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아노 소나타 7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Piano Sonata No. 7 in D Major Op. 10
    후원가 안나 마르가레테에게 헌정 1792년에 오스트리아 빈에 정착한 베토벤은 불과 몇 년 사이에 음악의 중심지인 빈에서 기교파 피아니스트로 자리 잡는 데 성공한다. 연주 실력을 인정받으면서 그를 후원하는 인물도 늘어갔는데, 로브코비츠와 킨스키 그리고 브라운 백작 등이 베토벤에게 특별한 애정과 관심을 보였던...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독주곡 > 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796년~1798년(추정)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798년
    헌정 :
    안나 마르가레테 백작부인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 1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Romance for violin and Orchestra No.1 in G major, Op.40
    독주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작품 베토벤은 평생 동안 독주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를 단 두 곡 작곡했다.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편성이지만 음악의 규모와 구성이 협주곡보다 작은 형태의 협주적 소품은 베토벤이 이 작품 이후로는 좀처럼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로망스 1번〉과...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관현악곡 > 협주곡
    제작시기 :
    1800년대 초(1802년 이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803년
    편성 :
    독주 바이올린, 플루트, 오보에2, 바순2, 호른2, 현4부
  • 바이올린 소나타 10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10 in G Major Op.96
    ‘크로이처’ 이후 9년 만의 바이올린 소나타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그의 주력 장르로 여겨지는 피아노 소나타, 현악 4중주, 교향곡 등에 비해서는 가치가 다소 낮게 평가된다. 바이올린 소나타가 주로 베토벤이 작곡가로 활동한 초기에 작곡돼 그의 진면목을 담기엔 부족했다는 점이 그 이유이다. 하지만...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실내악곡 > 2중주
    제작시기 :
    1812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초연 :
    1912년 12월 19일, 피에르 로드의 바이올린, 루돌프 대공의 피아노
    출판 :
    1816년, 빈
    헌정 :
    루돌프 대공
    편성 :
    바이올린, 피아노
  • 피아노 소나타 27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Piano Sonata No. 27 in e minor Op.90
    중기에서 후기로 향하는 과도기에 완성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할 무렵 프랑스 군대가 라이프치히에서 패배하면서 유럽 사회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고, 1814년에는 빈에서 회의도 열렸다. 이런 상황에서 베토벤은 더욱 더 내면의 성찰에 몰두했고 그 결과로 말기의 대작들을 탄생시키게 되는데, 〈피아노 소나타 27번...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독주곡 > 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14년 8월 16일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헌정 :
    모리츠 리히노프스키 백작
    구성 :
    2악장
  • 루트비히 2세, 미친 왕에게 나라를 맡길 수 없다 비운의 인물 미스터리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을 건설하겠다는 루트비히 2세의 집념은 결과적으로 볼 때 완수되었지만, 막상 루트비히 2세는 노이슈반슈타인 성의 완공을 보지 못했다. 노이슈반슈타인 성을 비롯한 수많은 성의 건설을 둘러싼 바이에른 정부와 루트비히 2세의 알력 때문이었다. 한마디로 루트비히 2세가 국가 재정을 엉망...
  • 7중주 E ♭장조 루트비히 판 베토벤, Septet in E Major Op.20
    빈 청중의 취향에 맞춘 곡 이 곡이 발표된 1800년은 베토벤이 첫 교향곡을 발표한 해이자 여섯 개의 현악 4중주곡을 발표한 해이기도 하다. 또한 이 해는 베토벤의 ‘제1기’가 시작되는 해로 여겨진다. 이 전까지 베토벤은 주로 피아노 소나타와 실내악곡에서 음악적 시도를 하였는데, 이 작품은 제1기 이전 초기 작품...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실내악 > 기타
    제작시기 :
    1799~1800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802년
    헌정 :
    프란츠 2세의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
    편성 :
    클라리넷, 바순, 호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 피아노 소나타 1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Piano Sonata No.1 in f minor Op.2-1
    하이든에게 헌정한 최초의 피아노 소나타 1795년, 베토벤은 빈에서 처음으로 공개 연주회를 열어서 피아니스트로서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음악가로서 막 도약을 시작할 이 무렵, 베토벤은 피아노 소나타 작곡을 시도하기 시작했고 모두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완성했다. Op.2에 수록된 〈3개의 피아노 소나타〉는 바로...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독주곡 > 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794년(3개의 피아노 소나타 중 제1번, 피아노 소나타 1번을 말함)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796년 빈, 알타리아 출판사
    헌정 :
    요제프 하이든
    편성 :
    피아노
  • 현악 4중주 13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String Quartets No.13 in BMajor Op.130
    갈리친 후작에게 헌정 베토벤은 1824년에서 26년 사이에 상트 페테르부르크 출신의 음악 애호가 갈리친 후작의 의뢰를 받아 〈12번〉, 〈13번〉, 〈15번〉까지 세 곡의 현악 4중주를 작곡했다. 〈13번〉이 작품 번호 상으로는 앞서 있지만 완성은 〈14번〉보다 늦게 이루어졌다. 몇 년 간의 공백을 깨고 현악 4중주 작곡...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실내악 > 4중주
    제작시기 :
    1825년, 새로운 마지막 악장은 1826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초연 :
    1826년 3월 21일, 빈
    출판 :
    1827년
    헌정 :
    니콜라우스 갈리친 후작
    편성 :
    바이올린 2, 비올라, 첼로
  • 첼로 소나타 3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Sonata for Cello and Piano No.3 in A Major Op.69
    교향곡 ‘운명’과 ‘전원’의 시기에 작곡된 첼로 소나타 1796년에 첫 번째 첼로 소나타인 Op.5의 1, 2를 작곡한 베토벤은 10년이 지난 1807~1808년에 걸쳐 세 번째 첼로 소나타를 완성했다. 그땐 이미 10번을 제외한 9편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완성한 뒤였고, 〈교향곡 5번〉 ‘운명’과 〈교향곡 6번〉 ‘전원’이...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실내악 > 2중주
    제작시기 :
    1807~1808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809년
    헌정 :
    이그나츠 폰 글라이헨슈타인 남작
    편성 :
    첼로, 피아노
  • 현악 4중주 10번 ‘하프’ 루트비히 판 베토벤, String Quartets No.10 in EMajor Op.74 “Harfe”
    ‘라주모프스키 4중주’ 이후 공백을 깬 신작 1806년 세 곡의 ‘라주모프스키 4중주’를 완성한 후, 베토벤은 한동안 현악 4중주를 쓰지 않았다. ‘라주모프스키 4중주’ 가운데 마지막으로 쓴 〈현악 4중주 9번〉의 완성도가 워낙 뛰어난 탓도 있었으나 그동안 베토벤은 〈전원 교향곡〉과 〈합창 환상곡〉, 〈교향곡...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실내악 > 4중주
    제작시기 :
    1809년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810년
    헌정 :
    로브코비츠 공작
    편성 :
    바이올린 2, 비올라, 첼로
  • 루트비히 3세 Ludwig III
    테레지아와 결혼했다. 1912년 12월에 아버지인 섭정 루이트폴트가 세상을 떠나자 뒤를 이어 정신병자인 사촌 오토 1세의 섭정이 되었다. 1913년 11월 5일 루트비히는 오토가 아직 살아 있는데도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 새로운 왕은 주로 농업과 수송을 개선하는 일에 관심을 쏟았으나 예로부터 예술을 후원한...
    출생 :
    1845. 1. 7, 독일 뮌헨
    사망 :
    1921. 10. 18, 헝가리 샨바르
    국적 :
    독일, 바이에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피아노 소나타 31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Piano Sonata No.31 in A Major Op.110
    누구에게도 헌정되지 않은 작품 이 작품은 바로 앞선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 30번〉처럼, 대작으로 꼽히는 〈미사 솔렘니스〉를 쓰는 동안 작곡되었다. 즉 베토벤이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힘든 가운데에서도 오히려 한층 깊은 창작력을 발휘하던 시기인 것이다. 이 작품의 원고에는 완성일이 1821년 12월 25...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독주곡 > 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21년 / 1822년(마지막 악장 수정)
    작곡가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출판 :
    1822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1건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볼츠만
쾨니히 루트비히 둔켈
루트비히 울란트
루트비히 티크
루트비히 2세
크리스타 루트비히(Christa Ludwig)
파울 요한 루트비히 폰 하이제
바바리아의 루트비히 2세
바바리아의 루트비히 2세
쾨니히 루트비히 둔켈(König Ludwig Dunkel)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
루트비히가 성장했던 호엔슈방가우성
바이에른의 왕 루트비히 2세
‘로엔그린 왕’으로 묘사된 루트비히 2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