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중부 鄭仲夫
    왕이 무신을 차별하는 데 불만을 품고 1170년 왕의 보현원 거동 때 문신들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 의종을 폐하고 왕제 익양공 호(晧, 明宗)를 즉위시키고, 의종과 태자를 유배 보냈다. 1173년 김보당이 의종의 복위와 무신의 집권을 타도하려고 난을 일으키자, 이를 토벌하고 의종을 살해했다.|무신의 시대를 열다...
    출생 :
    1106년
    사망 :
    1179년
  • 정중부 鄭仲夫
    정중부는 고려 후기 무신 정변을 일으킨 주동 인물이며 무신정권 초기의 정국을 주도했던 무신이다. 1170년(의종 24) 대장군으로서 견룡 행수 산원인 이고, 이의방과 함께 무신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옹립하여 새로운 왕으로 세웠으며 다수의 문신을 살해하였다. 무신정권을 반대하...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정중부 고려 초 무신
    고려 의종 때 무신 난을 일으켜 무인 정권시대를 연 고려 초의 무신. 당시 무인들이 무신들에 비해 경시되는 정도가 극에 달하자 산원과 이의방, 이고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의종을 폐한 뒤 명종을 새로 옹립했다. 1173년 김보당의 난을 진압하면서 다시 한 번 문신들을 살해했다. 이후 아들인 균이 종...
    출생 :
    1106(예종 1)
    사망 :
    1179(명종 9)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본관 :
    해주(海州)
  • 정중부의 난 (관련어 정중부)
    무인들의 반발 의종 시대의 무관들은 문관들의 푸대접을 심하게 받았다. 문관은 무관을 아예 사람 취급하지도 않았다. 문관들은 의종과 함께 연회다, 뱃놀이다 하며 질펀하게 놀면서 시를 읊고, 아첨을 일삼았다. 이때에도 무관들은 문관들의 눈치를 보면서 그들을 호위해 주고 술잔이나 얻어먹고 지냈다. 의종 24년, 임...
  • 정중부 Chŏng Chung-bu, 鄭仲夫
    1106년~1179년 10월 25일(음력 9월 16일)(율리우스력 10월 18일)는 고려 중기의 무신 겸 정치인으로 무신정변을 일으켰다. 이의방을 죽인 장군이자 고려의 권력자이다.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고려 명종 임금 때 1170년부터 1179년까지 고려 명종 임금 대신 실권을 잡았다. 무신으로 활동하던 중 김돈중의 전횡과 한뢰...
    도서 위키백과
  • 정중부의 난 경인(庚寅)의 난, 鄭仲夫─亂
    개설 경인년에 일어났으므로 경인(庚寅)의 난이라고도 한다. 정중부 등이 반란을 일으켜 문신귀족정치를 타도하고 무신정권을 수립해 고려사회에 일대 변혁을 가져오게 하였다. 역사적 배경 예종 때 여진의 정벌,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 등으로 무신의 지위가 크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문존무비...
    시대 :
    고려
    발생 :
    1170년(의종 24)
    성격 :
    반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관련 인물/단체 :
    정중부, 이의방, 이고
    관련 장소 :
    장단 보현원
  • 정중부의 난
    정치기강이 문란해지고 국가재정이 낭비되었으며, 백성들로부터의 착취가 가중되었고, 무인들에 대한 천대도 극에 달했다. 그리하여 1170년 8월 무인인 대장군 정중부는 의종이 문신들과 보현원에 가게 되었을 때 이의방·이고와 함께 거사를 일으키기로 모의했다. 왕이 보현원에 가는 도중 5문 앞에서 시신들과 함께 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경대승, 정중부 죽이고 권력 획득
    젊은 장군 경대승이 무신 권력자 정중부와 그 아들 정균을 죽이고 무신 권력 기관인 중방을 해체했다. 경대승은 무신이지만 무신의 난 이후 횡포와 비리를 저지르는 무신 권력자들에게 분노해 왔다. 최고 권력을 쥔 경대승이 무신들을 견제하고 무신과 문신을 고루 등용하자 그를 미워한 무신들은 살해 위협까지 가했다...
    시대 :
    1179년
    국가/대륙 :
    한국
  • 경계의 난
    전자는 정중부의 난을 가리키며, 후자는 김보당이 무인정권에 반대하여 군사를 일으킨 것을 계기로 하여 문인이 크게 화를 당한 것을 가리킨다.→ 김보당의 난, 정중부의 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무신정변 庚寅の乱, 庚寅之亂
    무신의 난(武臣의 亂)이라고 부르고, 정변이 일어난 해가 경인년이었기 때문에 경인의 난(庚寅의 亂)이라고도 부르며 정변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정중부의 이름을 따서 정중부의 난(鄭仲夫의 亂)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려 중기 문신과 무신 간의 차별적 대우와 무신에 대한 멸시로 말미암은 무신들의 불만은 정변의...
    도서 위키백과
  • 이의방 李義方
    본관은 전주. 의종 말기에 산원으로 견룡행수를 지냈다.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 등과 함께 1170년(의종 24) 무인정변을 일으켜 성공했다(→ 정중부의 난). 대장군·전중감·집주를 제수받는 등 몇 단계씩 뛰어넘어 문·무의 고위관직을 차지하고 정치를 주도했으며, 벽상공신으로 책봉되어 그의 초상이 각상에 그려...
    출생 :
    미상
    사망 :
    1174(명종 4)
    국적 :
    고려, 한국
  • 이고 李高
    그리고 일반 농민들까지 불만이 팽배해 있었다. 이고는 1170년(의종 24) 왕이 화평재(和平齋)에 행차했을 때 산원(散員) 이의방(李義方)과 함께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에게 거사할 뜻을 비추었고 정중부의 동의를 얻었다. 그러나 화평재에서는 거사를 실현에 옮기지 못하였다. 뒤에 왕이 연복정(延福亭)에서 흥왕사로...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문관과 무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