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의민 李義旼, Yi Uimin난을 일으킨 효심(孝心)·사미(沙彌) 등과 내통하는 등 왕이 되기 위해 신라부흥운동을 지원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의민을 제거하기 위한 최충헌 등 정적들의 조작인 것으로 보인다. 이의민은 1196년(명종 26) 아들 이지영(李至榮)이 최충헌(崔忠獻)의 동생인 최충수(崔忠粹)의 비둘기를 뺏은 것을 계기...
- 시대 :
- 고려 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96년(명종 26)
- 경력 :
-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1190)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무신정변,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 직업 :
- 관리, 무신집권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경주
-
명종 왕호(王晧), 明宗25)에 오래 묵은 빚을 면하게 하여 민생의 괴로움을 덜어 주려 하였고, 상주에 공검대제(恭儉大堤)를 축조하여 권농에 힘쓰기도 하였다. 1196년(명종 26)에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자 이듬해 1197년(명종 27)에 최충헌에 의하여 폐위당하였다. 1170년 무신정변에 의하여 왕위에 오른 이후...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정방보 양평공(襄平公), 鄭邦輔생애 및 활동사항 최충헌(崔忠獻)이 집권한 직후인 1198년(신종 1)과 이듬해에 각각 예부시랑으로 조공사(朝貢使)가 되어 금(金)나라에 다녀왔다. 1211년(희종 7) 상장군이었던 정방보는 최충헌을 살해하려 모의한 사건에 관련된 사약(司鑰) 정윤시(鄭允時) 및 환관들을 국문하여 내시낭중(內侍郎中) 왕준명(王準明) 등...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1226년(고종 13)
- 경력 :
- 상장군, 참지정사, 평장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최충헌 모살사건, 거란유종의 침입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광유 李光裕생애 및 활동사항 1211년(희종 7) 장군으로서 무신집권자 최충헌(崔忠獻)의 명에 따라 폐위된 희종을 강화도 교동현(喬桐縣)으로 옮겼다. 희종이 유배당한 것은 내시낭중(內侍郎中) 왕준명(王濬明) 등으로 하여금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였기 때문이었다. 이광유는 교동현에서 돌아와 최충헌에게 “전왕(前王)이...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장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희종 폐위 사건, 거란유종의 침입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최성 최보, 崔珹개설 본관은 우봉(牛峰). 무신집권자 최충헌(崔忠獻)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최충헌의 둘째부인 임씨(任氏)이다. 장인은 희종(熙宗: 1181~1237, 재위 1204~1211)이며, 부인은 덕창궁주(德昌宮主)이다. 뒤에 최보로 개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최충헌의 권세에 힘입어 희종의 딸 덕창궁주에게 장가들어 종실의...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1258년(고종 45)
- 경력 :
- 영가백, 영가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우봉(牛峰)
-
이비·패좌의 난 의비·발좌의 난, 利備·孛佐의 亂했던 석성주(石成柱)의 밀고로 사전에 발각되어 반란민은 항복을 청하였다. 신라부흥에 참여한 경주 토호(土豪)들의 항복의사에도 불구하고 당시 집권자인 최충헌(崔忠獻)은 그들의 난에 고려왕조를 부인하는 정치적 색채가 있다 하여 강경한 토벌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에 김척후(金陟侯)를 초토처리병마중도사(招討...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광실 李光實재직할 때 백성들을 탄압하고 착취하여 그들이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민란을 일으켰다(안동민란). 이 때문에 장물죄(臟物罪)로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 이후 최충헌(崔忠獻)이 무신집권자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하자 최충헌의 오랜 친구였다는 이유로 장군 벼슬을 받았다. 1204년(희종 즉위년) 급사동정(給事...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장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안동민란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지순 李至純맡았던 대장군 전존걸이 자결함으로써 이의민이 저항세력과 결탁하였다는 의구심을 증폭시켰을 수 있다. 이지순과 김사미의 공모설은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 정권의 불법성을 강조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 의하여 조작된 것으로 보인다. 1196년(명종 26)에 이의민은 최충헌에 의하여 살해...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동경민란 경주민란, 東京民亂2월의 동경도적 또한 이 저항 세력의 연장으로 보인다. 1200년(신종 3) 8월 경주 이의민(李義旼) 족인(族人)과 주리(州吏)가 충돌하였다. 1196년(명종 26) 최충헌(崔忠獻)은 이의민을 제거하고 지후(祗候) 한광연(韓光衍)을 경주에 보내 이의민의 삼족(三族)을 도륙하고, 여러 주(州)에 사자를 보내 그 노예와 추종자들...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사건/사회운동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 21대 왕, 희종 영, 熙宗정화태후 김씨이고 비(妃)는 성평왕후 임씨이다. 1200년(신종 3) 태자로 책봉되었고, 1204년 신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다. 1205년(희종 1) 즉위에 공이 있었던 최충헌(崔忠獻)을 문하시중 진강군개국후에 봉했으며, 이듬해 다시 진강후에 봉하고 흥녕부를 세우게 했다. 그러나 이후 최충헌의 횡포가 심해지자 1211...
- 출생 :
- 1181(명종 11)
- 사망 :
- 1237(고종 24)
- 국적 :
- 고려,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204년∼1211년
- 시호 :
-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
- 능묘 :
- 석릉(碩陵)
-
신종 지화(至華), 神宗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이고, 비(妃)는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의 딸인 선정태후(宣靖太后)이다. 평량공(平凉公)에 봉해진 뒤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여 대관전(大觀殿)에서 즉위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98년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을 두었고, 관서...
- 시대 :
- 고려
- 출생 :
- 1144년(인종 22)
- 사망 :
- 1204년(신종 7)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개성(開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