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민왕 이재(怡齋), 恭愍王
    있어서는 1352년 폐단이 많았던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해 귀족들이 겸병한 토지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환원시키는 한편,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들을 해방시켰다. 그러나 홍건적과 왜구의 잦은 침입, 1363년 찬성사김용(金鏞)의 반란, 1364년 덕흥군(德興君) 옹립하려고 했던 부원파...
    시대 :
    고려
    출생 :
    1330년(충숙왕 17)
    사망 :
    1374년(공민왕 23)
    경력 :
    고려 제31대 왕
    유형 :
    인물
    직업 :
    대표작 :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 노국대장공주진(魯國大長公主眞)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개성(開城)
  • 고려 31대 왕, 공민왕 고려 제31대 왕, 恭愍王
    경제면에서는 불법적인 전민탈점(田民奪占)에 대한 시정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전민변정사업). 얼마 뒤 8월에 설치된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은 그러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러나 공민왕의 이러한 의도는 부원배(附元輩)를 중심으로 하는 권문세족의 반발로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구나 즉위한 지 1년 만인 9월...
    출생 :
    1330(충숙왕 17)
    사망 :
    1374(공민왕 23)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351년∼1374년
    시호 :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仁文義武勇智明烈敬孝大王)
    휘 :
    전(顓)
    능묘 :
    현릉(玄陵)
  • 사가미하라 장애인 시설 살상 사건 Sagamihara stabbings, 相模原障害者施設..
    2월 20일, 우에마쓰는 재판을 받는 데 정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으며, 동월 24일에 살인 19건, 살인미수 24건, 상해를 동반한 불법 감금 2건, 불법 감금 3건, 불법 침입 1건, 검·총기 통제법 위반 1건의 혐의로 기소되었다. 2020년 1월 열린 재판에서 우에마쓰가 돌발행동을 보여 퇴정당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도서 위키백과
  • 북촌한옥마을
    환경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큰 소리로 떠들지 않고 조용히 여행하는 관광형태를 말한다. ※ 북촌마을 방문 시 지켜야 할 ‘에티켓’ - 단체관광객 방문 시 반드시 가이드 동행 - 관광버스 불법주차 금지 - 무단 침입, 무단 촬영, 무단 투기, 노상방뇨, 소음 금지 - 마을 방문시간 준수 참고문헌 http://hanok.seoul.go.kr...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계동)
  • 데이터 주도 공격 -主導攻擊, data driven attack
    불법 프로그램을 이식하는 경우. 만약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전자 우편으로 보냈다면 수신자가 이를 인식 시 불법 명령들이 실행될 수 있고,침입 차단 시스템(firewall)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한 등이 요구된다.
  • 경비원 Security guard, 警備員
    감내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경비원은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 각종 건물 및 시설물을 관리하며, 건물 내의 거주자들을 화재, 도난, 불법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출입자 통제, 내방객 안내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건물에서 방문자의 출입을 점검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불법침입 또는...
    도서 위키백과
  • 파괴자 破壞者, cracker
    허가받지 않은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훔치거나 프로그램을 훼손하는 등의 불법 행위를 하는 사람.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불법적으로 시스템의 데이터를 임의로 고쳐 쓰고 삭제하는 등의 악의적 행위를 하여 정보 보안을 위협하기도 한다. ‘위험한 해커(dangerous hacker)’라는 뜻의...
  • 농장 전장(田莊), 農莊
    경작자는 불법적 · 강제적으로 초집된 전호 혹은 노비화된 몰락 농민들이었다. 흔히 그들은 ‘초익인민(招匿人民)’ · ‘초집제민(招集齊民)’ · ‘유민위전(流民爲佃)’ · ‘압량위천(壓良爲賤)’ · ‘억량위천(抑良爲賤)’ 등의 말로 표현되었다. 그들은 경작할 농지가 없었으므로 권력자들의 농장에 유망해 생계...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핵티비즘 Hacktivism
    이에 침입, 공식 자료를 지우고 비난 서명을 띄우는 등 투쟁 상대를 조롱하기도 했다. 하지만 핵티비즘은 최근 단순한 접속 방해를 넘어 내부망에 침투해 기밀문서를 가져오거나 내부망을 파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이버 하이재킹(Cyber Hijacking)’은 기업이나 국가시설의 보안 취약점을 노려 장기간 잠복공격...
  • 네트워크 보안 network security
    외부의 침입 형태는 e-메일 첨부 파일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스파이웨어 설치, 인터넷 피싱 등에 의한 해킹, 바이러스 배포,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 반달(vandal, 파괴를 일으키는 소프트웨어), 정찰 공격, 액세스 공격, 서비스 거부공격 등이 있다. 네트워크 보안을 위협하는 유형은 다음과 같이 인증 위협, 기밀성...
  • 야생동물밀수 Wildlife smuggling
    우선 순위가 낮다.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 멸종위기종 국제무역협약 환경 범죄 레드리스트 – 국제자연보전연맹, 멸종위기종 목록 불법 침입 야생동물 보호 야생동물 관리 야생동물 사육 아시아의 야생동물 밀수 거점 야생동물 거래 남아프리카의 야생동물 밀반출 멸종위기종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
    도서 위키백과
  • 거문도 巨文島
    비가 많다. 지명 유래 거문도는 본래 동도·서도·고도 3개의 섬을 아울러 '삼도'라 불러왔으며, 특별히 고도만을 거문도라 부르기도 했다. 이밖에 왜구의 침입이 잦다 하여 왜도, 1885년 영국의 함대가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거문도사건 때 붙여진 해밀턴항구, 중국인들이 이름 붙인 거마도(巨磨島) 등 여러 이름이...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남서부 해상
    성격 :
    면적 :
    12㎢
    국가 :
    대한민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