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리영응기 舍利靈應記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는 1448년(세종 30)에 세종이 내불당(內佛堂) 낙성을 경찬하는 법회에서 일어난 불사리 감응의 이적을 기록한 글이다. 세종의 명으로 김수온이 지었고, 1449년(세종 31)에 활자로 인쇄하였다. 문소전(文昭殿)에 불당 건립과 경찬회까지의 일을 담고 있다.|서지사항 1권 1책 24장, 갑인자본...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내원당 내도량, 內願堂
    금옥불을 봉안했으며, 집현전 학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해 12월 불당을 낙성하고 경찬회를 열었다. 규모는 불전·승당·선실을 포함해 26칸이었다. 또 〈사리영응기 舍利靈應記〉를 지어 보관케 했고, 1449년(세종 31)에는 경찬법회를 열었다. 1503년(연산군 9) 흥천사로 옮겼다. 1506년(중종 1) 내원당·수륙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개성 내원당 開城 內願堂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 해 12월에 불당을 낙성하고 경찬회(慶讚會)를 열었다. 당시의 규모는 불전 · 승당 · 선실을 포함하여 26칸이었다. 특히 세종은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를 지어서 보관하게 하였다. 1449년에 세종은 경찬법회를 열었고, 1503년에 연산군은 내원당을 흥천사(興天寺)로 옮겼다. 1506년(중종 1...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갑인자 甲寅字
    1447년경에는 〈동국정운 東國正韻〉의 서문(序文)을 찍었다. 1448년경에는 한글 활자도 만들어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 釋譜詳節〉을 찍었다. 1449년 11월 20일에는 한글 작은 자와 함께 〈사리영응기 舍利靈應記〉도 찍었으니, 이 갑인자로 찍어낸 책은 지금까지 150여 종이나 알려져 있다.→ 활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사리영응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