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헤테로고리 화합물의 화학반응전이상태(cyclic transition state)를 거친다. 방향성은 6개의 π-전자가 고리상에서 결합되어 고리 화합물이 매우 안정하게 된다(→ 방향족 화합물, 파이 궤도함수). 피리딘은 질소의 고립전자쌍이 방향성 6전자계에 참여하지 않지만, 피롤의 경우에는 참여한다. 산소와 황도 피리딘형(─N=, -O+=, -S+=)과 피롤...
-
입자일까? 파동일까?슈뢰딩거가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은 바로 이것이었다. 그는 전자가 정해진 궤도를 돈다는 가정 대신 입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가설을 세운다...있을 곳을 알아낼 수 있다(10~20%의 확률로 다른 곳에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결국 ‘파동함수’를 이용해 알 수 있는 것은 파동-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
-
묄러-플레셋 섭동 이론 Møller–Plesset perturbation theory, ..i\right)\Phi_0. N은 분자가 가지고 있는 전자 계수이고, H는 전자의 해밀토니안이다. f(1)는 단일 전자의 포크 연산자이고, \epsilon_i는 전자 두 개를 채운 궤도함수\Phi_i의 에너지이다. 수정된 포크 연산자는 \hat{H}_{0} \equiv F+\langle\Phi_0| H-F \Phi_0 \rangle 섭동이 없는 경우(0차)의 연산자이다...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