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갈라 플라키디아 Galla Placidia, ガッラ・プラキディア
    황후 갈라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410년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시, 인질이 되어 끌려갔다가 414년에 서고트족의 왕 아타울프와 결혼했다. 이듬해 남편이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 417년 서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3세와 재혼한후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낳았다. 425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즉위하자 섭정을 하였다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Praetorian prefect, プラエフェクトゥス・プラエトリオ
    고르디아누스 3세 퀸투스 헤렌니우스 포텐스 249 – 251년 데키우스? 수케시아누스 254 – 255/260년 발레리아누스 실바누스 ?? – 260년경 갈리에누스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 260년경 갈리에누스 칼리스투스 발리스타 260 – 261년 마크리아누스, 퀴에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헤라클리아누스...
    도서 위키백과
  • 이리니 Irene of Athens, エイレーネー (東ローマ女帝)
    비정한 행위에 신이 분노하여 17일 동안 하늘이 어두워졌다고 한다. 콘스탄티누스 6세가 후계자 없이 폐위되자 이리니는 단독 통치자가 되어 제국을 통치했다...서방에서는 800년 성탄절에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레오 3세가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에게 제관을 수여하고 ‘로마의 황제’라는 칭호를 부여...
    도서 위키백과
  • 교황 요한 4세 Pope John IV, ヨハネス4世 (ローマ教皇)
    그러자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즉시 단의설 신앙고백 문서인 《에크테시스》(Ekthesis)와의 관계를 끓어 버렸다. 요한 4세는 헤라클리우스 황제의 아들 콘스탄티누스 3세 황제에게 자신이 전임자인 교황 호노리오 1세에게 사과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호노리오 1세의 정통성을 천명하였다. 그는 황제에게 호노리오 1...
    도서 위키백과
  • 호노리우스 Honorius, ホノリウス
    대군이 북이탈리아를 침공했으나 스틸리코가 피렌체와 피에솔레의 피에솔레 전투에서 이를 격퇴하고 대승을 거두었다. 뒤이어 407년 브리타니아에서 콘스탄티누스 3세를 자칭한 황제가 나타났다가 갈리아에서 살해되었다. 408년 호노리우스는 스틸리코가 알라리크와 내통하고 있다는 올림피우스의 모략으로 스틸리코를...
    도서 위키백과
  • 에클로가 Ecloga
    이는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이후에 제정된 동로마 제국 입법사업의 결정판이었다. 레오 3세는 동 법전을 전통적으로 써오던 라틴어 대신 그리스어로 발간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고 법관들도 이를 실제적인 법률교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에클로가는 계속적으로 로마 법에 기초하고 있었지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교황 실베스테르 1세 Pope Sylvester I, シルウェステル1世 (ローマ教皇)
    전설을 언급하였다. 훗날, 오토 3세와 제휴 관계였던 교황 실베스테르 2세의 이름은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되자 실베스테르 1세의 이름을 따라 명명한 것이다...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밖에도 기독교 전통이 있는 나라들에서도 보통 이 날을 ‘성 실베스테르 축일’로 부르기도 한다.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8세기...
    도서 위키백과
  • 에우도키아 마크렌보리티사 Eudokia Makrembolitissa, エウドキア・マクレン..
    때문에 그녀는 콘스탄티누스와의 서약을 깨고 1068년 1월 1일 로마누스 디오게네스와 재혼하여 로마누스가 황제가 되었다. 새 남편 로마누스는 그녀와 그녀의...쿠테타가 일어나 에우도키아는 황후의 지위에서 폐위되고 강제로 삭발되어 수도원으로 유배되었다. 1078년 미카일 7세가 니케포루스 3세에게 폐위되고...
    도서 위키백과
  • 교황 레오 9세 Pope Leo IX, レオ9世 (ローマ教皇)
    서찰에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을 언급함으로써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의 분열을 초래하였다. 브루노는 현재 프랑스 영토인 알자스 북부 에기스하임에서 위그 백작과 그의 아내 헤일위그 사이에서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귀족 집안으로, 부친 위그 백작은 콘라트 2세 황제와 사촌지간이었다. 브루노는 툴에서 공부...
    도서 위키백과
  • 산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 Archbasilica of Saint John Latera..
    사이의 중간에 해당한다. 아름다운 회랑은 13세기 초의 것이다. 팔각형의 라테라노 세례당은 대성당에서 약간 떨어져 있다. 초창기 세례당은 교황 식스토 3세의 지시로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전설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1세가 이곳에서 세례를 받고 세례당을 장식했다고 한다. (실제로는 동방에서 아리우스파 주교...
    도서 위키백과
  • 641년 641, 641年
    남부여(南扶余)의 30대 국왕(國王) 무왕(武王) 제71대 교황 세베리노 2월 11일 - 동로마 제국의 황제 헤라클리우스 5월 25일 - 동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3세 9월 - 동로마 제국의 황제 마르티나(여제) 9월 - 동로마 제국의 황제 헤라클로나스 김부식 (1145), 《삼국사기》 〈권28 백제본기 제육(百濟本紀第六...
    도서 위키백과
  • 키 로 Chi Rho, 凱樂符號
    키 로는 기원전 246년부터 기원전 222년까지 살았던 프톨레마이오스 3세가 동전을 발행할 때도 쓰였는데, 이 때는 그리스도와는 관계없이 좋다는 의미였다. 로마...역사가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피르미아누스 락탄티우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비우스 다리 전투 전날 꾼 꿈의 지시대로 병사의 방패에 키 로를 그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