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사노 Nicola Pisano
    받았지만 그것들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새로운 양식이 명확히 모습을 드러낸다. 그는 프랑스풍의 고딕 조각과 건축에서 비롯된 독특한 양식과 로마 양식의 부조,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프레스코·모자이크 장식, 전형적인 토스카나·롬바르디아 양식 등 폭넓은 양식들에서 끌어낸 새로운 표현의 예술을 열어놓았다. 그...
    출생 :
    1220경
    사망 :
    1278/84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 遠願寺址 東·西 三層石塔
    있고, 탑 가운데 화사석이 결실된 석등이 남아 있다. 삼층석탑은 동서탑 모두가 이중기단에 삼층의 탑신을 가진 전형적인 신라 석탑 양식이며 크기나 표면의 부조수법이 거의 동일하여 함께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 변천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에 따르면, 원원사(遠願寺)는 신인종(神印宗: 밀교의 종파)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현대의 서양조각
    아카데미의 가식적인 진지함과 공허한 도덕적 이상을 공격하는 구성주의라는 반조각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1913년에 블라디미르 타틀린이 제작한 부조에서 시작되었다. 구성주의자들은 대리석이나 청동보다 플라스틱·유리·철·강철 등 공업적으로 생산된 재료들을 선호했다. 그들의 조각은 깎고 만들고 주조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포항 보경사 서운암 동종 반룡사명 범종, 思印比丘 製作 銅鍾 - ..
    Ω 형태의 단순한 고리로 바뀌었다. 반면, 종신에는 다양한 문양을 장식하였다. 가장 윗부분에는 민머리의 비구를 촘촘하게 표현한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를 부조하였고, 그 아래에는 화려하고 아름다운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을 둘렀다. 그리고 바로 밑에는 굵은 당초문 띠에 5개의 만개한 연꽃을 부조한 정사각형...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서양조각사 history of Western sculpture
    조각의 일반적인 2가지 유형으로는 조상(彫像)의 주위를 사방에서 돌아볼 수 있게 만든 환조와, 벽 등을 바탕면으로 하여 그것으로부터 돌출시켜 만드는 부조가 있다. 서양의 조각은 고대 그리스에서 로마 시대까지, 그리고 중세부터 19세기말에 걸쳐 아케익 양식화로부터 사실주의로 전개되는 과정을 2번 반복하게 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무정부주의 無政府主義, anarchism
    재산을 압제의 수단으로 간주하며 죄란 사유재산과 권력에 따르는 사회적 산물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만약 인간이 법과 사회체계의 멍에로부터 벗어나 상호부조의 원리를 실천하게 된다면, 사회성과 타고난 기질의 자유로운 발전에 기인하는 진정한 의미의 정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해왔다(→ 법철학...
  • 크로포트킨 Peter Kropotkin
    어떤 것이든지 간에 폐지되어야 한다는 무정부주의 이론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1872년에는 스위스의 쥐라 산맥에 있는 시계제조업자들을 방문했는데 이들의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한 자발적 결사체에 감탄하여 자신의 자유주의적 신념을 확고히 했다. 러시아로 돌아온 후 혁명단체에 가입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출생 :
    1842. 12. 21(구력 12. 9), 모스크바
    사망 :
    1921. 2. 8, 모스크바 근처 드미트로프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베르톨도 Bertoldo di Giovanni
    교회의 설교단에 새긴 조각(1460~70)이 그의 첫번째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설교단의 프리즈는 주로 그가 만들었으며, 또한 그것의 매몰된 부분에 새긴 부조도 그가 만들었다. 피사에서 발견된 그리스 로마 양식의 돌널[石棺]에 영향을 받아 친구인 로렌초 데 메디치를 위해 전투를 주제로 한 부조를 만들었다...
    출생 :
    1420
    사망 :
    1491, 피렌체 공화국 포조아카이아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 北漢山舊基洞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15호. 전체높이 594㎝. 머리 위에 5각의 진 돌을 따로 끼워넣어 개석을 삼았으며 개석 밑면에는 연화가 부조되어 있다. 전신의 윤곽을 따라 바위면을 쪼아내고 낮은 부조로 항마촉지인의 불좌상을 조각하고 두광과 신광이 합쳐진 거신광(巨身光)이 개석과 불상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머리는 민머리[素髮]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페르세폴리스 Persepolis
    있는 다리우스의 유명한 기도문인 "신이여, 이 나라를 적과 굶주림과 어리석음으로부터 보호하소서"이다. 페르시아와 메디아 및 엘람 왕국 관리들의 얼굴을 새긴 부조도 많이 남아 있고, 춘분에 열리는 국가적 축제 때 자기 고장의 특산물을 왕에게 공물로 바치려고 페르시아인이나 메디아인의 안내를 받아 제국의 변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
    개설 2009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바위 면에 부조된 삼존불상과 그 앞의 돌기둥에 부조된 4구의 불상 등 모두 7구의 불상이 있어 칠불암으로 불려 오고 있다. 유구(遺構)의 상태로 보아 원래는 석경(石經)을 벽면으로 세운 일종의 석굴사원(石窟寺院)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내용 삼존불상은 4.26m 높이의 바위 면에 꽉...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義城 觀德里 三層石塔
    수법이 나타나기 시작하나 그 본격적 시기는 9세기 이후로 짐작되며, 그중 이 석탑은 신라 하대 9세기에 예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까지 석탑에 나타나는 부조상은 2면1구, 4면4구, 4면8구 등으로 구획되어 인왕·사천왕·팔부중(八部衆)의 조각을 나타내었으나, 이 석탑은 상층기단에 사천왕과 천부중을 복합적으로...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높이 :
    3.65m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5건

인도네시아 보도부두르 사원 부조
도멘 루 페레 에 피스, 부조 프리미에 크뤼 레 프티 부조
독립문 부조
부조 조형물
천인 부조상
봉석주부조묘
김수온부조묘
김수온부조묘
아마라바티의 불전 부조
'죽어가는 사자' 부조
샬마네세르 왕의 부조
아마라바티의 불전부조
노예 부부의 부조
노예 부부의 부조
노예 부부의 부조
종친부조방 현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