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한 비밀 군사 프로젝트의 암호명. 수도권 전철 5호선 영등포구청역의 역번호. 현도 제523호선 대한민국의 보물 제523호: 석보상절 대한민국의 사적 제523호: 여수 석보 울산 523 FC: 대한민국 울산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아마추어 축구단. 구단명의 523은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의 주소인...
며느리라는 말이 처음 사용되었다. 어원은 '메'와 '나리'의 결합으로써 제사 모시는 일에서 유래되었다는 일설이 있으나 근거는 없으며, 1447년 출간된 석보상절에 이미 "며느리"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한자어로는 요 등으로 불리지만 며느리는 자부라고 부르기도 하나 사위는 그냥 사위로 불린다.조카의 남편은 조카...
꼭두박물관 언제부터 꼭두란 말이 쓰였는 지는 분명치 않으며 외래어라고 하더라도 그 기원이 무엇인지 의견이 분분할 뿐 명확치 않다. 15세기 문헌인 《석보상절》에 곡도라는 표현이 보인다. 꼭두라는 말은 장난감 인형, 꼭두각시놀이 등에도 널리 사용되었으나 19세기 무렵이 되면 주로 상여 부속으로 제작되는 인형...
제745-11호로 지정되었다. 월인석보는 전체 25권으로 추정되는데 월인석보권20(月印釋譜 卷二十)이 새로 지정됨으로써 현재 18권이 확인된 셈이다. 이 책은 석보상절과 함께 한글창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우리나라 최초의 찬불가(讚佛歌)이며 국역대장경(國譯大藏經)이라 할 정도로 조선 초기 불교경전 연구와...
연도표기원후 명(明) 정통(正統) 12년 일본(日本) 분안 4년 후 레 왕조(後黎朝) 다이호아(大和) 5년 명(明) 영종 정통제(英宗 正統帝) 12년 조선(朝鮮) 세종(世宗) 29년 후 레 왕조(後黎朝) 인종(仁宗) 5년 수양대군의 《석보상절》과 이를 바탕으로 악장화한 《월강지》이 완성 조선 초기 문신 조말생
쫓아냈다. 실제 훈민정음 또는 한글을 세종대왕이 만들었을 때에, 조선 정부는 삼강행실도 등의 유교 윤리를 교화하는 그림책외에 외에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등 불교 이야기책들을 한글로 써서 출판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서학으로서 학자들이 공부하던 천주교를 사학 곧 사악한 학문이라고 하여 탄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