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람세스 2세, 정확한 전투 기록이 남아있는 세계 최초의 군사보고서 제왕 미스터리Hattushili III) 간에 맺어진 평화협정인데 이 협정에 관한 내용은 이집트의 카르낙 신전 벽에 새겨져 있으므로 잘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이집트와는 2천 킬로미터나 떨어진 곳에서 유명한 외교 문서가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히타이트 왕 하투실리 3세가 람세스 2세와 교환한 동맹 조약의 정본이었다(뉴욕에 있는 유엔...
-
북극곰은 뛰어난 수영선수8~23kg의 고기를 먹는다. 그 왕성한 식욕을 채우기 위해서는 멀리까지 사냥을 나설 수 밖에 없다. 때문에 북극곰은 하루에 적게는 74킬로미터 많게는 수 백 킬로미터를 헤엄쳐 사냥을 한다. 거대한 발로 노를 젓고 뒷발의 물갈퀴를 이용해 물을 가르면서 100m를 36초에 헤엄친다. 한번에 40km이상을 헤엄치기도 하는데...
-
히말라야 산맥을 지붕 삼은 나라있는 곳"이라고 불렀다. 동경 61도에서 97도, 북위 8도에서 37도 사이에 걸쳐 있는 인도는 북쪽의 카슈미르에서 남쪽의 칸야쿠마리까지의 거리가 대략 3천 킬로미터에 이르고 동서 간의 거리도 그와 비슷하며 총면적 420만 2천5백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사람들은 이 광활한 대륙을 인도아...
-
광개토대왕 위대한 정복자, 중흥의 제왕지역을 차지했다. 북경 언저리에 있는 유주까지 진출했다는 설도 있다. 이 시기 고구려의 영토를 두고 남한 학계에서는 40~56만 제곱킬로미터, 북한 학계에서는 56만 제곱킬로미터 정도였다고 주장한다. 오늘날 한국의 영토인 한반도의 넓이는 22만 제곱킬로미터쯤 된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이런 고구려의 역사를 자기네...
-
지구 둘레의 길이는 어떻게 구하나요?지구에는 바다도 있고, 산도 있어서 직접 걸어 다닐 수는 없잖아요. 지구는 어마어마하게 커서 자로 둘레의 길이를 잴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옛날 사람들도 지구 둘레의 길이를 재었다는데 어떻게 한 것인가요? 지구 둘레의 길이를 잰 에라토스테네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구 둘레의 길이...
- 분야 :
- 측정
- 교과단원 :
- 초등 3학년 〈시간과 길이〉, 초등 4학년 〈각도와 삼각형〉, 초등 6학년 〈비례식과 비례배분〉, 중등 2학년 〈도형의 닮음〉
-
지구의 대기는 얼마나 두꺼운가?지구의 대기는 표면에서 수백 킬로미터의 상공까지 존재하지만, 높은 고도보다 표면에서의 밀도가 훨씬 높다. 지구 대기에 있는 기체의 절반은 표면으로부터 수 킬로미터 높이 안에 존재하며, 95%의 기체는 표면 위 19km내에 존재한다.
-
지리, 지형 관련 우리말,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는 어디서 어디까지 잴까二 米千……'라는 글자가 세로쓰기로 음각되어있다. 광화문 네거리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18개 도시와의 거리를 일본식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粁(천)'은 킬로미터를 뜻하는 일본식 조어로, 1米(미터)가 1000개 모여서 1(킬로미터)이 된다. 이후 서울시에서 1997년 12월 29일 세종로 네거리 미관 광장에 도로원표를...
-
상상 그 이상의 무엇 차원의 벽을 넘어서, 공간 상상넓다. SF소설에 자주 언급되는 광년이라는 단위가 너무 헤프게 사용되어 간과할지도 모르지만, 광년의 단위는 실로 엄청난 것이다. 빛의 속도가 초속 30만 킬로미터라고 하니, 1광년은 30만X60(초)X60(분)X24(시)X365(일)=94,608,000만 킬로미터, 그러니까 뒷자리 잘라내도 약 9조 킬로미터라는 엄청난 거리다. 그런데...
-
매크로셀 macrocell이동 통신망에서 스몰셀(small cell)에 대비되는 용어로 수 킬로미터(km)에서 10여 킬로미터(km) 반경의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셀. 스몰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출력, 고용량의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다.
-
대륙붕 大陸棚적고 평탄한 것이 특징이나, 곳곳에 분지상지형(盆地狀地形)과 모래가 쌓인 사퇴지형(砂堆地形)이 나타나기도 한다. 양쯔강 하구에는 길이 수십 킬로미터, 너비 수 킬로미터의 대양쯔사퇴열(大揚子砂堆列)이 수열 형성되어 있으며, 하구에서 300㎞의 해역에 이르기까지의 수심은 30m 정도이다. 또한, 우리 나라 서해안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찰스 가오 가오쿤(高錕), Charles Kun Kao소통하고 정보를 획득하는 것 등은 모두 그의 연구 성과로 인해 가능해진 것들이다. 현재 지구의 모든 광섬유를 한 줄로 늘어뜨리면 그 길이가 10억 킬로미터 이상에 달하는데, 이는 지구를 2만 5천 바퀴 도는 거리다. 이 길이는 매시간 수천 킬로미터씩 늘어나고 있다. 1970년 가오는 몸담고 있던 미국의 ITT를 떠나...
- 출생 :
- 1933년
-
한국군 화력 무기체계소화기 장병 개개인의 기본화기 또는 2~3인이 운용하는 공용화기로 분류되는 것이 소화기이다. 소화기는 병사 자신을 보호하고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그 임무의 종결을 확인할 수 있는 최후의 무기이다. 적 인원을 사살하거나 최종돌격 시 지원사격, 그리고 저격수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우리 군은 창군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