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호섬 아들딸섬관찰된 해안무척추동물은 우점군락인 굵은줄격판담치 · 거북손 · 군부 등 26종 ㆍ주요 육상동물 : 미관찰 ㆍ주요 조류 · 곤충 : 관찰된 조류는 괭이갈매기 · 동박새 등 2종 ㆍ주요 식생 · 식물 : 정상부 중심으로 일부 사면에 곰솔군락이 분포. 관찰된 식물은 돈나무 · 떡갈나무 · 용가시나무 · 참억새 · 해국...
- 면적 :
- 2,024m 2
- 좌표 :
- 35° 1′ 33.46″ N, 128° 58′ 14.93″ E
- 지번 :
- 다대동 1492
- 소유현황 :
- 국유지(국토해양부)
- 육지와의 거리 :
- 약 0.80km
-
송도육상동물은 없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왜가리 5개체, 중대백로 1개체, 흰뺨검둥오리 1개체, 바다직박구리 1개체, 노랑발도요 1개체, 직박구리 2개체, 동박새 2개체, 방울새 3개체, 붉은머리오목눈이 9개체, 섬휘파람새 1개체, 꼬마물떼새 2개체가 관찰됨. ㆍ주요 식생 · 식물 : 식생은 곰솔군락이 전체적으로 우점...
- 면적 :
- 20,727m 2
- 좌표 :
- 34° 21′ 43.7″ N, 127° 02′ 56.4″ E
- 해도번호 :
- 232
- 지번 :
- 금일읍 척치리 산221-1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완도읍 29.3km, 인근 평일도 거리 0.1km
-
중죽도 가운데댓섬, 中竹島해안무척추동물은 우점군락인 군부 · 굴 · 거북손 · 조무래기따개비 등 24종 ㆍ주요 육상동물 : 미관찰 ㆍ주요 조류 · 곤충 : 관찰된 조류는 괭이갈매기 · 동박새 등 3종. 육상곤충류는 쌕새기(고유종) 등 31종 ㆍ주요 식생 · 식물 : 섬 정상부와 능선에 곰솔, 북사면에 소나무군락이 분포하고 동사면에는 칡군락...
- 면적 :
- 83,207m 2
- 좌표 :
- 35° 0′ 46.60″ N, 128° 45′ 56.33″ E
- 지번 :
- 천성동 산 267외 5필지
- 소유현황 :
- 국유지(국방부) / 공유지(부산광역시청)
- 육지와의 거리 :
- 약 7.30km
-
동백 산다목, 冬柏나무로서 다른 꽃들이 다지고 난 추운 계절에 홀로 피어 사랑을 듬뿍 받는 꽃이다. 겨울에는 수분을 도와 줄 곤충이 없어 향기 보다는 강한 꽃의 색으로 동박새를 불러들여 꽃가루 받이를 한다. 주로 섬에 많은데 동으로는 울릉도, 서로는 대청도까지 올라간다. 육지에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춘장대 것이...
- 분류 :
- 차나무과
- 꽃색 :
- 붉은색, 흰색
- 학명 :
- Camellia japonica L.
- 개화기 :
- 1월~4월
-
식물의 열매 맺기를 도와주는 동물꽃을 좋아합니다. 그 외 다른 동물들의 도움들 기타동물로는 꽃무지에 의한 가루받이와 개미류, 나방류가 가루받이를 도와주기도 합니다. 아주 특별한 것은 동박새와 작은 벌새와 같이 조류이면서 꿀을 좋아하는 새들도 있어서 이들에 의해 열매가 맺는 조매화도 있습니다. 꽃이 필 때 쯤 물고기 산란기와 맞물려서...
-
동백나무 홍다화(紅茶花), 冬栢나무털이 없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매끄러우며 작은 가지는 갈색이다. 유사종으로 꽃잎이 수평으로 활짝 퍼지는 것을 뜰동백이라 한다. 꽃에 꿀이 많아 동박새가 날아와서 꿀을 빨아 먹는 사이에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조매화(鳥媒花)이다. 관상용·공업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씨에서 짜낸 동백 기름...
- 분류 :
- 상록 활엽 교목
- 학명 :
- Camellia japonica
- 분포지역 :
-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섬 지방
- 자생지역 :
- 산지, 해안, 마을 부근
- 번식 :
- 열매·분근·꺾꽂이·접목
- 약효 부위 :
- 잎·꽃·열매
- 생약명 :
- 산채(山菜)
- 키 :
- 7~10m
- 과 :
- 차나뭇과
- 채취기간 :
- 3월(잎·꽃), 가을(열매)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잎·꽃·열매 4~6g
- 주의사항 :
- 많이 쓰면 이롭지 않다.
- 동속약초 :
- 뜰동백·애기동백·흰동백·섬동백
-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높은 고산지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곤충류 와 곤충의 유충을 주로 먹는다. 행동습성: 산림에서 주로 혼자 생활한다. 직접 둥지를 만들지 않고 숲새, 동박새, 촉새,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맡겨서 알 품기와 새끼 돌보기를 시킨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 하순이다. 알은 흰색 바탕에 갈색의 작은 얼룩점이 있으며...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두견이목(Cuculiformes) > 두견이과(Cuculidae)
- 학명 :
- Cuculus saturatus Blyth, 1843
- 국내분포 :
- 여름철 우리나라의 산림지대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 해외분포 :
- 서시베리아, 캄차카, 사할린, 오호츠크해 연안, 중국 동부와 남부, 대만, 말레이반도, 보르네오 북부지역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지역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여름철새
-
식물의 수정과 열매잘 날리도록 발달되어 있으며 꽃가루의 양도 많습니다. 소나무의 꽃가루에는 공기주머니가 있어서 바람에 매우 잘 날아갑니다. 조매화와 수매화 벌새나 동박새 같은 아주 작은 새에 의해서 수분이 이루어지는데 곤충이 살 수 없는 이론봄에 꽃을 피우는 동백나무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호수나 물웅덩이에 사는 식물들...
-
직박구리 찍박구리소리를 바탕으로 ‘훌우룩 빗죽새’라고도 불렀다. 직박구리의 학명은 ‘높이 난다’라는 뜻이며 실제로 다른 참새목 조류에 비해 높은 곳에서 비행한다. 동박새와 마찬가지로 동백꽃이 피는 봄에는 직박구리가 부리에 노란 꽃가루를 묻히고 나뭇가지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날고 있는 곤충을 쫒아...
- 시대 :
- 현대
- 분류 :
-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직박구리과
- 서식지 :
- 전국
- 출산시기 :
- 4∼6월
- 성격 :
- 동물, 새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날개 117.5∼136.5㎜, 부리 21∼24.6㎜, 부척 20∼27㎜
- 학명 :
- Microscelis amaurotis
- 분야 :
- 과학/동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양도출현, 연체동물 5종, 절지동물 3종 출현. - 해조류는 총 1종으로 녹조류 1종 출현, 구멍갈파래 우점.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는 송이도에 서식하는 동박새, 박새, 방울새, 직박구리 등 조류의 이용이 예상됨. - 송이도의 산 정상부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송이도의 조류상에 포함될 것이라 판단됨. - 관찰된 곤충...
- 면적 :
- 3,769m 2
- 좌표 :
- 35° 16′ 53.4″ N, 126° 08′ 23.4″ E
- 지번 :
- 낙월면 송이리 산114외1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0.00km
-
새와 함께하는 삶 우리 함께해요설치한 후 약간 멀리 떨어진 곳에서 지켜보면 어느 샌가 새들이 몰려와 배를 든든히 채우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답니다. 새에 따라 주는 먹이가 달라요 동박새 같은 경우는 꿀같이 달콤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설탕물을 종지그릇에 넣어 밖에 놔두면 어디선가 나타나 맛있게 먹고 가기도 해요. 모이통을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