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셜 Alfred Marshall
    놓고 심각하게 분열된 가운데에서도 마셜은 저술활동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고전학파의 생산비 원리에 윌리엄 제번스 및 오스트리아학파가 제안한 한계효용 원리를 조화시키면서 경제분석 요인에 시간개념을 포함시켰다. 그 공로로 마셜은 영국의 위대한 경제학자들인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J. S...
    출생 :
    1842. 7. 26, 런던
    사망 :
    1924. 7. 13,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케임브리지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일반균형이론 一般均衡理論, general equilibrium theory
    완전경쟁시장의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일반균형이론은 2개의 이론적 지주로 성립되어 있는데 그 하나인 주체적 균형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측정할 수 있는 한계효용계획을 갖고 있다는 가정하에, 각 개별주체의 합리적 행동을 통해 전상품의 수요함수 및 공급함수를 도출해 냄으로써 개개의 소비자와 생산자가 주어진 시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나소 윌리엄 시니어 Nassau William Senior
    자본가의 저축과 자본축적분을 생산비용의 일부로 간주해야 한다는 견해를 도입했는데, 이는 훗날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 그는 또 한계효용체감의 개념을 도입해 가치이론을 전개하고 지대의 개념을 일반화시켰으며, 이자의 원천에 대해 제욕설(制欲說)이라는 유력한 이론을 발전시키고, 맬서스...
    출생 :
    1790. 9. 26, 잉글랜드 버크셔 콤턴보챰프
    사망 :
    1864. 6. 4,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경제
  • 대체재 경쟁재, 代替財
    홍차와 커피, 마가린과 버터, 연필과 샤프펜슬, 쌀과 빵 등과 같이 서로 대용될 수 있는 재화로 경쟁재라고도 한다. 즉 어느 한쪽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한쪽 재화의 수요는 감소한다. X재와 Y재가 있을 때 Y재가 불변한 상태에서 X재의 소비량이 증가한 경우, Y재의 한계효용(限界效用)이 감소하면 대체재가 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비저 Friedrich von Wieser
    사회경제의 기초 Grundriss der Sozialökonomik〉(1914)이다. 〈자연가치〉에서 그는 멩거의 주관적 가치론에 따른 접근법을 적용하고 기회비용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오스트리아 학파의 비용이론을 발전시켰다. 〈사회경제의 기초〉에서 다룬 한계효용의 원리는 이후 보다 정교한 경제관계를 분석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출생 :
    1851. 7. 10, 오스트리아 빈
    사망 :
    1926. 7. 23, 오스트리아 장크트길겐
    국적 :
    오스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카셀 (Karl) Gustav Cassel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웁살라대학교와 스톡홀름대학교에서 공부했고, 1904~33년 스톡홀름대학교에서 경제학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영국과 오스트리아 경제학자들의 한계효용가치이론을 배격했다. 국제상업회의소 회의에 스웨덴 대표로 몇 차례 파견되었으며, 1933년 런던에서 열린 세계경제회의에 정부대표로 참가했다.
    출생 :
    1866. 10. 20, 스웨덴 스톡홀름
    사망 :
    1945. 1. 14, 뒤르스홀름(?)
    국적 :
    스웨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무차별 곡선 Indifference curve, 無差別曲線
    선택 또는 선호 분석에 사용되며, 소비자 이론에서는 수요와 공급을 해석하기 위해 무차별 곡선과 예산선을 같이 이용한다. 소비자의 효용이 기수적으로 측정가능하다고 생각하는 한계효용이론과는 달리, 파레토, 프란시스 이시드로 에지워스 등에 의해 20세기 초에 발전되었다. 이 이론은 개인은 언제나 선호도에 따라...
    도서 위키백과
  • 소비자선택이론 消費者選擇理論, theory of comsumer's choice
    위의 두 방정식으로부터 소비자 균형점, 즉 소비자가 주어진 소득으로부터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재화조합을 도출할 수 있다. 그 점은 바로 무차별곡선과...그런데 전자는 X, Y 두 재화의 가격비율에 음의 부호를 붙인 값이며, 후자는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MRS)에 음의 부호를 붙인 값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전시효과
    해야 국가 경제가 건강하게 돌아가는데, 이러한 전시효과 때문에 무리하게 지출하는 소비심리나 그러한 성향을 의미한다. 주변 여건에 따라서 경제주체의 한계효용이 바뀌어 버리는 상황으로, 중·하류층이 현재의 경제 시스템에서 상류층을 따라잡을 수 없음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구조를 깨려...
  • 가치의 역설 Paradox of value, 価値のパラドックス
    없다. 그는 다이아몬드와 물의 예를 들며, 전자는 희소하며 가격이 비싸지만 후자가 오히려 효용이 높다는 점이 역설적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것은 총효용의 측면에서만 파악하였기 때문이다. 가격은 한계효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총효용이 크다고 반드시 재화의 가격이 높은 것은 아니다. 가격 한계효용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경제인 Homo economicus, 経済人
    전제 혀 이식해로 견딜 수 있어 끊는 효용 함수의 개념에 의거하고, 「효용 함수를 최대로 하도록 행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라고 간주했다(한계 효용 이론의 항목도 참조). 또, 실제로는 쾌락·고통은 여러 가지 것이 있지만, 그 중에서 굳이 개인주의적인 것만을 선택·중시해(이기적), 이타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
    도서 위키백과
  •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
    ①가격 변화시 구입 가능한 상품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소득효과) ②가격 변화시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여 소비하기 때문(대체효과) ③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추가적인 만족의 크기가 줄어듦(한계효용 체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한계효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