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신 돈암(遯菴), 閔伸
    정창손(鄭昌孫)·하위지(河緯地)·양성지(梁誠之) 등과 함께 공법(貢法)을 논의하였다. 문종 때 병조판서를 지내고 1453년(단종 1) 이조판서가 되었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어린 임금 단종을 보호하기 위하여 애쓰다가, 왕위를 엿보고 있던 수양대군(首陽大君) 일파의 적이 되었다. 수양대군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53년(단종 1)
    경력 :
    병조판서, 이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정난공신 靖難功臣
    단종 1) 단종(端宗)의 숙부인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측근인 권람(權擥) · 한명회(韓明澮) 등과 모의하여 국왕을 보좌하던 대신(大臣)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종친 안평대군(安平大君) 등을 제거한 사건이다. 수양대군은 황보인 · 김종서 등이 자신의 아우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하여 먼저 반역을 도모...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완규 趙完珪
    漢陽). 할아버지는 조영무(趙英茂)이며, 아버지는 절제사 조전(趙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타고난 재질이 탁월하여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이후 김종서(金宗瑞) 등과 더불어 국사를 의논하였으며, 안평대군(安平大君)과도 가까이 지냈다. 1453년(단종 1) 세조가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제거할 때 그...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54년(단종 2)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양(漢陽)
  • 안국동의 두 왕비와 재동의 백송
    조선의 국모를 두 명이나 배출했으니 역사적인 곳이라 하겠다. 감고당길 위로는 재동(齋洞)이 나온다. 1453년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계유정란을 일으켜 김종서, 황보인 등을 무참히 살해할 당시 이 동네는 피비린내가 진동했다고 한다. 이곳에는 천연기념물 제8호로 지정된 수령 600년이 된 백송이 서 있다. 높이 17미터...
    관련 장소 :
    북촌
  • 최윤덕 실력과 덕으로 4군을 개척하다
    있게 해 변방의 안정을 기하고자 하니, 나의 지극한 뜻을 이해하라."라고 했다. 또한 세종은 최윤덕을 정승 감으로 눈여겨봤다. 그것은 1432년(세종 14)에 김종서와 나눈 대화에서 간파할 수 있다. 세종은 당시 김종서에게 최윤덕을 아는가 물었다. 김종서는 대답했다. "사람됨이 비록 학문의 실력은 없으나 마음가짐이...
    시대 :
    조선
    출생 :
    1376년(우왕 2)
    사망 :
    1445년(세종 27)
    본관 :
    통천(通川)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고려사 조선 개국의 정당성이 부각된 사서
    《고려사》 139권이 완성되었습니다 1451년 8월 25일은 김종서(金宗瑞, 1390~1453)·정인지(鄭麟趾, 1396~1478) 같은 학자가 세종의 명을 받아 만든 《고려사》 139권이 완성된 날입니다. 고려의 역사를 기록하려는 맨 처음 시도는 태조가 즉위 직후 명을 내려 정도전·정총 등이 1396년에 완성한 《고려국사》입니다...
    날짜 :
    1451년 08월 25일
  • 박심문 신숙(愼叔), 朴審問
    및 활동사항 학행으로 천거되어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이 되었고, 1436년(세종 18)에 친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기주관(記注官)으로 있다가 함길도절도사 김종서(金宗瑞)가 북방에 육진을 개척할 때 그 종사관(從事官)이 되었으며, 야인(野人)에 대한 안무책(安撫策)으로 남쪽지방의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할 것을 절도사...
    시대 :
    조선
    출생 :
    1408년(태종 8)
    사망 :
    1456년(세조 2)
    경력 :
    종사관, 평안도판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밀양(密陽)
  • 이징옥의 난 李澄玉─亂
    영북진절제사·판경흥도호부사·함길도 도절제사 등 함경도에서 보내면서 4군과 6진의 개척에 공을 남겼다. 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계유정란을 일으켜 김종서(金宗瑞)·황보 인(皇甫仁) 등을 죽이고, 이어 이징옥을 김종서의 일당으로 몰아 파면하고 은밀히 그 후임으로 박호문(朴好問)을 보냈다. 이징옥은 중앙...
    시대 :
    조선
    발생 :
    1453년(단종 1) 10월
    성격 :
    반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관련 인물/단체 :
    이징옥
  • 안평대군 安平大君
    1430년에는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함경도에 육진(六鎭)이 신설되자 1438년 왕자들과 함께 야인을 토벌하였다. 고명대신(顧命大臣)이었던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문신들과 제휴, 수양대군(首陽大君) 측의 무신 세력과 맞서 인사 행정의 하나인 황표정사(黃票政事)에 관여하는 등 점차 조정의 배후 실력자로...
    시대 :
    조선
    출생 :
    1418년
    사망 :
    1453년
    유형 :
    인물
    직업 :
    왕자, 서예가
    대표작 :
    몽유도원도발문, 세종대왕영릉신도비, 청천부원군심온묘표, 임영대군묘표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본관 :
    전주
  • 이양 충민(忠愍), 李穰
    그 해 10월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모신(謀臣) 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 등과 함께 음모를 꾸며, 문종의 유명(遺命)을 받고 어린 단종을 보좌하던 우의정 김종서(金宗瑞)를 살해할 때 수양대군의 군사에 의해서 당시 영의정이던 황보인(皇甫仁), 이조판서 조극관(趙克寬) 등과 함께 추살(椎殺)되었다. 수양대군은 이...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53년(단종 1)
    경력 :
    중추원부사, 동지돈녕부사, 우찬성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
  • 단종복위운동 端宗復位運動
    죽고 12세의 어린 왕세자가 즉위하자, 이 때부터 조정 안에는 불안한 공기가 감돌게 되었다. 어린 왕의 보필을 맡은 이는 영의정 황보 인(皇甫仁), 좌의정 김종서(金宗瑞) 등 문종의 고명(顧命)을 받은 원로대신과 성삼문 · 박팽년 등 집현전학사 출신의 소장문신이었다. 하지만 원로대신들은 이미 칠순 고령이어서...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정간일고 貞簡逸稿
    시조로부터 저자까지의 계보를 밝힌 것이다. 본전·충신전·행장·시장은 모두 저자에 관한 글들로, 세조가 즉위한 뒤 뜻을 굽히지 않고 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교살(絞殺)당하기까지의 일이 기록되어 있다. 정단은 세조 때 죽음을 당한 안평대군 용(安平大君瑢)과 황보 인·김종서...
    시대 :
    조선
    저작자 :
    허후
    창작/발표시기 :
    1890년(고종 27)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허종두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金宗瑞)
김종서 장군의 묘
북관유적도첩-야연사준도
〈야연사준도〉
김종서 생가터
김종서 유묵
김종서유허지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김종서 vs 세조
김종서장군묘
김종서장군묘
김종서 장군의 묘역
비해당소상팔경시첩 김종서 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