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릉농악 Gangneung nongak
    문화재 정보 강릉농악(江陵農樂)은 태백산맥 동쪽 지역인 영동 농악의 대표 격으로 1985년 12월 1일에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된 농악을 말한다. 강릉농악은 ‘농사풀이 농악’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농경 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농악은 일 년 내내 다양한...
    도서 위키백과
  • 개천예술제 開天藝術祭
    진주지부 등 여러 사회문화단체들이 주관한다. 순수 예술행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문화행사, 그림·사진 등 각종 전시행사, 시낭송회 등 문학모임과 함께 농악경연대회, 전국 궁도대회, 그네뛰기대회, 장사 씨름대회 등의 민속경연이 베풀어진다. 특히 유등놀이와 진주 소싸움, 진주농악과 팔검무, 줄다리기 등이 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김용현 金龍泫
    개설 국가무형유산 강릉농악 전(前) 예능보유자. 생애 1923년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진리 하평 출생. 하평에는 역사가 깊은 농악대가 있었는데, 김용현이 15세 되던 해에 이 마을을 상쇠였던 문덕룡이 그를 상모잽이로 입단시켰다. 상법고가 될 때 쯤에 문덕룡이 만주로 떠나고 그 다음으로 박용신이 상쇠를 쳤다...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고깔
    '곳'은 첨각, '갈'은 관모를 말한다. 절의 상좌들이나 무당·풍물꾼·나장(죄인에게 매질을 하는 일이나, 귀양가는 죄인을 압송하는 일을 맡던 하인)·급창(수령의 명령을 간접으로 받아 큰 소리로 전달하는 일을 맡던 사내종) 등의 하급관리들도 썼다. 풍물굿에서는 흔히 겹고깔이라 해서 겹으로 만들어 쓴다. 풍물패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세마치장단 ─長短
    望思臺) 찾아가는’ 대목과 「적벽가(赤壁歌)」의 ‘옳더니라 옳더니라’ 대목이 대표적인 예이다. 판소리에서 이 장단을 쓰는 곡은 꿋꿋한 느낌을 준다. 농악에서는 징을 세 번 치는 자진삼채가락을 말한다. 3소박 좀 빠른 속도의 4박인 8분의 12박자의 장단으로 자진모리장단과도 같다. 두레굿이나 마을굿과 같은 소박...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영기 令旗
    길이 2m 정도의 장대인데, 이 깃대의 위에는 삼지창의 창날을 꽂고 창날 밑에는 빨간색의 상모를 달며, 상모를 달지 않는 수도 있다. 영기는 한 농악팀에 두개 있다. 농악을 정식 연희할 때에는 대농기를 앞세우고 그뒤에 영기 두개가 따르게 마련이다. 그리고 농악 연희장에서는 대농기의 양옆으로 세워둔다. 모를 심을...
    시대 :
    근대
    성격 :
    무구, 기(旗)
    유형 :
    유물
    크기 :
    약 60∼70㎝의 정방형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육군박물관
  • 자진모리장단 덩더꿍이, ─長短
    휘모리라 부르기도 한다. 판소리에서는 늦은자진모리와 자진자진모리가 주로 쓰이며, 산조에서는 늦은자진모리와 자진자진모리가 구별되어 쓰이기도 한다. 농악에서는 덩더꿍이 또는 삼채굿이라 하며, 늦은자진모리는 긴삼채, 자진자진모리는 자진삼채 또는 된삼채라 부른다. 무가에서는 덩더꿍이라 부르며, 자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평택농악 Pyeongtaek nongak
    문화재 정보 평택농악(平澤農樂)은 지역분류상 웃다리 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평택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지금은 법고 김용래(金龍來)를 중심으로 농악이 행해지고 있다. 다른지역과 마찬가지로 웃다리 지역에도 마을마다 풍물이 성행...
    도서 위키백과
  • 이리농악
    문화재 정보 이리농악(裡里農樂)은 대한민국의 지역분류상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되었다. 전라북도 익산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현 이리농악단의 역사는 김형순(金炯淳)이 1952년에 부안에서부터 이주해온 뒤 풍물계를 조직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이후 김제...
    도서 위키백과
  • 진주삼천포농악
    문화재 정보 진주삼천포농악(晋州三千浦農樂)은 지역분류상 대한민국 영남 농악에 속하는 농악으로, 1966년 6월 29일 제11호 농악12차로 처음 지정되었고, 이후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전역에 전해져 내려오는 농악으로 진주삼천포농악보존회가 그 맥을 잇고 있다. 특히 농악은...
    도서 위키백과
  • 김천금릉빗내농악
    빗내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이다. 경상북도 내륙지역 농악의 성격과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김천금릉빗내농악은 양손으로 치는 대(大)북놀음이 웅장하고, 판굿(영풍굿, 영산다드래기)에서 드러나는 군사진(軍事陣) 굿이 두드러진다.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제8호 금릉빗내농악으로 1984년 12월 29일 지정되었으나...
    도서 위키백과
  • 담양 죽산농악
    문화재 정보 담양 죽산농악은 전라남도 담양군 일원에서 행해지는 농악이다. 2005년 6월 13일 담양군의 향토문화유산(무형) 제1호 담양 죽산매구로 지정되었다가, 2016년 4월 20일 담양 죽산농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담양군 공고 제2016-337호, 《담양군 향토문화유산 지정고시》, 담양군수, 2016-04-20 전통적으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2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