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평면 砥平面
    256m)·배미산(396m) 등이 솟아 있다. 남한강의 소지류들이 면내를 흐르며, 이들 하천연안을 따라 경작이 행해진다. 쌀 생산과 근교농업이 활발하며 특산물로 지평막걸리·느타리버섯·메주 등이 생산된다. 특히 지평막걸리는 지평양조장에서 1925년부터 생산된 막걸리로 국내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막걸리 중 하나...
    인구 :
    6,791 (2019)
    면적 :
    77.68㎢
    행정구역 :
    28개리 74개반 (법정리 10개리)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사이트 :
    http://www.yp21.net/index.yangpyeong?menuCd=DOM_0000001300000000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양평군 楊平郡
    군현제 개편으로 양근군과 지평현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 춘천부 양근군·지평군, 1896년에 경기도 양근군·지평군이 되었다. 1908년에 양근군과 지평군을 합하고 각각의 머리글자를 따 양평군이라 이름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고읍면·서종면·갈산면·양서면·설악면...
    위치 :
    경기도 동부
    인구 :
    125,381 (2024)
    면적 :
    877.69㎢
    행정구역 :
    1개읍 11개면 269개리
    사이트 :
    https://www.yp21.go.kr/www/index.do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홍상직 경이(敬以), 洪相直
    생애 및 활동사항 1750년(영조 26) 성균관 취사(取士)에 뽑혀 직부전시(直赴殿試)하라는 은덕을 입어 이듬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1760년 지평(持平)으로 재직 중 이조참판 조명채(曹命采), 한성우윤 이태화(李泰和) 등을 탄핵, 배척하였고, 이어 정언(正言)으로 옮겼으나 지평 이창임(李昌任)의 탄핵...
    시대 :
    조선
    출생 :
    1723년(경종 3)
    사망 :
    미상
    경력 :
    헌납, 정언, 장령, 집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시차 視差, parallax
    있을 때 시차가 가장 크다. 천정 z로부터 각거리 z에 있으면, 3각형 OME로부터 sin p=a/rsin z를 구할 수 있다. z=90°일 때는 sin p=a/r이며, 이 값을 지평시차, 또는 간단하게 시차라고 한다. 달을 제외한 모든 천체에 대한 p(단위 rad)는 너무 작아 sin p와 거의 같으며, 이것은 보통 각도로 표현된다. 달과 태양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신변 낙천(樂天), 낙옹(樂翁), 申抃
    추천하였다. 1517년에 이조판서 남곤(南袞) 등이 신변을 정자 유용(柳庸)과 함께 재능이 있다 하여 6품직에 승급시켰다. 1519년에 지평을 거쳐 황해도도사가 되었으나 사직하고 지평(砥平)에 일시 은거하였다가 병조좌랑이 되었는데,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되어 다시 지평에 은거하였다. 1521년에 동생 생원 신철...
    시대 :
    조선
    출생 :
    1470년(성종 1)
    사망 :
    1521년(중종 16)
    경력 :
    황해도도사, 병조좌랑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묘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산(平山)
  • 간평의설 簡平儀說
    경위도(赤道經緯度)를 측정하기 위해 양극선(兩極線), 적도선(赤道線), 절기선(節氣線), 시각선(時刻線) 등이 표시되어 있다. 지반(地盤)은 위에 위치하는데, 지평 경위도(地坪經緯度)를 측정하기 위해, 천정(天頂), 지평(地平), 고도선(高度線), 지평 분도선(地坪分度線)이 설치되어 있다. 간평의에서 투사 방법은 천구...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제천의병의 중군장으로 활약, 안승우 하사(下沙), 安承禹
    의(義)로운 싸움은 비록 지더라도 이기는 것이요, 죽더라도 영광스러운 것이다. 지평의 명망 가문 안승우(安承禹, 1865. 9. 9.<음> ~ 1896. 6.) 선생은 경기도 지평(砥平)의 상동(上東, 현 양평군 양동면 석곡리) 출신이다. 자는 계현(啓賢), 호는 하사(下沙)이며,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고려조 문성공(文成公) 안유...
    출생 :
    1865년
    사망 :
    1896년
    경력 :
    건국훈장 독립장
  • 이무 연지(延之), 李袤
    때 죽은 김첨(金瞻)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9년(인조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발을 디딘 뒤, 1641년 정언(正言)에 제수되었다가 이어 지평(持平)으로 자리를 옮겼고, 이듬해 정언으로 복귀했다가 다시 지평직을 수행하였다. 1646년에는 사헌부지평으로 재직하던 중, 병을 칭하며 사직소를 올려...
    시대 :
    조선
    출생 :
    1600년(선조 33)
    사망 :
    1684년(숙종 10)
    경력 :
    사헌부지평, 해미현감, 서천군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지향성 志向性, intentionality
    것이다. 각 지각은 다른 지각을 예견하며, 따라서 지각은 채움의 과정이다. 효과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주어져 있지 않은 요인들 전체(대상의 다른 측면들)는 내적 지평, 대상이 등장하는 배경은 외적 지평이라 불린다. 그래서 대상 구성은 의식작용들의 통일, 즉 내적 지평을 지닌 모든 측면들과 외적 지평의 통일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홍우전 집중(執中), 洪禹傳
    의 딸이다. 송시열(宋時烈)에게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02년(숙종 28) 진사시에 합격하고, 군수를 지냈다. 1719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지평이 되었다. 재직 중 농지 재측량 제도의 폐지령과, 지방에서 징수해 수송해 온 쌀을 재차 두량(斗量)하는 부조리한 정책에 대해 상소하였다. 또한 상민들의...
    시대 :
    조선
    출생 :
    1663년(현종 4)
    사망 :
    1728년(영조 4)
    경력 :
    경상도관찰사, 대사간, 공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 수용미학 受容美學, Rezeptionsasthetik
    텍스트를 도외시한 사회이론과의 절충을 찾기 위해 입론된 문학관이다. H. R. 야우스는 독자들이 특정시기의 문학작품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기준을 '기대지평'이라는 용어로 정의하고 수용미학 이론에 역사성을 부여하려 했다. 다시 말해 고전작품의 현재적 이해란 고전이 새롭게 재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수용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허집 백화(伯和), 許輯
    인물을 의논할 때, 이자건(李自健) · 이달선(李達善) 등과 의논하여 신종호(申從濩)를 추천했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이어 봉훈랑 수사헌부지평(守司憲府持平)을 거쳐 지평으로 경연에 나아가 “여러 왕자와 옹주의 집이 너무 높고 큰 것에 힘쓰며 그전 옛집의 재목과 기와는 모두 버리고 쓰지 않으며 아름다운 재목을...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6건

더보기