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중부 鄭仲夫왕이 무신을 차별하는 데 불만을 품고 1170년 왕의 보현원 거동 때 문신들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 의종을 폐하고 왕제 익양공 호(晧, 明宗)를 즉위시키고, 의종과 태자를 유배 보냈다. 1173년 김보당이 의종의 복위와 무신의 집권을 타도하려고 난을 일으키자, 이를 토벌하고 의종을 살해했다. 무신의 시대를 열다...
- 출생 :
- 1106년
- 사망 :
- 1179년
-
정중부 鄭仲夫정중부는 고려 후기 무신 정변을 일으킨 주동 인물이며 무신정권 초기의 정국을 주도했던 무신이다. 1170년(의종 24) 대장군으로서 견룡 행수 산원인 이고, 이의방과 함께 무신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옹립하여 새로운 왕으로 세웠으며 다수의 문신을 살해하였다. 무신정권을 반대하...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정중부의 난 경인(庚寅)의 난, 鄭仲夫─亂개설 경인년에 일어났으므로 경인(庚寅)의 난이라고도 한다. 정중부 등이 반란을 일으켜 문신귀족정치를 타도하고 무신정권을 수립해 고려사회에 일대 변혁을 가져오게 하였다. 역사적 배경 예종 때 여진의 정벌,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 등으로 무신의 지위가 크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문존무비...
- 시대 :
- 고려
- 발생 :
- 1170년(의종 24)
- 성격 :
- 반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정중부, 이의방, 이고
- 관련 장소 :
- 장단 보현원
-
경대승, 정중부 죽이고 권력 획득젊은 장군 경대승이 무신 권력자 정중부와 그 아들 정균을 죽이고 무신 권력 기관인 중방을 해체했다. 경대승은 무신이지만 무신의 난 이후 횡포와 비리를 저지르는 무신 권력자들에게 분노해 왔다. 최고 권력을 쥔 경대승이 무신들을 견제하고 무신과 문신을 고루 등용하자 그를 미워한 무신들은 살해 위협까지 가했다...
- 시대 :
- 1179년
- 국가/대륙 :
- 한국
-
이고 李高그리고 일반 농민들까지 불만이 팽배해 있었다. 이고는 1170년(의종 24) 왕이 화평재(和平齋)에 행차했을 때 산원(散員) 이의방(李義方)과 함께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에게 거사할 뜻을 비추었고 정중부의 동의를 얻었다. 그러나 화평재에서는 거사를 실현에 옮기지 못하였다. 뒤에 왕이 연복정(延福亭)에서 흥왕사로...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