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느티나무 Japanese zelkova
    오래 사는 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 있는 수령이 천 년 넘는 나무 60여 그루 중 25그루가 느티나무이다. 목재는 잘 썩지 않으며 물에 잘 견디어 농기구의 자루나 가구를 만들거나 건축재로 쓰인다. 요즘에는 분재용 식물로도 널리 가꾸고 있다. 형태 우리나라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자라는데 흔히 부락 어귀에...
    꽃말 :
    운명
  • 태질을 당하다
    본 뜻 이삭을 떨 수 있게 만든 농기구인 개상에 곡식단을 메어쳐서 떠는 것을 태질이라 한다. ‘메어꽂다’라는 뜻을 가진 ‘태질을 하다’란 말이 바로 여기서 나온 것이다. 바뀐 뜻 농기구가 발달한 지금은 이 말을 농사용어로는 거의 쓰지 않는다. 대신에 어떤 물건이나 사람을 세차게 메어치거나 집어던지는 것을...
    유형 :
    관용구
  • 대약진 운동 大躍進運動, Great Leap Forward
    먼저 공산주의적 발전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약진의 과정에서 지나치게 열성적인 당 간부들이 소형 용광로에 농기구 등의 도구들을 녹여 강철을 만드는 일마저 종종 일어나자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수많은 가축들을 도살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약진 추진과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국
  • 위대한 개간
    말한다. 11세기부터 산림이나 황무지, 소택지 등이 개간되면서 대서양 연안에 15만 헥타르의 농지가 새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농업 기술도 진보하여 철제 농기구와 동물이 끄는 쟁기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농지의 확대와 농기구의 발달로 인해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고 잉여생산물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잉여생산물이...
  • 삼한 시대의 농경 기술 三韓 時代의 農耕 技術
    [개설] 철기가 보급된 이후 철제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의 발전으로 농업 생산력이 크게 증대되었을 것이라 추정되지만, 농업 생산력의 향상을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는 거의 없다. 우리나라에서 농경은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주로 조·기장·보리·밀 등 밭작물을 재배하였다. 신석기 시대의 농기구로는...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과농소초 課農小抄
    있다. 〈수시 授時〉에서는 일반 농가에서 절후와 시기를 놓치지 않고 해야 할 기술과제를 월별로 자세히 기술하고, 〈농기 農器〉에서는 26종의 선진적 농기구를 설명하고 있다. 농업생산력을 늘리는 방법으로 분양법의 개선과 수리법의 개량을 들었다. 특히 수리 조항의 설정은 우리나라 농서로서는 처음 있는 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왕정농서 王禎農書, Wang Chen nungshu
    인력이 농업생산을 결정한다는 사상으로 일관되어 있다. ② 〈백곡보 百穀譜〉는 농작물 재배이론이다. ③ 〈농기도보 農器圖譜〉 속의 306폭 그림은 대부분 농기구 실물묘사로서 많은 농기구가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원본은 소실되었으며, 명대 초기 〈영락대전 永樂大典〉에 수록되어 있다. 나중에 전사한 각본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농무도감 農務都監
    일본정벌을 위한 준비로 고려에 둔전책(屯田策)을 실시하고, 이듬해인 1271년에는 농무별감을 여러 도에 나누어 보냈다. 이 농무별감의 사명은 농우(農牛)와 농기구를 원나라의 둔전에 공급하는 것이었다. 고려에서는 전통적으로 권농사(勸農使)를 파견하여 권농의 임무를 수행하게 하였고, 1243년(고종 30)에는 권농...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277년(충렬왕 3)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쇠낫 철겸(鐵鎌), sickle
    개설 철판을 단조작업으로 가공하여 만든 후 안쪽에 날을 만들어서 풀이나 곡식, 나뭇가지 등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농기구이다. 내용 형태는 직선형으로 앞쪽은 뾰쪽하거나 둥글고 뒤쪽은 끝 부분을 짧게 ‘ㄱ자’형으로 자루에 끼울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안쪽은 갈아서 날로 쓰고, 슴베 끝을 자루에 끼운 후 쐐기 등을...
    시대 :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농기구
    유형 :
    유물
    재질 :
    제작시기 :
    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농무목축시험장 農務牧畜試驗場
    植)이 미국시찰에 대한 보고와 함께 모범농장의 설치를 건의하자, 고종은 망우리 일대의 적전(籍田)을 주는 등 적극적인 뒷받침을 했다. 1884년초 주문한 농기구가 도착, 농업시험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당시 들여온 농기구는 할화기(割禾器:벼 베는 기계)·타화기(打禾器:벼 터는 기계)·재식기(栽植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농업박물관 農業搏物館, The Museum of Agriculture
    성격을 부각시키고 있다. 전시실은 7개 실로, 1층에 선사시대실·삼국시대실·고려 조선시대실(재래농업 유물실) 등 3개 실, 2층에 농가월령실·협동유적실·농기구분포실 등 3개 실, 3층에 현대농업실 1개 실이 있다. 소장 진열품은 1,611점으로 전시실 별로 보면, 선사시대실에는 농업사 연표, 신석기시대 농업유물...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16 , 서울특별시 중구 충정로1가 75-1
    설립 :
    1987년 11월 18일
    성격 :
    박물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아산 내이랑마을
    이름은 [나의 이랑]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주말농장을 운영하고 있어 외지인도 마을 내 텃밭을 분양받아 일굴 수 있으며, 체험관에 농기구전시장이 있어 전통 농기구 및 생활 도구 1,000여 점을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오디 따기, 방울토마토 따기, 사과 따기, 옥수수 따기, 정월대보름 달맞이 축제...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신봉길 248
    문화재 지정 :
    정보화마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7건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농기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