폐동맥, 모세혈관, 혈액 순환, 우심실, 좌심실
- 관련 검사 :
- 심장초음파검사, 식도경유심장초음파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