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하군읍지 交河郡邑誌
    풍속(風俗)·능침(陵寢)·단(壇)·묘(墓)·공해(公廨)·제언(堤堰)·창고(倉庫)·물산(物産)·교량(橋梁)·역원(驛院)·목장(牧場)·관애(關阨)·봉수(烽燧)·누정제영(樓亭題詠)·사찰(寺刹)·고적(古蹟)·진보(鎭堡)·인물(人物)·한전(旱田)·수전(水田)·진공(進貢)·조적(糶糴)·전세(田稅)·대동(大同)·균세(均稅...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899년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개성 유수영 문루 유수영문루, 開城 留守營 門樓
    개설 개성유수영문루는 조선시대에 개성 유수영의 정문으로 세운 누정으로 ‘유수영문루’라고도 한다. 북한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보존급 제522호로 지정하고 있다. 역사적 변천 1394년 한양(서울)으로 도읍을 옮긴 조선 왕조에서 고려 수도였던 개경을 개성으로 고쳐 부르게 하고 가장 높은 지방 행정 단위였던 유후사...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괘궁정 掛弓亭
    내용 조선시대의 누정으로 정면 3칸(9.45m), 측면 2칸(6.1m)의 익공식(翼工式) 합각지붕건물이다. 둘레에는 10개의 긴 기둥을 세워 1·2층 기둥을 겸하게 하였고, 가운데는 기둥을 세우지 않고 앞면 가운데를 시원하게 터놓았는데, 이것은 북한 누정건물에서 흔히 쓰던 기법 중의 하나이다. 두공(枓供)은 간소한 초익공...
    시대 :
    조선
    문화재 지정 :
    북한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499호
    건립시기 :
    1631년/1937년
    성격 :
    누정
    유형 :
    유적
    크기 :
    정면 3칸(9.45m), 측면 2칸(6.1m)
    소재지 :
    양강도 혜산시 혜산동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압록강의 문화유적
    세검정(북한 사적 제73호)·괘궁정(북한 보물 제52호) 등이 있다.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에 있는 통군정은 고려 전기에 처음 세우고 조선시대에 다시 지은 누정으로 의주읍성에서 제일 높은 압록강 기슭 삼각산 봉우리에 위치한다. 세검정은 자강도 만포시 만포읍 압록강 기슭 절벽에 있다. 일명 복호정이라고도 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제주읍지 濟州邑誌
    邑名)·성씨(姓氏)·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山川)·교량(橋梁)·토산(土産)·전결(田結)·성곽(城郭)·방호소(防護所)·수전소(水戰所)·궁실(宮室)·누정(樓亭)·창고(倉庫)·학교(學校)·향약(鄕約)·사묘(祠廟)·장관(將官)·과원(果園)·목양(牧養)·의약(醫藥)·공헌(貢獻)·고적(古蹟)·명환(名宦)·인물...
    시대 :
    근대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899년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김포군 읍지급 지도성책 金浦郡邑誌及地圖成冊
    내용 1책. 채색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책머리에 수록된 지도에는 면(面)과 도로, 교량, 산천, 절, 누정, 고개, 봉수, 도서, 아사(衙舍), 향교, 제언 등이 그려져 있어 김포 전역을 일목요연하게 조망할 수 있으나 그다지 정교하지는 않다.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 : 八面四十三里戶口付), 도로(道路), 건치연혁(建置沿革...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899년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탑골공원 팔각정
    탑골공원 팔각정은 종로2가 탑골공원에 있는 누정으로 1989년 9월 19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종 34년(1897) 도지부 고문인 영국인 브라운의 건의에 따라 탑골공원을 조성할 때 함께 건립하였다. 탑골공원은 서울 최초의 근대식 공원이며, 팔각정은 1902년 고종 즉위 40년을 기념하는 대대적인 행사를...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 (종로2가)
    문화재 지정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3호(1989.09.11 지정)
  • 평해군읍지 강원도평해군읍지(江原道平海郡邑誌), 平海郡邑誌
    진보(鎭堡)·군액(軍額)·학교(學校)·단묘(壇廟)·봉수(烽燧)·공해(公廨)·사찰(寺刹)·역원(驛院)·읍장(邑場)·교량(橋梁)·도서(島嶼)·제언(堤堰)·누정(樓亭)·진공(進貢)·고적(古蹟)·봉름(俸廩)·인물(人物)·신장정(新章程)·군선생(郡先生) 등으로 되어 있다. 학교조에는 『관동읍지』와는 달리 명계서원...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태봉각 인조탄강구기비, 泰峯閣
    합각지붕이다. 특징 태봉각은 비각 건물로서는 규모가 크며 비각 건물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폐쇄적 성격과 분위기를 나타내지 않고 4면이 개방되어 누정 건축의 인상을 주는 특징을 보이는 건물이다. 또한 균형이 바른 아담한 건물로서 네 귀의 추녀를 길게 뽑아 위로 들어 활개를 펼치고 가볍게 앉은 듯한 모습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성천객사 成川客舍
    널마루를 깔았다. 상 · 하층 모두 벽체 없이 개방되었으며, 상층에는 계자각(鷄子脚) 난간을 둘렀다. 강선루는 성천객사의 누정으로서 평면이 ‘┣’자형으로 생긴 중층건물이다. 누정은 동쪽면 4칸, 서쪽면 5칸, 남쪽면과 북쪽면이 7칸으로 되어 있었다. 강선루는 아래로 비류강 맑은 물이 흐르고 맞은편 흘골산의...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완산지 완산읍지, 完山誌
    대동(大同)·균세(均稅)·면세(免稅)], 창고(倉庫), 조적(糶糴), 군액(軍額), 군기(軍器), 묘전(廟殿), 단사(壇祠), 학교(學校), 성지(城池), 공해(公廨), 누정(樓亭), 관방(關防), 역원(驛院), 총묘(塚墓), 불우(佛宇), 교량(橋梁), 제언(堤堰), 장시(場市), 봉름(俸廩), 요역(徭役), 노비(奴婢), 고적(古蹟), 고사...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미상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상·하2권 1책(92장)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소유정가 小有亭歌
    알 수 있다. 내용 노계(蘆溪) 박인로(1561~1642)가 1617년경에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와 함께 팔공산과 금호강을 끼고 있는 소유정(小有亭)이라는 누정에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 사대부의 모습을 표현한 자연가사이다. 서사(15행)인 제1단락(금호강琴湖江 ᄂᆞ린 물이∼계세봉繼世峯이 되얏고야)에서는 소유정...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박인로(朴仁老)
    창작/발표시기 :
    1617년
    성격 :
    자연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소장/전승 :
    계명대학교 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서울 경복궁 향원정 좌측 전경
서울 경복궁 경회루 정측면
영남루(보물 제147호)
한벽루(보물 제528호)
평양 부벽루 정면
밀양 영남루 전경
남원 광한루
창덕궁 부용정
광한루 전경
부용정
촉석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