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UAE 군사협력협정 한-UAE 군사협력협정받아야 하기 때문에 한국과의 「상호방위조약」에 자동개입 조항이 포함될 경우 상원의 비준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한국을 설득했다. 결국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자동개입조항 없이 체결되었다. 2018년 1월, 나경원 의원은 "그 군사협정을 하지 않았으면 사실상 우리가 프랑스를 이기고 원전을 수주...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韓國部署薩德反導彈系統事件가졌고 “사드 배치 결정은 우리 한국과 주한미군의 안전을 위해서 한·미동맹에 근거해 한국과 미국이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뉴스 인용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하면 대한민국과 미국은 서로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웹 인용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한국을 보호하는 조약이 아니라 한국과...도서 위키백과
-
주한 미군 駐韓 美軍미국은 이승만(李承晩) 정부의 휴전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 1953년 10월 1일 미군의 한국 주둔과 평화 안전의 유지와 집단적 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에 근거하여 미군은 6·25 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에 합법적으로 주둔할 수 있게 되었다. [6·25 전쟁 이후] 6·25...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1953년 대한민국 1953 in South Korea군사정전위원회 본부 설치. 8월 5일 - 판문점에서 남북 포로 교환 시작. 8월 8일 - 변영태 외무장관과 존 포레스트 덜레스 미 국무장관, 청와대서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8월 15일 - 한국전쟁으로 부산으로 옮겼던 대한민국 정부가 서울로 돌아옴. 9월 2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공군 노금석 대위...도서 위키백과
-
경제협력 經濟協力때문이다. 그 뒤 영국 · 이탈리아 · 러시아 등을 비롯한 나라들과 계속 통상조약이 체결되었으나, 1910년 일본의 국권침탈로 다시 국제경제협력은 일본의 강압에 그 기반을 송두리째 상실하였다. 광복 이후 1948년 12월 ‘한미간의 원조협정’이 이루어져 구제원조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1952년 5월 미국과 ‘경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